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당화 효소와 관련된 질문입니다.

조회 수 5401 추천 수 0 2018.11.19 14:31:57

가입하자마자 질문부터 남기네요..


당화력 관련해서. 


전분이 당화되어 당분이 생성되는 속도와, 효모가 당분을 소모하는 속도가 일치하면 가장 이상적이지 않을까 싶은데요.


지금까지 그걸 잘 맞추지는 못하고 있긴 합니다.. 당화는 1~2일 안에 다 이루어지고 발효는 3~4일에 완료되는 패턴..

문제는 당화가 빨리되어 당도가 올라가 발효가 멈추는 현상이 종종 나타나는것입니다.


질문 드리고 싶은것은


1SP 라는 단위는 정해진 실험 조건에서 1시간에 효소 1g이 포도당 10mg을 생성하는것을 말한다고 하는 글을 봤습니다.


이 말은 효소 1g으로 2시간이면 20mg을 생성하고 3시간 이면 30mg, 

즉 시간의 제한이 없다면 효소 1g으로 얼마든지 많은 전분을 당화 할 수 있다는 말인가요?


따라서 적은양의 누룩으로 많은양의 술을 빚는것이 가능한 것인가요?

예를들어) 이상적인 조건이라 가정하고 10g의 누룩으로도 얼마든지 많은양의 술을 빚는것이 가능할까요?


효소는 얼마든지 많은양의 전분을 당화 시킬 수 있는것인지. 아니면 어느정도 당화를 하면 효소가 파괴된다든지 하여 소모되어

일정한 양의 전분을 분해하기 위해선 그에 비례하는 양의 당화효소가 필요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두루봐

2018.11.19 20:32:50
*.226.208.223

당화력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알고 계신것 같습니다. 이해하신 대로 당화력은 시간에 비례하고 이론적으로는 말씀하신대로 시간이 걸려서 그렇지 적은 양의 당화제로 많은 양의 전분질을 당화 시킬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해보면 너무 작은 양의 누룩을 쓰면 술이 제대로 안되는 경우를 경험 합니다.
효소력은 온도, pH, 술덧의 농도 등의 영향을 많이 받기에 단순하진 않습니다.
제 생각엔
1. 아무래도 시간이 지나면 당화력이 자연 퇴화되는 것 같고
2. 백국균을 사용 하는 입국은 덜하지만 전통 누룩 효소의 경우 산에 약해(내산성 당화력) 술이 산성이 되면(시어지면) 당화력이 급격히 떨어 집니다. 술은 잘 됐는데 시다라는 말은 모순이란 얘기죠. 결국 시어졌다는 말은 전분질이 최종 단계인 알코올로 제대로 전환 되지 못했다는 거죠.
어떤효소를 말씀 하시는지 모르겠지만 효소제 마다 특성을 숙지 하시고 이론과 실제는 차이가 있기에 많은 시행 착오를 축적 하는게 최선 인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763 삼양주 빚을때 1차 2차 덧술의 선택은? file 원삼규 2007-01-06 6101
762 효모에 대해... [2] sul4u 2013-06-28 6098
761 담금주에 대하여 궁금한게있답니다.?? 아이다호 2018-02-06 6078
760 단호박술을 담어 보고 싶은데요 [1] 보리알맹이 2011-09-29 6078
759 밑술 냄새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1] 비니 2010-12-15 6073
758 초산균(초산발효)의 침입을 막자. 酒人 2006-05-27 6068
757 석탄주 덧술시기와 저어주기관한 질문... [1] 나무그늘 2009-11-12 6067
756 술을 빚다 보면 이런일도 있지요. file [2] 酒人 2006-03-04 6066
755 단양주 물의 양을 어느정도 해야하나요? file [1] 이탁배기 2019-05-30 6065
754 식히는 시간과 발효와의 관계가 있나요? [1] 얄리야리 2021-02-09 6063
753 집에서 술을 재조해서 팔면 법에 저촉되나요? [3] 관리자 2006-02-07 6037
752 이화곡으로 현미술을 만들때... [2] sul4u 2013-07-16 6030
751 쌀누룩과 막걸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9-03 6029
750 게시판 성격이랑 맞지 않는 질문일수도 있는데요 [1] 반야 2011-11-21 6024
749 이 막은 무엇인가요? file [1] 미고자라드 2007-06-14 6022
748 누룩 메달아놓기 [2] hedge 2011-04-26 6021
747 알콜 70% 감홍로주 file [6] 酒人 2006-05-14 6018
746 밥으로 술을 빚을때....물의양은? [4] 아리랑 2012-03-12 6013
745 주모를 빚는 과정에서 [1] mumu 2013-08-15 5991
744 물의 양에 관한 질문 [1] 북성 2014-01-24 5979
743 백국 관련해서 여쭤봅니다. [1] cheeze 2023-10-27 5965
742 삼양주 만들고 있는데 질문 드립니다. [1] 썬연료 2023-11-22 5962
741 씨앗술과 밑술의 차이가 뭘까요 [1] PJC0405 2023-12-04 5950
740 오양주 밀가루 넣는방법 [2] mekookbrewer 2020-08-18 5940
739 범벅에 사용하는 쌀가루 습식? 건식? [3] 연필꽂이 2020-09-29 5937
738 밑술 쌀가루에 대해서 [1] 조영철 2008-04-16 5934
737 술거르는 시기? file [2] 나이스박 2014-04-03 5931
736 밀가루 사용에 관하여 [2] 우정 2007-07-04 5919
735 술 걸르다보면 걸죽한 요구르트같은것일때,쉰맛,쌀맛에 대해서 [1] 창힐 2013-09-09 5909
734 막걸리가 셔요 ㅜ [1] 막걸리조 2010-02-16 5902
733 현미죽으로 만든 밑술, 천막(^^)이 생겼어요.. file [2] anakii 2013-11-25 5898
732 더운 날씨 술빗기 [2] sul4u 2013-07-26 5893
731 [re] <b>밑술의 맛은 ?</b> 酒人 2006-11-03 5893
730 전통주 기초강의 3. 효소와 효모 酒人 2006-03-17 5891
729 <b>술을 빚는 세 가지 방법</b> [2] 酒人 2008-04-07 5889
728 술이새콤하네요 file [4] 향온주만들어보고싶다 2009-05-04 5888
727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2) file [2] aladinn 2015-03-03 5882
726 삼지구엽주 ? 녹야 2008-08-08 5878
725 씨앗술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3 5864
724 덧술시기... [2] 바람따라.. 2014-11-05 586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