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술을 사먹지 왜 만들어 먹어요??

조회 수 5181 추천 수 56 2006.01.13 20:22:34
집에서 술을 빚는 사람들에게 이러한 질문은 "힘들게 왜 산에 올라가요?"라는 질문과 별반 다를 게 없습니다. 산을 오르는 것은 힘들지만 다 올랐을 때의 성취감이나 자신감 그리고 그 어떤 느낌이 있는 것 처럼 술을 빚는 다는 것도 이와 다를게 없는 것입니다.

그럼 좀 더 깊이 들어가 볼까요?^^

여러분이 시중에서 사 먹는 술은 "그냥 술"입니다. 여러분도 편하게 먹기 위해 그런 술을 사는 것이고, 여러분이 먹는 그 술 또한 "팔기위해 만든 술"이 되는 것이죠. 그럼,  술 만드는 업체가 팔기위한 술을 만들기 위해서 어떤 방법을 사용할 까요??

집에서 빚는 것처럼 좋은 재료 정성 시간이 투자 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팔기위해 만든 술 대부분은 술의 양을 늘리기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입니다. 집에서 만드는 것처럼 좋은 술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아니죠. (물론 술 만드는 업체도 좋은 술을 빚기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하지만 가정에서 빚는 것만큼 따라올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술을 만들다보니 술에 여러가지 인공감미료를 사용하게 됩니다. 술의 색을 위해서 또는 술의 향을 위해서 또는 술의 맛을 내기 위해서...

그럼 이렇게 넣은 인공감미료는 어디로 갈까요?  물론 다 몸 속으로 들어가겠죠.
다음날 머리가 아프겠죠....^^ 몸이 이러한 물질을 소화하기 위해서 얼마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겠어요. 한번 생각해 보세요..

그러나 집에서 빚어 마시는 술에는 이러한 인공 감미료를 넣으라고 해도 넣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렇게 하지 않아도 술의 맛과 향이 좋기 때문이죠. 물론 몸에 큰 부담이 되지도 않습니다. 좋은 술을 마시면 다음날 아침에 일어나도 몸이 개운하죠? 몸에서 부담을 느끼지 않기 때문입니다.

어떤 술이라도 사람이 먹고 나서 부담을 준다면 그 술은 진정한 "팔기위한 술"입니다. ^^ 그 술을 마시는 사람은 돈 잃고 몸은 몸대로 스트레스 받고..ㅎㅎ

이런 글을 쓰는 저도 가끔 머리아픈 술을 먹습니다.^^ 그러나 좋은 술이 집에 있으면 이런 일은 별로 없죠. 왜냐하면 그 술이 생각나니까요. 한달간 정성스럽게 빚어 놓은 술. 생각만해도 정말 "아까워서 먹기 힘듭니다."

이런 재미를 여러분과 함께 나눴으면 좋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683 발효기간? 궁금합니다. [4] 김정옥 2007-05-18 5813
682 술담는 방법 질문입니다. [2] 술 사랑 2014-12-05 5810
681 요구르트 제조기로 누룩을 만들 순 없을까요? [2] 원삼규 2006-12-27 5809
680 삼양주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1] 와이즈먼 2024-01-18 5798
679 석탄주 밑술 문의입니다. [4] 웃는구야 2012-08-29 5789
678 쑥술만들기 [1] 꼬롱꼬롱 2013-05-05 5785
677 오양주 효모 [4] mekookbrewer 2020-12-22 5778
676 삼양주 담다가 ... 문제가 생겼습니다. ㅠㅠ [2] 곡향 2015-08-20 5774
675 전내기와 술지게미를 이용해서 한 번 더 술을 [3] 술빚는요리사 2020-07-07 5768
674 증식기때 알콜생성? [1] sul4u 2013-07-07 5764
673 덧술을 계속 해주면 어떻게 되나요? [1] 오늘같은내일 2020-10-18 5762
672 소주만들기 조언 부탁드립니다 [1] 알려줄께 2020-11-07 5753
671 제맘대로 단양주? [2] 오야봉 2009-03-20 5753
670 저온 발효 질문 [1] 오렌지컴 2014-12-07 5749
669 밥통으로 고두밥을 지을수 있을까요? mekookbrewer 2021-11-18 5748
668 단맛과 도수가 높은 술 [1] 케팔로스 2018-09-18 5747
667 밑술 끓은지 12시간만에 덧술도 가능한가요 file [1] 瑞香 2017-03-19 5731
666 술거르는 시기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2] 나이스박 2012-03-13 5728
665 1되의 정의~ [3] 김창준 2007-02-08 5722
664 막걸리 제조장 환경은 어떻게 해야될까요? 에옹데옹 2021-06-11 5717
663 전통주 기초강의 2. 에탄올과 메탄올 酒人 2006-03-17 5717
662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11] 두메 2007-02-15 5707
661 전통주빚을때혐기성하는시기 [1] 전산할배 2020-10-25 5688
660 술끓는 소리의 차이점 file [2] 바람의딸 2012-04-22 5688
659 용수박는 시기 질문드립니다~ file [2] synop 2015-05-17 5684
658 술거르는시기가 언제쯤인가요? file [3] 우리술이좋아 2009-12-01 5682
657 발효후 온도? [1] mssports 2014-12-19 5675
656 이화곡 활용 방법 [1] 오오오오 2021-03-11 5669
655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3 file [3] aladinn 2015-03-06 5666
654 밑술과 덧술의 비율 [1] 좋은막걸리 2016-08-03 5663
653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酒人 2006-03-08 5663
652 주정계 사용법??? 두메 2007-03-07 5648
651 누룩에도 알코올이 있나요? 빨간콩 2021-06-18 5647
650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원삼규 2007-02-07 5633
649 24일이 지났습니다. [2] 막걸남 2011-03-26 5630
648 냉장보관 유통기한 및 동전춘 만들기 [1] 엄대장 2012-04-06 5624
647 당화 효소와 관련된 질문입니다. [1] 교반기 2018-11-19 5601
646 침출주 담글때 주의해야 할 것들은?? 酒人 2006-01-12 5594
645 복분자주나 딸기주 담그는 법. 석탄주 2008-09-22 5587
644 누룩구입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비설 2008-12-05 558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