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술 다 익은 정도 확인 방법

조회 수 7708 추천 수 0 2023.02.14 12:53:10

안녕하세요, 단양주와 이양주를 만들었습니다. 너무 초보적인 질문이라 부끄럽기도 하지만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1. 단양주를 빚은지 1주일이 되었습니다. 오늘 걸러도 되는지, 아니면 술의 무게 변화가 없을 때 술이 다 된 부분이라고 들었는데 그때까지 기다려야 하는지 궁금합니다.(단양주도 보통 맑은 술이 뜰 때까지 기다리는지 궁금합니다.)

2. 이양주의 경우 한국전통주 교과서에서 덧술(고두밥)을 넣고 2~3주 발효시키며 이 사이에 술이 익었는지 안 익었는지 확인하여 사용한다고 되어있는데 꼭 2~3주 동안 발효시켜야 하는지, 아니면 어떤 상태가 되는지 확인하고 거르면 되는지 질문드립니다.




누룩

2023.02.14 21:06:20
*.234.113.35

한국가양주연구소를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술을 거르는 시기에 대해 많이 혼동이 되시나 봅니다. 술을 거르는 시기를 파악하는 방법은 전통주 교과서 p136 을 보시면 술의 완성 여부 판단하기를 보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 거라 생각이 듭니다. 


1. 단양주의 경우에는 발효실의 환경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고 쌀과 물의 비율에 따라 술을 거르는 시기가 조금 달라지는데 1) 밥알이 잘 삭았는지 확인 2) 맛을 보았을 때 당화과정이나 알코올도수가 왠만큼 나왔을 때 3) 발효가 끝나고 뽀글뽀글 이산화탄소가 올라오지 않았을 때 등등 다양한 방법으로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기간으로만 보신다면 보통 쌀과 물 1:1 비율로 하셨다면 5일 정도가 지났을 때 거를 시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2. 이양주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시각적으로 보았을 때 맛을 보았을 때 도수를 재보았을 때 등등 다양한 방법으로 술을 거르는 시기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전통주교과서 p136 를 보시면 더 자세한 내용이 나와있으니 참고해보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563 효모실험에관해서 [1] [1] 고마선 2012-05-17 5072
562 술의신맛잡기 [1] 우리술이좋아 2010-10-18 5069
561 쌀 누룩(이화곡)으로 삼양주를 빚어보려 합니다. [2] 민속주 2012-06-23 5066
560 술을 사먹지 왜 만들어 먹어요?? 酒人 2006-01-13 5065
559 곡물과 물의 비율 [1] 우리술이좋아 2009-10-30 5054
558 술향기가 진동을 하네요~~ [4] 나이스박 2014-10-17 5053
557 항아리 안에서 술이 익어갈때...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도수 차이가 나나요? [4] 선선 2020-10-02 5048
556 고두밥나눠넣기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3-07-31 5048
555 전통주에 있는 효소와 효모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1] 민속주 2013-04-11 5042
554 <b>[re] 답변입니다. </b> 酒人 2007-01-07 5041
553 발효 및 숙성 기간에 대하여.. [2] 김군 2009-12-20 5040
552 쌀에 호박을 넣어 막걸리를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3] 농월 2012-03-22 5036
551 석탄주 덧술 시기좀 알려주세요 [1] 호박654 2020-04-18 5035
550 가양주 레시피 해석 문의 [2] 시작은 천천히 2012-04-17 5033
549 인사동 축제에 사용할 유리병 file [5] 酒人 2006-04-29 5031
548 멥쌀주 담그는 법 [1] 행유 2010-08-18 5027
547 온도가 높아도 막걸리가 빚어지나요? [1] 랜스 2013-05-03 5024
546 과하주에 관한 문의 [1] 케이원 2014-08-01 5023
545 향온주 좀더 두어야 할까요? [2] 보리콩 2011-02-07 5018
544 검은색 나는 곰팡이 때문에 꺼림직합니다. 도와주세요 [2] cycyoo99 2014-08-25 5016
543 막걸리의 걸쮹함 [2] ilovetapuy 2018-11-06 5014
542 고구마술 담그는법 부탁드립니다. [1] 도사 2008-10-18 5009
541 잘못 빚은 술 복구방법은요? [2] 쿡쿡 2013-04-30 5004
540 곰팡이가 맞나요? file [1] 고래고래솨악 2024-02-23 5001
539 쌀누룩을 띄우는데 처음하는거라 ... 선배님들께 묻고싶습니다. file [2] 동강파 2019-03-07 4999
538 엿술을 빗었는데 정확한 도수를 모르겠습니다. [6] 농부의 아내 2009-10-28 4997
537 자주하는질문<<<>>> 미생물 굶겨 술빚기.... [1] 창힐 2013-05-24 4996
536 용수박을 시기 문의 file [3] 투덜이 2012-05-30 4995
535 하얗게 피어난 것이 무엇인지 궁금 합니다. [2] 하늘지기 2012-02-09 4994
534 5월25일 빚은 쑥술 입니다...^^ file [1] 봇뜰 2008-06-28 4991
533 [re] 하수오주? [2] 酒人 2006-12-22 4986
532 밑술의 오염에 대한 대책은? file [2] 아침에술한잔 2007-03-07 4985
531 통쌀죽 쑤는 방법에 대해 다시 여쭙겠습니다 [1] dnekaqkfk 2019-11-09 4980
530 청주 보관에 대한 문의 [1] 해난 2010-05-25 4960
529 석임의 활용에 대하여.. [1] 백수환동 2013-06-01 4952
528 침전물은 어떻게 이용하나요? [1] 미루 2008-04-11 4948
527 씨앗술 질문이요. [1] 산에살다 2015-06-16 4944
526 술빚기 관련 질문은 아닌데 꼭좀 읽어주세요 [1] 곰술 2014-01-18 4943
525 [re] 고두밥과 술 발효와의 관계는? 酒人 2006-12-21 4943
524 덧술을 하면서 물추가... [2] 애주가 2008-08-08 494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