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이곳에는 방앗간이 없습니다.

조회 수 4685 추천 수 14 2009.12.03 01:46:03
이양주가 안전하다고 하는데,
이곳 토론토에는 방앗간이 없어서 쌀가루를 만들 수가 없습니다.

1. 집에서도 쌀가루를 만들수 있을까요 ?
    저희 집에는 믹서기, 오스카 녹즙기, 전동 드릴 이런게 있는데 도움이 될까요 ?

2. 쌀가루 없이 고두밥만으로는 밑술을 만들 수가 없을까요 ?

3. 1, 2번이 안되면, 단양주 만들 때 안전한 방법은....
    수국( 누룩을 미리 따뜻한 물에 타서 12시간 쯤 두는 방법 ) 어떨까요?

일단 방법이 없으니 오늘은 우선 고두밥에 단양주로 try 해보겠습니다.

지도 편달 당부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PS:
4. 용수라는것도 없는데, 금속 철망으로 된 소쿠리를  소독하여 쓰려고 합니다. 문제 있을 런지요 ?

갈매기

2009.12.03 05:22:20
*.253.210.4

우선 시작한거니 질렀습니다.
1. 쌀 1리터로 고두밥 레시피대로...
2. 산성누룩 500g ( 반봉지 ) 끓여서 식힌 미지근 한 물, 1.5 리터에 2시간 목욕
3. 유리항아리 구해서 뒤집어 뜨거운 수증기 살균후, 1번과 2번을 잘 섞어서 따뜻한 라디에이터 앞에 두었습니다.

생각보다 양이 너무 작은데요... ( 9리터 항아리에 밑바닥 겨우... ) 36시간 뒤에 쌀 3리터 정도더 고두밥 지어서 넣을까요 ?....

잘될까요 ?

누룩이 얼마 없어서... 두세번 안에는 성공해야되거든요 ^^;;

갈매기

2009.12.03 05:42:10
*.253.210.4

술덧 투입 한시간도 안됬는데, 물을 다 머금어서... 서해바다 갯뻘 같은 상태가 됨... 그래서 생수 500 cc 추가 투입... 잘 될런지... 온도는 24도 유지하고 있음

갈매기

2009.12.03 06:07:15
*.253.210.4

느긋하게 술 익어 가는 것을 감상하고 있었는데, 장모님께서 누룩보내 주시면서 같이 넣으라고 보내주신 술약 ( 이스트, 오뚜기표 삼흥 이렇게 되어 있군요...) 을 깜빡 잊고 안 넣었네요... 부랴 부랴 1 티스푼을 대충 미지근한 물에 녹여서 뿌리고 섞어줌... 냄새가 약간 꼬릿~~ 하네요... 근데 술독닷컴 레시피에는 이스트 넣어라는 말이 있었는지 없었는지도 가물 가물... 넣어도 되는거죠 ? ^^

酒人

2009.12.03 22:05:05
*.106.6.219

넣어도 되는데요. 술독에서는 넣지 않습니다.
말 그대로 자연에서 얻어진 다양한 미생물을 이용해
술을 빚죠.

누룩만으로 훌륭한 술을 빚을 수 있다. 뭐, 이런 것입니다. ^^

용수가 없으면 꼭 용수 같은 것을 이용할 필요 없이
술을 걸러서 냉장고에 넣어 두면 맑은 술이 뜹니다.
그 술을 드시면 좋을 듯 하네요.

1. 쌀을 물에 충분히 (3시간 이상)불렸다가 건져냅니다.
2. 물기를 빼고 끓여 식힌 물을 조금씩 부어가며 믹서기로 갈아요.
3. 쌀알이 완전히 갈리면 멈춥니다.
4. 끓는 물을 부어 죽 처럼 만들어요.
5. 식으면 누룩을 넣고 발효 시킵니다.

이렇게 하면 어렵지 않게 밑술 빚을 수 있고요.

고두밥으로 만드는 방법은

1. 고두밥을 찐다. -> 식힌다.
2. 고두밥에 넣을 물을 끓여 식히지 않고 붓는다.
3. 고두밥이 물을 흡수하면 차게 식힌다.
4. 누룩과 혼합한다.

단양주로 빚을 때 안전한 방법은

1. 단양주는 이양주보다, 이양주는 삼양주보다 미생물의 수가 적기 때문에 실패할 확률이 높습니다.
2. 따라서 누룩의 양을 늘리는 방법이 있고
3. 고두밥을 더 익혀주는 방법이 있고
4. 죽과 고두밥을 동시에 혼합해 주는 방법으로 미생물 수가 적은 것을 보완해 줘야 합니다.
5. 일반 발효 보다 좀 더 따뜻하게 발효시켜 당화가 빠르게 일어나도록 해야 합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나는 언제 토론토 가려나...ㅎㅎ

갈매기

2009.12.03 23:43:38
*.253.210.4

아- 믹서기로도 쌀이 갈리는군요...
근데, 1리터 정도 갈려면 여러번 해야 겠군요...
믹서기 안의 남은 쌀가루를 물로헹궈서 부어내면,
전체적으로 쌀가루 + 물이 식은 상태가 될텐데...
끓는 물 2리터로는 죽만들기가 어려울듯한데...

