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단양주 만들며 궁금한점 입니다.

조회 수 5220 추천 수 0 2014.07.22 22:54:24

안녕하세요.

이곳을 통해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이번에 지인으로 부터 오디를 선물받아 단양주를 담구어보았습니다.

그런데 거름하는날 마셔보고는 좀 실망을 했어요.

 

그동안 담구어 보았던 쌀이나 현미 막걸리와는 달리

막걸리의 특유의 상큼 세콤한 맛도 없이 두번에 걸처 걸렀는데도 불구하고

그냥 걸죽하기만 하더군요.

아무래도 오디를 너무 많이 넣은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데다 알콜도수도 좀 낮은감이 있었구요.

 

이제는 오디로는 담그지 말아야지 하고 거른 막걸리를 냉장고에 보관해 두었는데

몇일지나 마셔보니 거름 당시에 느낄수 없었던 새콤 상콤한 막걸리 맛이 나서 조금 놀랐는데요.

왜 거름 당시에는 이러한 맛이 나지 않았는지 모르겠습니다.

또한 여기에 거름 당시보다 알콜도수도 좀 올라간 느낌이었어요.

처음 경험이라 숙성이란게 이렇게 중요한거구나 생각하게 되었습니다만,

 

이러한 경험을 해보며 좀 궁금한게 있습니다.

 

*먼저 알콜도수가 낮은경우는 어떤 이유에서 발생하는지 좀 알고싶구요.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정말 숙성이 되며 알콜도수가 높아진것 같은 느낌은 느낌뿐이겠지요?

 

*마지막으로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그동안 쌀이나 현미로 담갔을때 보다 오디가 상당히 걸죽한데

이러한건 재료의 차이 때문인지,아니면 오디가 너무 많이 들어간 경우인지도 생각해 보게되는데요.

아무튼 걸죽함을 좀 낮추려면 좀더 가는 체나 면보를 이용해 몇번 더 거르는걸로 해결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한꺼번에 너무 많이 질문드려 죄송합니다^^::

좋은 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酒人

2014.07.24 09:54:49
*.228.35.18

안녕하세요.

1. 발효가 덜 진행된 상태에서 술을 거르면 나타나는 현상들입니다. 발효가 덜 일어나게 되면 산미와 청량미가 덜한 상태가 되죠.

2. 걸러 놓고 시간이 지나면 서서히 발효가 일어납니다. 당분의 양이 줄어들고 신맛이 올라오죠. 그리고 당분은 알코올을 생성해 알코올도수가 높아지게 됩니다.

3. 따라서 술 거르는 시점을 잘 파악해야 후발효를 막을 수 있습니다. 이번에 했던 기록을 잘 보시고 다음에는 술 거르는 시점을 좀 더 늦춰야 할 것 같습니다.

4. 알코올 도수가 낮은 경우는 당분의 양이 적거나, 효모의 수가 적거나, 밑술의 효모 증식이 잘 되지 않았거나 하는 다양한 원인이 있어요. 따라서 원료의 양과 수분의 양, 효모의 양 등을 잘 파악하고 있어야 실패를 줄일 수 있습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

나이스박

2014.07.25 17:35:40
*.22.155.168

제경우에도 언젠가..막걸리를 빛은게 시큼하고, 맛이 없어서 실패했나보다하고, 그냥..냉장고에 보관한적이 있었습니다..그런데..일주일정도 지난후에 한번 맛을 보니..처음에 맛보던 맛보다 훨씬 뛰어나서, 그때서야 막걸리도
숙성이 되는구나 하고,새삼 감탄한적이 있었죠~~~
확실히 처음보다는 숙성시키면 맛이 좋아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443 주정계 와인 2010-11-24 4939
442 <b>쌀술과 포도주의 차이(상식갖추기)</b> 酒人 2006-11-29 4933
441 <b>내가 빚은 술,, 몇 리터나 얻을 수 있나?</b> [2] 酒人 2006-06-04 4926
440 안녕하세요. [1] sul4u 2013-08-27 4925
439 밑술에 거품이 많이 올라 와 있네요. 망한건가요? ㅠㅠ [2] 할렘 2020-06-04 4915
438 동정춘 덧술 모습입니다. file [1] 엄대장 2012-04-26 4913
437 담금주에 대해 여쭤봐도 될까요? [1] 봉슈 2017-08-05 4903
436 술의 신맛잡기3 우리술이좋아 2010-11-09 4899
435 잡내 제거는 어렵나요? [2] 보리콩 2011-01-05 4898
434 전통주 기초강의 8. 양조의 공정 酒人 2006-03-27 4886
433 씨앗술입니다 file [1] 제천인어공주 2012-05-20 4885
432 오양주를 빚고있는데 요즘 날씨가 너무 더워서.. [2] 술빚는요리사 2020-06-09 4877
431 따라하기로 동동주만들기에 대해서 여쭙니다, 단술 2010-12-07 4877
430 덧술에 물이 들어가는 경우, [1] 민속주 2012-07-06 4873
429 술이 걸쭉하게 된거같아요... [1] 공대생 2014-10-15 4872
428 동정춘 밑술사진입니다~ file [1] 엄대장 2012-04-22 4863
427 [re] 고구마술 복드림 2009-01-16 4860
426 이곳에는 방앗간이 없습니다. [6] 갈매기 2009-12-03 4810
425 두가지 질문 입니다. [1] 이선화 2006-08-03 4809
424 질문 드립니다. [2] 김강훈 2006-04-24 4803
423 조하주에대해서 질문 [1] 반애주가 2013-09-30 4802
422 소주내리기 [1] 상갑 2008-12-10 4799
421 완성된 술에 단맛 가미하는 방법 있을까요? [1] 랄랄 2012-06-11 4795
420 예쁘게 끓는술 3탄 file [1] [2] 제천인어공주 2012-12-10 4790
419 초보자 따라하기 덧술 만들때 물은 더이상 않넣고 밑술과 고드밥을 버무리나요? [2] 머스마 2010-05-19 4787
418 술 거를때 받침대 문의 file [1] 잠자는뮤 2019-04-01 4786
417 술빚기 기초강의 3. 쌀씻어 물에 담그기 酒人 2006-04-08 4782
416 술거를때 용수를 꼭 써야하나요? [1] 곰티 2020-03-11 4779
415 봉밀주도 빚어보았습니다 file [1] 석탄 2009-03-07 4775
414 밑에쓴 질문이요 반애주가 2013-05-20 4769
413 식초용 막걸리를 담았읍니다 [1] mumu 2014-07-30 4764
412 청주를 거르고 난 후 2 [1] 우리술이좋아 2010-05-14 4760
411 이제 화살은 시위를 떠났습니다. [2] 비설 2008-12-15 4758
410 동방주 빚기에 대하여 [2] 강현윤 2008-01-14 4754
409 황금주 만들때...*^^* [1] 왈순아지매 2009-12-04 4753
408 꽃술 빚을 때, 꽃의 이용에 대하여.. 궁금한 점 [2] [1] 민속주 2012-07-14 4752
407 시작하기 전에 준비물이요. [2] 술똑다컴 2009-01-28 4752
406 채주시기 관련 질문있습니다! 성진2 2022-10-16 4746
405 발효통(플라스틱)내부 습기를 어찌하면 좋을까요? [1] 이미남 2020-02-11 4737
404 <b>전통주 중급강의 2. 야생효모와 배양효모</b> 酒人 2006-05-08 473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