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물이 좋아야 술이 좋다. </b>

조회 수 4586 추천 수 16 2008.12.11 15:32:02
1766년 증보산림경제에는 “물 맛이 좋지 않으면 술 맛도 좋지 않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달리 말하면 “물 맛이 좋아야 술 맛도 좋다.”라는 이야기 입니다. 옛날부터 우리나라는 금수강산이라 하여 자연 환경이 깨끗하였습니다. 자연히 물 또한 맑고 깨끗했을 것이라는 것을 쉽게 짐작할 수 있는 것입니다.

좋은 물로 빚은 술 또한 맛 좋은 술이 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 여기서 좋은 물이라는 기준은 술 빚기를 했을 때의 경우를 말합니다.)

우리가 일반 가정에서 빚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수돗물을 이용합니다. 물론, 수도권에서 벗어나 오염이 덜 된 좋은 물로 술을 빚는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오늘 이야기 하려는 부분은 바로 우리가 술을 빚기 위해 사용하는 물에 대한 것입니다.

물에는 갖가지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칼슘, 칼륨, 인, 마그네슘, 망간, 염소 등 등의 많은 성분들이 물 속에 들어 있는데요. 이 것 중에서는 술을 빚는데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도 있고 그 반대의 성질을 가진 것도 존재합니다. 마그네슘이나 칼륨과 같이 미생물의 생육에 있어 좋은 영향을 끼치는 것도 있고 철, 망간, 동과 같이 술의 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것도 있습니다.

좋은 물과 좋지 않은 물

물을 끓여서 술을 빚기 때문에 수돗물을 사용하나 좋은 샘물을 사용하나 별 차이가 없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을 줄로 압니다. 물을 끓이게 되면 물 속에 있는 성분들이 다 날아가고 순수한 물만 남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물을 끓인다고 물이 순수해 지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것은 잘 못된 생각입니다. 물을 끓인다고 해서 물 속에 있는 철이나 망간, 마그네슘과 칼슘, 칼륨 등의 물질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즉, 우리가 물을 끓여 사용하는 가장 근본적인 목적은 물 속의 미생물을 사멸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또한, 물 속에 녹아있는 유기물에 의한 나쁜 냄새를 제거하는 역할도 합니다.

물을 끓여도 그 근본은 바뀌지 않는다.

짐작하셨겠죠. 그렇습니다. 물의 근본이 좋지 않으면 물을 끓여도 좋지 않다는 것입니다. 처음에 물 속에 술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철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면 술의 발효에서부터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특히, 술을 빚을 때 우리는 물을 이용해 쌀을 씻고(세미), 물에 담가(침미) 놓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철과 같은 술의 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물질들이 쌀에 자연스럽게 흡착하게 되어 발효에 이상을 가져 올 수 있는 것입니다.

물을 끓이는 근본적인 이유는 미생물의 없애는데 있다.

우리나라는 물이 좋았음에도 술을 빚을 때 반드시 끓여 식힌 물을 이용한 것은 선조들의 지혜입니다. ‘물이 좋으면 그냥 사용하면 되지’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물을 끓임으로써 물의 잡 냄새와 함께 물 속의 알 수 없는 미생물을 없게 하는 목적이 있었던 것입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물을 끓인다고 술 빚기에 좋은 영향을 주는 성분들은 물을 끓여도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매번 술이 실패한다면 물을 의심해 보는 것도 방법이다.

술을 빚었는데 술이 탁하고 발효가 잘 일어나지 않을 때는 자신이 사용하는 물을 의심해 보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물론, 좋은 물을 사용하면 반드시 좋은 술이 된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곡물의 양이나 사용하는 발효제, 술을 빚는 과정에서 술의 맛이 결정되기 때문이죠. 그러나 물은 우리가 술을 빚는 세가지(곡물, 누룩, 물)중의 하나입니다. 곡물이 좋고, 누룩이 좋고, 물도 좋고, 술을 빚는 사람의 경험과 잘 어울려 진다면 분명 좋은 술이 만들어 질 것입니다.

대부분의 좋은 영향을 주는 성분들은 쌀 속에 이미 함유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물은 가능하면 순수한 것이 좋겠죠.  