1. 쌀가루 1리터 + 끓는물 2리터 버무려서 다시 살짝 끓이면 안될까요 ?

2. 36시간 뒤, 상태를 보고 덧술을 한다는 건 어떤 뜻이지요 ? 밑술이 부글 부글 끓어야 한다는 건가요 ? 아니면 끓기를 멈춰야 하나요 ? 아니면, 맛을 보아 술맛이 나야 하나요 ?

酒人

2009.12.04 23:44:28
*.106.6.219

1. 좋은 생각이세요. ~^^

2. 발효되는 환경에 따라 덧술 시기가 달라지는데요
술 표면을 봐서 활발하게 끓고 있으면 덧술을 해야 합니다.
완전히 끓고 잠잠해지기 전에 덧술을 하는 것이 좋고요.
덧술 시기가 너무 늦어 버리면 신맛이 강해집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523 덧술 후 과정... [1] 케팔로스 2018-10-22 5105
522 발효과정에서의 맛 변화 [1] 아보카도요거트 2020-12-08 5103
521 안녕하세요. 벌꿀주 미드를 만들어 보려 합니다! 궁금한 것 들 여쭤봐도 될까요? [1] 봉슈 2017-08-03 5098
520 단양주 만들며 궁금한점 입니다. [2] 푸른별 2014-07-22 5092
519 불패주 거르는 시기 file 느루 2012-12-29 5089
518 청주 보관에 대한 문의 [1] 해난 2010-05-25 5086
517 효소나효모를어디서사나요??? [1] 공대생 2014-10-01 5085
516 석임의 활용에 대하여.. [1] 백수환동 2013-06-01 5081
515 밑술의 오염에 대한 대책은? file [2] 아침에술한잔 2007-03-07 5074
514 침전물은 어떻게 이용하나요? [1] 미루 2008-04-11 5073
513 청주가 생기지 않습니다. [2] 걷는바람 2013-11-06 5069
512 술빚기 기초강의 1. 술의 선택 酒人 2006-04-04 5069
511 고구마술 담그는법 부탁드립니다. [1] 도사 2008-10-18 5068
510 5월25일 빚은 쑥술 입니다...^^ file [1] 봇뜰 2008-06-28 5068
509 [re] 하수오주? [2] 酒人 2006-12-22 5056
508 술 담기 초보 이양주 밑술 시기 궁금증? [1] 오렌지컴 2014-06-25 5055
507 석임과 밑술 궁금증 [2] 오렌지컴 2014-09-29 5052
506 덧술을 하면서 물추가... [2] 애주가 2008-08-08 5045
505 숙성시기 [3] [1] 하제 2013-02-12 5043
504 더블엑스님 보세요. ^^ [1] 酒人 2008-04-15 5040
503 고구마술 맛있게 빚고 싶어요 복드림 2009-01-15 5034
502 바보 또 질문 하다~ [2] 두메 2009-02-03 5033
501 거른술을 항아리에 보관할때 [2] 보리콩 2014-02-07 5029
500 밑술에 막이 생기고 하얀 곰팡이가 피어났습니다. 도와주세요~ [5] 밥상머리 2019-10-22 5028
499 부탁드립니다. [1] 반애주가 2013-08-26 5022
498 삼양주 질문 file [1] 맑고달고시고 2024-04-24 5021
497 전통주, 기능주 영업을하고 싶습니다. [3] 酒人 2006-02-17 5021
496 술에 과일껍질을 넣고 싶으면 언제 넣어야 하나요? [1] 청주조아 2024-04-23 5018
495 밑술,덧술 둘다 찹쌀써도 되나요?? [2] 찰리와막걸리공장 2018-10-04 5015
494 호산춘 덧술시기 [1] 예그린 2013-10-01 5014
493 [re] 고두밥과 술 발효와의 관계는? 酒人 2006-12-21 5012
492 석탄주 재료 문의드려요~ file [2] 잠자는뮤 2019-02-14 5008
491 쌀 죽으로 밑술 담글때 죽 아래가 약간 타게 되면? [2] 원삼규 2007-01-10 5008
490 덧술을 해야하나 아니면 버려야 하나 [4] 아침에술한잔 2009-03-28 5005
489 이 더위에도 맛있는술이 담궈 질런지요 [3] 애주가 2008-06-30 5005
488 용수 박았습니다 file [1] 대암 2007-02-13 5005
487 <b>술독 뚜껑 덮는 것에 대하여</b> 酒人 2006-11-06 5003
486 막걸리의 냄새가 이상해요 찐찐 2018-12-09 4999
485 소주내리기에서.. [2] 2008-10-19 4998
484 향기에 관한 질문입니다 [1] 행님 2015-06-29 499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