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내 술은 왜 투명하지 못한가. </b>

조회 수 4355 추천 수 35 2007.04.08 09:14:00
내 술은 왜 투명하지 못한가.


결론부터 말하자면 “누룩”에 있습니다. 시중에 팔고 있는 술처럼 아주 맑은 술을 만들고자 한다면 여러분은 누룩부터 바꿔야 할 것입니다. 두 번째는 이유에는 “물”이 있지만, 오늘은 물 얘기는 던져버리고 “누룩”이 술의 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 보기로 하죠.

1. 술의 색깔에 영향을 주는 것들 : 주원료의 색, 물의 품질, 누룩의 색

포도를 이용해 술을 빚으면서 황금색 투명한 술을 기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물론, 화이트 와인처럼 포도의 껍질을 벗겨 술을 만들면 가능하다. 즉, 포도의 껍질이 가지고 있는 색소에 의해 포도주는 색깔이 그렇게 나는 것이다.

그렇다면, 쌀의 색깔은 어떠한가. 물의 색깔은,,,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쌀과 물은 희고, 투명하기 때문에 술의 색깔을 결정짓는 가장 큰 요소는 아니라는 것이다. 쌀은 깨끗이 씻으면 되는 것이고, 물은 염소와 철 등 술에 좋지 않은 성분만 없으면 된다. 일반 수돗물을 사용해도 술의 색은 상당히 맑다.

2. 문제는 누룩에 있다.

시중에서 구입하는 대부분의 누룩에는 밀기울이 들어간다. 포도의 껍질 때문에 술의 색깔이 그러하듯, 쌀로 빚는 술의 색깔은 밀기울이 가지고 있는 색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이다. 밀기울이 물과 섞이면서 밀기울이 가지고 있는 색이 물에 녹아 들게 됩니다. 물의 양이 적을수록 그 색깔은 진해지겠죠.

물 10리터에 물감 1방울을 떨어트리는 것과, 극단 적으로 비유를 해서 물 1리터에 물감 1방울을 떨어트리는 것을 상상해 보자. (상상할 필요도 없죠.?^^)

3.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해결 방법은 간단하다. 밀기울을 넣지 않으면 될 것 아닌가. 밀기울을 제거한 누룩을 사용하든가. 밀기울이 들어 있는 누룩을 물에 담가 놓았다가 누룩 찌꺼기를 제거하고 술을 빚으면 술의 색깔이 한결 좋아질 것이다.

옛날에는 밀가루가 귀했지만 지금은 사방 100미터 안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없으면 옆집에서 빌리면 되죠.^^ 이렇게 해서 누룩을 만들어 술을 만들면, 술이 맑지 않게 빚으려고 해도 그렇게 안됩니다. 아주 맑은 술을 얻을 수 있습니다.




누룩의 품질,,,,,    당신의 기준이 달라집니다.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521 <b>쌀술과 포도주의 차이(상식갖추기)</b> 酒人 2006-11-29 4717
520 소규모주류제조 면허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 글 올립니다. [1] Heron 2017-12-17 4714
519 검은색 나는 곰팡이 때문에 꺼림직합니다. 도와주세요 [2] cycyoo99 2014-08-25 4710
518 석탄주 덧술 시기좀 알려주세요 [1] 호박654 2020-04-18 4707
517 증류주 보관법에 관해서 알고 싶습니다. [3] 키 작은 사랑 2018-03-01 4705
516 덧술을 준비하면서 ?? [1] 꽁꽁이 2008-03-03 4701
515 술향기가 진동을 하네요~~ [4] 나이스박 2014-10-17 4698
514 과하주에 관한 문의 [1] 케이원 2014-08-01 4698
513 <b>누룩과 배양효소, 효모??</b> 酒人 2006-11-20 4696
512 [re] 석탄주에 대한 답변입니다. [1] 酒人 2006-11-21 4665
511 복분자주 숙성 정원은재 2007-07-04 4662
510 <b>내가 빚은 술,, 몇 리터나 얻을 수 있나?</b> [2] 酒人 2006-06-04 4662
509 초일주를 설명대로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1] heeyoung 2007-11-30 4657
508 씨앗술 질문이요. [1] 산에살다 2015-06-16 4653
507 술거르는 시기 [1] 우리술이좋아 2010-12-10 4653
506 밑술온도에 대해여... [3] 섬누룩 2009-11-27 4645
505 쌀누룩을 띄우는데 처음하는거라 ... 선배님들께 묻고싶습니다. file [2] 동강파 2019-03-07 4639
504 막걸리의 걸쮹함 [2] ilovetapuy 2018-11-06 4639
503 항아리 안쪽 표면에 희꽃 공팡이가... [2] 막걸남 2010-12-09 4636
502 백국 관련해서 여쭤봅니다. [1] cheeze 2023-10-27 4626
501 덧술후에 술이 괴어넘치는 현상 [1] 회곡양조 2013-09-08 4602
500 고두밥나눠넣기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3-07-31 4593
499 술의 신맛잡기3 우리술이좋아 2010-11-09 4590
498 통쌀죽 쑤는 방법에 대해 다시 여쭙겠습니다 [1] dnekaqkfk 2019-11-09 4589
497 소주내리기 [1] 상갑 2008-12-10 4588
496 두가지 질문 입니다. [1] 이선화 2006-08-03 4588
495 전통주 기초강의 8. 양조의 공정 酒人 2006-03-27 4588
494 초록색 곰팡이 같은게 좀 보입니다. file [1] 김세용 2022-12-23 4584
493 효소나효모를어디서사나요??? [1] 공대생 2014-10-01 4579
492 누룩틀 [1] 우리술이좋아 2010-02-10 4578
491 동정춘 덧술 모습입니다. file [1] 엄대장 2012-04-26 4572
490 [re] 고구마술 복드림 2009-01-16 4570
489 발효과정에서의 맛 변화 [1] 아보카도요거트 2020-12-08 4555
488 단양주 만들며 궁금한점 입니다. [2] 푸른별 2014-07-22 4550
487 잡내 제거는 어렵나요? [2] 보리콩 2011-01-05 4547
486 향기에 관한 질문입니다 [1] 행님 2015-06-29 4544
485 동정춘 밑술사진입니다~ file [1] 엄대장 2012-04-22 4538
484 따라하기로 동동주만들기에 대해서 여쭙니다, 단술 2010-12-07 4536
483 술 색깔을 맑고 투명하게 만들려면요.. [2] 봄날은간다 2007-03-23 4531
482 덧술 시기는요? [1] 막걸남 2010-09-14 452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