술빚기 질문과 답변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

조회 수 6159 추천 수 0 2015.02.26 01:09:55
r.jpg :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FullSizeRender.jpg :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q.jpg :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q.jpg :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FullSizeRender.jpg :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

안녕하세요 주인님

얼마전에 아무것도 모르고 부의주를 시도했다가 실패하고 여기저기 찾아보다가 이 싸이트를 알게되었습니다.

올려주신 유용한 내용들 아주 즐겁게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어제 두번쨰로 이양주를 시도했는데요 궁금한점이 너무 많아서 이렇게 글 올립니다.

또 실패할까봐 양은 줄여서 시도했습니다.

이양주에서 주로 맵쌀로 밑술을 만든다고 하던데 저는 찹쌀로 했구요 죽을 만들었습니다

찹쌀 400g을  잘씻어서 물 2.3리터와 섞어서 죽을 만들었습니다. 쎈불에 끓여서 약불로 15분정도 저어주었구요.

근데 생각보다 뻑뻑한 죽이 되었습니다.

질문- 찹쌀로 밑술을 하면 물의 양이 달라져야하나요?


25도 정도에서 누륵 200g과 섞었습니다- 당도가 좋아진다고 말씀하신거 같아서요.

그리고 과정을 자세히 보고 싶어서 유리병에 담았습니다.

제가 있는곳은 실내기온이 19-21도 정도이구요 병입구는 두꺼운 천으로 좀 단단히 막았습니다(온도를 좀 올리려구요)

밑술의 높이를 보려고 테이프를 붙였습니다(테이프의 윗선이 처음 밑술의 높이 였음)


5분정도 지나니 기포가 나기 시작하더라구요

밤에 담아서 자고 7시간후에 일어나보니 부풀었던 흔적이 있구요 표면에는 거품같은것이 있습니다. 

밥알이 섞여있는거 같기도 한데 거품때문에 잘 안보입니다.

양은 처음보다 좀 줄었구요 벌써 층이 분리되어있습니다.


질문- 표면에 거품은 무엇인가요?

질문 - 일곱시간만에 층이 분리되었다는건 무슨 의미인가요?

질문 - 밤에는 기온이 낮은편인데 밤에만 병 주의에 가벼운 옷이라도 둘러두면 좋을까요?


냄새는 아직 누륵냄새가 납니다.

전체적인 조언도 부탁드립니다.

 

덧술은 찹쌀 800g으로 고두밥을 쪄서 할생각입니다.

물을 더 첨가해도 될런지요.....

지금계획은 36시간후에 확인 그리고 다음날에 덧술 예정입니다.


이번에는 성공해서 술맛을 꼭 보고싶습니다.^^



이제 30시간이 지났는데 언뜻 봤을때는 큰 변화는 없구요 자세히보니 풀어진 쌀의 양이 많아졌어요.

이는 아직 효소가 분해를 하고있다는 건가요?

누룩색깔이 없어질떄쯤에 덧술을 하면 되는건가요?

기온이 낮아서 속도가 느린것같은 생각이 듭니다.

아직도 냄새는 큰변화가 없습니다..

6시간정도 있다가 열어서 한번 저어줄 생각입니다.


48시간이 지났는데 큰변화는없고 풀어진 쌀의 양이 이제 75%정도 되는거 같습니다.

바닦에는 아직 밋술이 그대로 남아있는거 같습니다. 

근데 냄새가 아직도 누룩냄새가 납니다. 한번 저어주면서 맛을 보니 약간 단맛이 납니다.

3일되는지점에서 덧술을 할까합니다. 그때되면 쌀이 다풀어질거 같습니다.

덧술하기 좋은 시기의 밑술은 어떤맛이 나야하나요?


酒人

2015.03.05 23:05:37
*.228.35.18

질문이 많으면 답변이 힘들어요^^ 쓰다가 다 못해서 지우고지우고 이제야 하네요.

1. 찹쌀 400g에 물 2.3리터는 물 양이 너무 많습니다. 2리터 정도가 적당하고요. 죽도 큰 무리없이 써집니다.
2. 표면의 거품은 이산화탄소가 발생해서 생긴것이나 밀가루를 넣으면 좀 더 깨끗한 거품이 생깁니다.
3. 가능하면 온도가 일정한 것이 좋습니다. 일반 거실 정도의 온도면 그냥 두어도 좋습니다.
4. 쌀 양 대비해서 물양이 많기때문에 덧술 시기를 빨리 가져가야 합니다. 물이 많으면 발효가 빨라집니다.
5. 죽으로 하는 밑술은 36시간 이내에 덧술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오염현상이 생겨요.
6. 전체 쌀 양이 1.2kg이니까 누룩은 많아야 120g 정도 들어갑니다. 200그램은 많은 양이에요.
7. 덧술시기에는 단맛이 나면 안되고 신맛이 강한 것이 좋습니다. 아마도 온도가 낮아 발효가 늦은 것 같습니다. 밑술 맛을 봐서 신맛이 생기면 덧술하세요. ^^

aladinn

2015.03.06 03:43:43
*.166.75.3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궁금한게 너무 많아서 한꺼번에 썼는데 다음부터는 나눠서 올리겠습니다.ㅎㅎ
지금생각해보니 덧술직전에 맛을 봤을때 신맛도 있고 약간 단맛도 있었던거 같습니다. 말씀대로 온도가 낮아서 시간이 더 걸린모양입니다.다음부턴 조금더 기다려야겠네요
참 밑술이 맛있어야 술도 맛있다고 하신거 같은데 그럼 신맛나는 밑술이 맛있는건가요?

