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당화 효소와 관련된 질문입니다.

조회 수 5359 추천 수 0 2018.11.19 14:31:57

가입하자마자 질문부터 남기네요..


당화력 관련해서. 


전분이 당화되어 당분이 생성되는 속도와, 효모가 당분을 소모하는 속도가 일치하면 가장 이상적이지 않을까 싶은데요.


지금까지 그걸 잘 맞추지는 못하고 있긴 합니다.. 당화는 1~2일 안에 다 이루어지고 발효는 3~4일에 완료되는 패턴..

문제는 당화가 빨리되어 당도가 올라가 발효가 멈추는 현상이 종종 나타나는것입니다.


질문 드리고 싶은것은


1SP 라는 단위는 정해진 실험 조건에서 1시간에 효소 1g이 포도당 10mg을 생성하는것을 말한다고 하는 글을 봤습니다.


이 말은 효소 1g으로 2시간이면 20mg을 생성하고 3시간 이면 30mg, 

즉 시간의 제한이 없다면 효소 1g으로 얼마든지 많은 전분을 당화 할 수 있다는 말인가요?


따라서 적은양의 누룩으로 많은양의 술을 빚는것이 가능한 것인가요?

예를들어) 이상적인 조건이라 가정하고 10g의 누룩으로도 얼마든지 많은양의 술을 빚는것이 가능할까요?


효소는 얼마든지 많은양의 전분을 당화 시킬 수 있는것인지. 아니면 어느정도 당화를 하면 효소가 파괴된다든지 하여 소모되어

일정한 양의 전분을 분해하기 위해선 그에 비례하는 양의 당화효소가 필요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두루봐

2018.11.19 20:32:50
*.226.208.223

당화력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알고 계신것 같습니다. 이해하신 대로 당화력은 시간에 비례하고 이론적으로는 말씀하신대로 시간이 걸려서 그렇지 적은 양의 당화제로 많은 양의 전분질을 당화 시킬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해보면 너무 작은 양의 누룩을 쓰면 술이 제대로 안되는 경우를 경험 합니다.
효소력은 온도, pH, 술덧의 농도 등의 영향을 많이 받기에 단순하진 않습니다.
제 생각엔
1. 아무래도 시간이 지나면 당화력이 자연 퇴화되는 것 같고
2. 백국균을 사용 하는 입국은 덜하지만 전통 누룩 효소의 경우 산에 약해(내산성 당화력) 술이 산성이 되면(시어지면) 당화력이 급격히 떨어 집니다. 술은 잘 됐는데 시다라는 말은 모순이란 얘기죠. 결국 시어졌다는 말은 전분질이 최종 단계인 알코올로 제대로 전환 되지 못했다는 거죠.
어떤효소를 말씀 하시는지 모르겠지만 효소제 마다 특성을 숙지 하시고 이론과 실제는 차이가 있기에 많은 시행 착오를 축적 하는게 최선 인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563 소규모주류제조 면허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 글 올립니다. [1] Heron 2017-12-17 5035
562 술을 사먹지 왜 만들어 먹어요?? 酒人 2006-01-13 5035
561 곡물과 물의 비율 [1] 우리술이좋아 2009-10-30 5032
560 쌀 누룩(이화곡)으로 삼양주를 빚어보려 합니다. [2] 민속주 2012-06-23 5028
559 <b>[re] 답변입니다. </b> 酒人 2007-01-07 5022
558 삼양주방식으로 빚는 복분자주 질문 드립니다 [4] 나라랑 2024-01-24 5019
557 발효 및 숙성 기간에 대하여.. [2] 김군 2009-12-20 5015
556 항아리 안에서 술이 익어갈때...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도수 차이가 나나요? [4] 선선 2020-10-02 5013
555 술향기가 진동을 하네요~~ [4] 나이스박 2014-10-17 5012
554 쌀에 호박을 넣어 막걸리를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3] 농월 2012-03-22 5007
553 전통주에 있는 효소와 효모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1] 민속주 2013-04-11 5006
552 가양주 레시피 해석 문의 [2] 시작은 천천히 2012-04-17 5003
551 멥쌀주 담그는 법 [1] 행유 2010-08-18 5001
550 인사동 축제에 사용할 유리병 file [5] 酒人 2006-04-29 5001
549 고두밥나눠넣기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3-07-31 5000
548 석탄주 덧술 시기좀 알려주세요 [1] 호박654 2020-04-18 4999
547 고구마술 담그는법 부탁드립니다. [1] 도사 2008-10-18 4998
546 온도가 높아도 막걸리가 빚어지나요? [1] 랜스 2013-05-03 4993
545 과하주에 관한 문의 [1] 케이원 2014-08-01 4985
544 향온주 좀더 두어야 할까요? [2] 보리콩 2011-02-07 4984
543 막걸리의 걸쮹함 [2] ilovetapuy 2018-11-06 4979
542 검은색 나는 곰팡이 때문에 꺼림직합니다. 도와주세요 [2] cycyoo99 2014-08-25 4978
541 5월25일 빚은 쑥술 입니다...^^ file [1] 봇뜰 2008-06-28 4976
540 엿술을 빗었는데 정확한 도수를 모르겠습니다. [6] 농부의 아내 2009-10-28 4974
539 [re] 하수오주? [2] 酒人 2006-12-22 4971
538 용수박을 시기 문의 file [3] 투덜이 2012-05-30 4970
537 잘못 빚은 술 복구방법은요? [2] 쿡쿡 2013-04-30 4967
536 자주하는질문<<<>>> 미생물 굶겨 술빚기.... [1] 창힐 2013-05-24 4964
535 하얗게 피어난 것이 무엇인지 궁금 합니다. [2] 하늘지기 2012-02-09 4963
534 밑술의 오염에 대한 대책은? file [2] 아침에술한잔 2007-03-07 4956
533 쌀누룩을 띄우는데 처음하는거라 ... 선배님들께 묻고싶습니다. file [2] 동강파 2019-03-07 4950
532 청주 보관에 대한 문의 [1] 해난 2010-05-25 4939
531 침전물은 어떻게 이용하나요? [1] 미루 2008-04-11 4932
530 통쌀죽 쑤는 방법에 대해 다시 여쭙겠습니다 [1] dnekaqkfk 2019-11-09 4931
529 [re] 고두밥과 술 발효와의 관계는? 酒人 2006-12-21 4927
528 덧술을 하면서 물추가... [2] 애주가 2008-08-08 4926
527 석임의 활용에 대하여.. [1] 백수환동 2013-06-01 4924
526 쌀 죽으로 밑술 담글때 죽 아래가 약간 타게 되면? [2] 원삼규 2007-01-10 4922
525 곰팡이가 맞나요? file [1] 고래고래솨악 2024-02-23 4909
524 씨앗술 질문이요. [1] 산에살다 2015-06-16 490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