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re] 고두밥과 술 발효와의 관계는?

조회 수 4970 추천 수 77 2006.12.21 05:38:48
고두밥 잘 찌기..


고두밥(지에밥)을 찔 때, 흔히 생기는 현상이 밑이 질게 되는 경우입니다. 이것이 심한 경우는 고두밥 자체가 잘 쪄지지 않아 쌀이 설익는 일이 벌어집니다.

방지하기..

이런 경우는 명주천(베보자기)를 깔기 전에 나무젓가락이나 쇠 젓가락 등을 이용해서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놓습니다.(요즘 텔레비전을 보니까 나무젓가락이 화학약품 때문에 좋지 않다고 하네요..참고하세요) 그리고 그 위에 베보자기를 올리고 -> 쌀을 올려 찌면 고두밥이 진밥처럼 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둘째는, 물과 베보자기를 놓는 위치가 너무 가깝기 때문에 진밥처럼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이 끓어 오르면서 높게 튀는 것이죠. 그렇게 되면 고두밥 밑이 계속해서 물과 접촉하게 됩니다. 이럴 경우에는 물과 베보자기의 거리를 좀 더 멀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최소 5cm 이상은 되야 합니다.)

셋째는, 베보자기(명주천)의 구멍이 너무 작은 경우입니다. 이럴 경우는 씻어 놓은 쌀 가루 등에 의해 구멍을 막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증기가 밖으로 나오기가 힘들어 쌀의 밑 바닥만 계속해서 적시게 되어 질어 집니다. 따라서 가능한 쌀 알갱이가 빠지지 않는 범위에서 천의 구멍이 너무 작은 것을 피해야 합니다.

넷째, 나일론이나 천연 소재가 아닌 제품은 피해야 합니다. 베보자기가 비싼 것은 천연 제품이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나쁜 물질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고두밥을 찔 때 사용하기는 아주 좋습니다. 그러나 나일론 등은 화학첨가물이 많이 들어가 있어 좋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고두밥이 전체적으로 잘 익었지만 밑이 질어지는 경우는 발효에 큰 지장을 주지 않습니다. 그러나 고두밥이 설익은 상태로 밑이 질어지는 경우는 술에 산막효모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미생물이 발효를 일으키기 쉽지 않기 때문이죠. 이런 경우는 발효 기간이 문제가 아니라 발효 자체가 되지 않습니다.



좋은 술 빚으세요.~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883 진상주를보면서......... [2] 배병임 2006-09-27 3937
882 술이 되어가고있네요 [3] 배병임 2006-10-06 3849
881 <b>쌀알이 삭는 시간..</b> 酒人 2006-10-08 3774
880 삼백주에 대하여... 酒人 2006-10-12 4181
879 <b>도정(搗精) 정도의 차이</b> 酒人 2006-10-15 4941
878 <b>피와 살이 되는 밑술법 2</b> [2] 酒人 2006-10-23 5327
877 <b>알코올 20% 그 한계와 이유</b> 酒人 2006-10-26 3838
876 <b>도토리술 제조법</b> file [1] 酒人 2006-10-29 4923
875 약전에 관하여(이한수님의 질문입니다. ) 酒人 2006-10-31 3273
874 [re] 답변입니다. [1] 酒人 2006-10-31 3426
873 밑술의 맛은 ? 김정옥 2006-11-02 3557
872 [re] <b>밑술의 맛은 ?</b> 酒人 2006-11-03 5922
871 <b>술독 뚜껑 덮는 것에 대하여</b> 酒人 2006-11-06 4949
870 <b>술빚기 응용능력 키우기 1. 쌀 불리기</b> 酒人 2006-11-07 4859
869 술에서 깨게 하고 취하지 않게 하는 것 酒人 2006-11-14 5182
868 <b>누룩과 배양효소, 효모??</b> 酒人 2006-11-20 4864
867 덧술 할 시기를 어떻게 가늠하는지 궁금합니다. 원삼규 2006-11-21 3878
866 [re] 석탄주에 대한 답변입니다. [1] 酒人 2006-11-21 4820
865 석탄주 덧술한 다음 현재 상태입니다. file [1] 원삼규 2006-11-26 4569
864 <b>쌀술과 포도주의 차이(상식갖추기)</b> 酒人 2006-11-29 4800
863 <b>독특한 제조법을 가진 술(응용능력키우기)</b> 酒人 2006-12-04 3739
862 술을 잘 빚으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1] 원삼규 2006-12-08 3096
861 <b>술의 양 크게 늘리는 방법</b> 酒人 2006-12-12 4055
860 <b>술을 언제 걸러야 하나요.? </b> 酒人 2006-12-12 3614
859 술에 가향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원삼규 2006-12-15 3251
858 [re] <b>가향하는 방법에 대하여...,</b> 酒人 2006-12-15 3664
857 고두밥과 술 발효와의 관계는? 원삼규 2006-12-21 3415
» [re] 고두밥과 술 발효와의 관계는? 酒人 2006-12-21 4970
855 하수오주? 강신규 2006-12-21 3465
854 [re] 하수오주? [2] 酒人 2006-12-22 5009
853 밑술 담은지40시간 사진 임니다 file [1] 강용진 2006-12-27 3596
852 요구르트 제조기로 누룩을 만들 순 없을까요? [2] 원삼규 2006-12-27 5740
851 구정에 먹을 술 어떤게 좋을까요.? 이미연 2006-12-29 2780
850 [re] 구정에 먹을 술 어떤게 좋을까요.? [2] 酒人 2007-01-01 3253
849 <b>설날에 먹을 삼양주 "호산춘"입니다.</b> [2] 酒人 2007-01-04 4315
848 삼양주 빚을때 1차 2차 덧술의 선택은? file 원삼규 2007-01-06 6140
847 <b>[re] 답변입니다. </b> 酒人 2007-01-07 5068
846 호산춘에궁금한점이있어서요? [1] 이승욱 2007-01-10 3883
845 쌀 죽으로 밑술 담글때 죽 아래가 약간 타게 되면? [2] 원삼규 2007-01-10 4969
844 빚은 청주에서 탄산가스가 생기면? [1] 원삼규 2007-01-12 430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