오렌지컴

2015.03.16 09:51:27
*.149.162.28

주인님에 제자입니다. 좀 아는 척을 하자면 밑술에 신맛은 초산균에 의한 신맛이 아니고 젖산균에서 나온 신맛입니다. 약간 단맛이 나면서 신맛이 나거나 단맛이 없어졌을 때가 덧술 적기입니다. 당분이 알콜 발효되어 단맛이 없어진것입니다. 이 시점에서 덧술 시기가 지연되면 술에서 신맛이 나게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763 삼양주 발효 상태와 채주 시기 문의드립니다. file [3] 와이즈먼 2023-11-20 6089
762 효모에 대해... [2] sul4u 2013-06-28 6085
761 밑술 냄새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1] 비니 2010-12-15 6069
760 단호박술을 담어 보고 싶은데요 [1] 보리알맹이 2011-09-29 6066
759 초산균(초산발효)의 침입을 막자. 酒人 2006-05-27 6065
758 술을 빚다 보면 이런일도 있지요. file [2] 酒人 2006-03-04 6062
757 담금주에 대하여 궁금한게있답니다.?? 아이다호 2018-02-06 6061
756 석탄주 덧술시기와 저어주기관한 질문... [1] 나무그늘 2009-11-12 6061
755 식히는 시간과 발효와의 관계가 있나요? [1] 얄리야리 2021-02-09 6052
754 단양주 물의 양을 어느정도 해야하나요? file [1] 이탁배기 2019-05-30 6046
753 집에서 술을 재조해서 팔면 법에 저촉되나요? [3] 관리자 2006-02-07 6033
752 이화곡으로 현미술을 만들때... [2] sul4u 2013-07-16 6026
751 쌀누룩과 막걸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9-03 6021
750 이 막은 무엇인가요? file [1] 미고자라드 2007-06-14 6017
749 알콜 70% 감홍로주 file [6] 酒人 2006-05-14 6012
748 누룩 메달아놓기 [2] hedge 2011-04-26 6010
747 게시판 성격이랑 맞지 않는 질문일수도 있는데요 [1] 반야 2011-11-21 6010
746 밥으로 술을 빚을때....물의양은? [4] 아리랑 2012-03-12 6009
745 주모를 빚는 과정에서 [1] mumu 2013-08-15 5979
744 물의 양에 관한 질문 [1] 북성 2014-01-24 5966
743 백국 관련해서 여쭤봅니다. [1] cheeze 2023-10-27 5943
742 삼양주 만들고 있는데 질문 드립니다. [1] 썬연료 2023-11-22 5940
741 밑술 쌀가루에 대해서 [1] 조영철 2008-04-16 5930
740 씨앗술과 밑술의 차이가 뭘까요 [1] PJC0405 2023-12-04 5929
739 오양주 밀가루 넣는방법 [2] mekookbrewer 2020-08-18 5925
738 범벅에 사용하는 쌀가루 습식? 건식? [3] 연필꽂이 2020-09-29 5924
737 술거르는 시기? file [2] 나이스박 2014-04-03 5921
736 밀가루 사용에 관하여 [2] 우정 2007-07-04 5912
735 막걸리가 셔요 ㅜ [1] 막걸리조 2010-02-16 5900
734 술 걸르다보면 걸죽한 요구르트같은것일때,쉰맛,쌀맛에 대해서 [1] 창힐 2013-09-09 5897
733 [re] <b>밑술의 맛은 ?</b> 酒人 2006-11-03 5891
732 현미죽으로 만든 밑술, 천막(^^)이 생겼어요.. file [2] anakii 2013-11-25 5887
731 <b>술을 빚는 세 가지 방법</b> [2] 酒人 2008-04-07 5886
730 전통주 기초강의 3. 효소와 효모 酒人 2006-03-17 5885
729 더운 날씨 술빗기 [2] sul4u 2013-07-26 5884
728 술이새콤하네요 file [4] 향온주만들어보고싶다 2009-05-04 5883
727 삼지구엽주 ? 녹야 2008-08-08 5873
726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2) file [2] aladinn 2015-03-03 5870
725 덧술시기... [2] 바람따라.. 2014-11-05 5855
724 씨앗술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3 585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