마치면서…

'좋다' 라는 표현이 참 많이 들어갔네요. ^^ 좋은 사람이 있는 곳에 좋은 술이 있고, 좋은 물이 있는 곳 또한 좋은 술이 있습니다. 한국은 예로부터 물 맑기가 세계 최고였죠. 술의 맛 또한 최고였을 것입니다. 바로 그 술, 우리가 다시 되살려야 하지 않을까요.



술독에 가보니 물 좋더라... ^^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523 덧술 후 과정... [1] 케팔로스 2018-10-22 5105
522 발효과정에서의 맛 변화 [1] 아보카도요거트 2020-12-08 5103
521 안녕하세요. 벌꿀주 미드를 만들어 보려 합니다! 궁금한 것 들 여쭤봐도 될까요? [1] 봉슈 2017-08-03 5098
520 단양주 만들며 궁금한점 입니다. [2] 푸른별 2014-07-22 5092
519 불패주 거르는 시기 file 느루 2012-12-29 5088
518 청주 보관에 대한 문의 [1] 해난 2010-05-25 5086
517 효소나효모를어디서사나요??? [1] 공대생 2014-10-01 5085
516 석임의 활용에 대하여.. [1] 백수환동 2013-06-01 5081
515 밑술의 오염에 대한 대책은? file [2] 아침에술한잔 2007-03-07 5074
514 침전물은 어떻게 이용하나요? [1] 미루 2008-04-11 5073
513 청주가 생기지 않습니다. [2] 걷는바람 2013-11-06 5069
512 술빚기 기초강의 1. 술의 선택 酒人 2006-04-04 5069
511 고구마술 담그는법 부탁드립니다. [1] 도사 2008-10-18 5068
510 5월25일 빚은 쑥술 입니다...^^ file [1] 봇뜰 2008-06-28 5068
509 [re] 하수오주? [2] 酒人 2006-12-22 5056
508 술 담기 초보 이양주 밑술 시기 궁금증? [1] 오렌지컴 2014-06-25 5055
507 석임과 밑술 궁금증 [2] 오렌지컴 2014-09-29 5052
506 덧술을 하면서 물추가... [2] 애주가 2008-08-08 5044
505 숙성시기 [3] [1] 하제 2013-02-12 5043
504 더블엑스님 보세요. ^^ [1] 酒人 2008-04-15 5038
503 고구마술 맛있게 빚고 싶어요 복드림 2009-01-15 5034
502 바보 또 질문 하다~ [2] 두메 2009-02-03 5033
501 거른술을 항아리에 보관할때 [2] 보리콩 2014-02-07 5029
500 밑술에 막이 생기고 하얀 곰팡이가 피어났습니다. 도와주세요~ [5] 밥상머리 2019-10-22 5028
499 부탁드립니다. [1] 반애주가 2013-08-26 5022
498 삼양주 질문 file [1] 맑고달고시고 2024-04-24 5021
497 전통주, 기능주 영업을하고 싶습니다. [3] 酒人 2006-02-17 5021
496 술에 과일껍질을 넣고 싶으면 언제 넣어야 하나요? [1] 청주조아 2024-04-23 5017
495 밑술,덧술 둘다 찹쌀써도 되나요?? [2] 찰리와막걸리공장 2018-10-04 5015
494 호산춘 덧술시기 [1] 예그린 2013-10-01 5014
493 [re] 고두밥과 술 발효와의 관계는? 酒人 2006-12-21 5012
492 쌀 죽으로 밑술 담글때 죽 아래가 약간 타게 되면? [2] 원삼규 2007-01-10 5008
491 석탄주 재료 문의드려요~ file [2] 잠자는뮤 2019-02-14 5007
490 덧술을 해야하나 아니면 버려야 하나 [4] 아침에술한잔 2009-03-28 5005
489 용수 박았습니다 file [1] 대암 2007-02-13 5005
488 이 더위에도 맛있는술이 담궈 질런지요 [3] 애주가 2008-06-30 5004
487 <b>술독 뚜껑 덮는 것에 대하여</b> 酒人 2006-11-06 5003
486 막걸리의 냄새가 이상해요 찐찐 2018-12-09 4999
485 소주내리기에서.. [2] 2008-10-19 4998
484 향기에 관한 질문입니다 [1] 행님 2015-06-29 499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