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초일주 또 질문입니다...^^;;

조회 수 4268 추천 수 0 2012.06.11 15:24:48

사진을 찍지못해 최대한 자세히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14일째 되던날 거르기를 했습니다.

발효조의 상태는 맨위에 맑은 술이 고이지는 않았고 밥알이 떠있는 상태였습니다.

표면의 밥알아래 액체가 고여있었음.

 

통위에 소쿠리를 받치고 손으로 눌러 꾹꾹 짜주었습니다.

 

최종양은 막걸리 1.5L 4병(물을 섞지않음, 달콤은 한데 알콜도수가 상당히 높은듣합니다)

남은 찌꺼기(?) 에 물 3L 를 부어 손으로 저어준후 다시 걸러두었습니다.

 

질문입니다.

 

1. 거를때 삼베가 없어 스테인레스 망사비슷한 것으로 걸렀더니 촘촘하지 않아 누룩찌꺼기가 많이 섞였고

    그래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술맛을 보면 누룩냄새가 좀 많이 나는 것 같습니다.

    원래 이렇게 누룩취가 심한것인지 아니면 좀더 촘촘한 것으로 잘 걸러내면 누룩취가 많이 없어지는것인지요?

 

2. 초보자교실의 초일주빗기에 적힌대로 밑술 맵쌀가루800g + 물 3.6L + 누룩 500g , 덧술 찹쌀 4Kg 고두밥

    이렇게 담으면 청주를 따로 받지않은 상태에서 6L 정도의 막걸리가 만들어지면 정상인지요?

 

3. 술을 모두 짜내고 누룩과 찹쌀의 찌꺼기가 야구공정도 만한것이 약 10개정도 나왔습니다

    쌀이 적당히 삭은것인지요? 아니면 덜 삭아 찌꺼기가 많이 남은것인지요?

 

4. 용수를 박아 맑은술을 거르는것과 위처럼 물을섞지않은 막걸리를 냉장고에 넣어 두었다 맑은술이

    병 위에 떳을때 윗술만 따로 담는 방법의 차이가 있는지요?

    제가 이 방법으로 병 위의 맑은술을 걸러보았더니 시중의 청주와는 다르게 농도가 엄청 진하던데요...

 

막무가내로 따라하다보니 모르는게 너무 많습니다...

그래도 친절하게 답변을 해주셔서 이렇게 또 질문을 올려봅니다.

 


酒人

2012.06.14 17:35:28
*.32.96.174

1. 초일주는 다른 술에 비해 누룩이 좀 많이 들어가요.
좀 더 술을 빚다보면 누룩을 적게 넣으면서 술을 빚을 수 있을거에요.

2. 총 8리터 정도의 전내기(원주)와 물을 혼합한 막걸리 15리터 이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3. 술이 잘 삭으면 지게미가 적게 나오는데요. 총 양의 20%의 지게미가 나온다고 보시면 됩니다.

4. 용수는 겨울에 사용하는 것이 좋고요. 용수를 사용할 경우 맛이 변화되는 맛을 볼 수 있으나 날씨가 더우면 빨리 변질될 수 있습니다. 막걸리와 청주 둘 다 원하시면 용수도 좋고요. 청주만 원하시면 저온 여과가 좋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요즘같은 계절에는 걸러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오래 숙성시켜 마시는 것이 좋겠네요. ^^

투덜이

2012.06.18 08:50:14
*.253.219.227

세심한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주말에 지인들과 나눔을 가졌는데 모두 훌륭하다 그러네요...^^
다시한번 도전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523 덧술 후 과정... [1] 케팔로스 2018-10-22 5113
522 발효과정에서의 맛 변화 [1] 아보카도요거트 2020-12-08 5111
521 안녕하세요. 벌꿀주 미드를 만들어 보려 합니다! 궁금한 것 들 여쭤봐도 될까요? [1] 봉슈 2017-08-03 5108
520 효소나효모를어디서사나요??? [1] 공대생 2014-10-01 5101
519 단양주 만들며 궁금한점 입니다. [2] 푸른별 2014-07-22 5099
518 불패주 거르는 시기 file 느루 2012-12-29 5096
517 청주 보관에 대한 문의 [1] 해난 2010-05-25 5093
516 석임의 활용에 대하여.. [1] 백수환동 2013-06-01 5090
515 침전물은 어떻게 이용하나요? [1] 미루 2008-04-11 5085
514 술빚기 기초강의 1. 술의 선택 酒人 2006-04-04 5081
513 밑술의 오염에 대한 대책은? file [2] 아침에술한잔 2007-03-07 5077
512 청주가 생기지 않습니다. [2] 걷는바람 2013-11-06 5076
511 술 담기 초보 이양주 밑술 시기 궁금증? [1] 오렌지컴 2014-06-25 5071
510 5월25일 빚은 쑥술 입니다...^^ file [1] 봇뜰 2008-06-28 5071
509 고구마술 담그는법 부탁드립니다. [1] 도사 2008-10-18 5068
508 석임과 밑술 궁금증 [2] 오렌지컴 2014-09-29 5065
507 더블엑스님 보세요. ^^ [1] 酒人 2008-04-15 5063
506 [re] 하수오주? [2] 酒人 2006-12-22 5059
505 덧술을 하면서 물추가... [2] 애주가 2008-08-08 5054
504 숙성시기 [3] [1] 하제 2013-02-12 5051
503 바보 또 질문 하다~ [2] 두메 2009-02-03 5041
502 고구마술 맛있게 빚고 싶어요 복드림 2009-01-15 5038
501 삼양주 질문 file [1] 맑고달고시고 2024-04-24 5036
500 밑술에 막이 생기고 하얀 곰팡이가 피어났습니다. 도와주세요~ [5] 밥상머리 2019-10-22 5036
499 거른술을 항아리에 보관할때 [2] 보리콩 2014-02-07 5035
498 술에 과일껍질을 넣고 싶으면 언제 넣어야 하나요? [1] 청주조아 2024-04-23 5031
497 전통주, 기능주 영업을하고 싶습니다. [3] 酒人 2006-02-17 5030
496 부탁드립니다. [1] 반애주가 2013-08-26 5027
495 밑술,덧술 둘다 찹쌀써도 되나요?? [2] 찰리와막걸리공장 2018-10-04 5024
494 호산춘 덧술시기 [1] 예그린 2013-10-01 5021
493 석탄주 재료 문의드려요~ file [2] 잠자는뮤 2019-02-14 5020
492 용수 박았습니다 file [1] 대암 2007-02-13 5018
491 [re] 고두밥과 술 발효와의 관계는? 酒人 2006-12-21 5016
490 덧술을 해야하나 아니면 버려야 하나 [4] 아침에술한잔 2009-03-28 5015
489 <b>술독 뚜껑 덮는 것에 대하여</b> 酒人 2006-11-06 5014
488 이 더위에도 맛있는술이 담궈 질런지요 [3] 애주가 2008-06-30 5013
487 쌀 죽으로 밑술 담글때 죽 아래가 약간 타게 되면? [2] 원삼규 2007-01-10 5012
486 소주내리기에서.. [2] 2008-10-19 5008
485 막걸리의 냄새가 이상해요 찐찐 2018-12-09 5007
484 <b>범벅이 물처럼 되는 이유는..</b> [2] 酒人 2007-03-14 500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