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애주

조회 수 4129 추천 수 62 2006.08.04 12:55:06
밑술   멥쌀 1.6kg 가루내어
          생쑥 200g 정도를 물 7.2L를 붓고 한시간 정도 끓임
           끓인물로 범벅을 쑤고
            누룩(스승님 누룩)을 600g을 넣고 밑술 담금
             거의 하루만에 냉각시켜 3일만에 덧술을 함

덧술  찹쌀 8kg으로 고두밥(생쑥 200g 얹고)을 쪄
         누룩 400g 을 넣고 덧술해서 앉히고
          열흘만에 걸름

걸를때는 맛이 조금 달고 도수는 적당한거 같고 박하향 같은 것이 나고 빛깔은 연한 연두빛이었습니다. 처음에는 맛이 아주 좋았는데 제가 보관을 잘못한 것인지 모르겠네요.

그리고 대잎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려주셔서 아주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주인님과 여러 고수님들의 우리술 사랑하는 마음이 너무 아름답습니다.
존경스럽습니다.
그리고 저희 남편의 오랜친구 희석식대신 제가 담근 우리술이 그 자리를 메꿀수 있도록 저도 노력을 많이 해야 될것 같습니다.
그럼,   날씨가 우리들을 힘들게 할지라도 슬퍼하거나 노하지 말고 모두들 건강하시기를 바랍니다.

酒人

2006.08.06 23:34:22
*.61.225.98

누룩이 좀 많이 들어간 것 같기는 하지만 술 거를 때 맛이 괜찮았다면 술 제조법에는 큰 이상이 없는 듯 합니다. 다만, 밑술을 하루만에 냉각시켰다고 하셨는데요.

냉각을 시켰다는 것은 술독의 온도가 많이 상승했다는 것인데, 밑술의 온도가 높게 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혹시 보쌈을 하신 것은 아니죠? 요즘은 밑술을 찬 물에 담가 놓고 발효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에 쑥술을 빚을 때에는 누룩을 밑술에 500g만 넣으셔도 될 것 같구요. 청주의 양을 늘리기 위해서 쑥을 끓일 때 12리터를 9리터가 되도록 한 다음에 사용하시면 많은 양의 술을 얻을 수 있습니다.

술을 거를 때에는 가급적 공기와의 접촉을 피하고, 작은 용기에 여러개 담는 것 보다는 큰 용기에 냉장고에 보관하셨다가 술이 맑아지면 여러개의 용기에 담는 것이 좋습니다.

잘 만들어진 쑥술은 시간이 지날수록 술의 맛과 향이 좋아지며 술의 색은 연한 연두빛을 가지게 됩니다. 또한, 술의 색깔은 완전히 말린 쑥이 가장 진하고, 중간 말린 것이 두번째, 생쑥을 사용했을 때가 세번째입니다.

참고하셔서 좋은 쑥술 만드시길 바랍니다. 특히, 술을 잘 못하는 사람도 쑥술은 잘 먹는데요. 너무 많이 마시게 하지 마세요. 자신도 모르게 쓰러지는 경우가 생깁니다. ^^ 보통 소주 1병 드시는 분이 쑥술 1잔 드시면 주무십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441 이화주 발효온도 [2] mekookbrewer 2021-02-28 4400
440 시작하기 전에 준비물이요. [2] 술똑다컴 2009-01-28 4390
439 이곳에는 방앗간이 없습니다. [6] 갈매기 2009-12-03 4389
438 쑥술을 빚었습니다...^^ file [3] 봇뜰 2008-05-25 4384
437 밤막걸리 제조 레시피 [1] 마라탕 2020-11-23 4382
436 [re] 답변입니다. [2] 酒人 2008-10-10 4380
435 덧술 상태좀 봐주세요 ㅠㅠ file [1] synop 2015-06-12 4378
434 삼양주 범벅 질문입니다 file [1] 레오몬 2020-02-13 4370
433 덧술한지 일주일이 조금 넘었습니다.. file [1] 루덴스 2019-05-20 4367
432 밑에쓴 질문이요 반애주가 2013-05-20 4366
431 막거리 레시피 한번 봐주세요 [1] 오렌지컴 2014-10-02 4364
430 덧술 시기가 궁금해요 file [2] 제천인어공주 2012-06-18 4361
429 발효가 덜된 걸죽한 술을 망으로 걸렀는데... [2] 허허술 2009-12-18 4361
428 단호박술 [1] 돌돌이 2008-10-20 4360
427 석탄주 밀봉 방법에 대해 (에어락) 질문입니다 ㅜ [1] 호박654 2020-04-16 4358
426 <b>내 술은 왜 투명하지 못한가. </b> 酒人 2007-04-08 4350
425 <b>술 제조해서 팔다 걸리면 어떻게..??</b> [1] 酒人 2006-07-06 4338
424 덧술할 고두밥에 물을 섞을때와 그냥 넣을때의 차이점.. [2] 나이스박 2014-03-22 4333
423 호산춘 도전중 .. [2] 장락 2013-03-10 4332
422 막걸리의 냄새가 이상해요 찐찐 2018-12-09 4328
421 씨앗술로 이양주~ [1] 산에살다 2015-05-23 4324
420 이런 노란게 생겼는데 곰팡이 일까요? file [1] 끼옹이 2023-02-01 4320
419 효모가 죽은 막걸리의 탄산화는 어떻게 하나요? [1] 청주조아 2023-12-27 4318
418 거른술을 항아리에 보관할때 [2] 보리콩 2014-02-07 4315
417 호산춘 덧술시기 [1] 예그린 2013-10-01 4307
416 저온 발효에관하여 여쭤 봅니다. 오작교 2022-10-29 4306
415 [re] 답변입니다. ^^ [2] 酒人 2008-12-12 4306
414 막걸리 병입후에 4-5일후에 생기는 현상 궁금합니다. file [1] 아이다호 2017-04-23 4301
413 식초와 막걸리 걸음후 관리에 대해서 문의좀 드립니다. [1] 푸른별 2014-04-15 4298
412 소주를 만들려고 하는데요~ [3] 두메 2009-01-23 4296
411 누룩과 고두밥 또는 밑술과 고두밥 혼화방법 내사랑 2008-11-04 4295
410 침출주를 증류하면... [2] 김기욱 2006-06-16 4294
409 주경야독? [2] 농부의 아내 2009-03-21 4288
408 발효통 크기 정하는법 [1] 반애주가 2013-02-04 4287
407 부탁드립니다. [1] 반애주가 2013-08-26 4279
406 삼양주 냉장숙성을 야외에서 해도 되나요? [1] 청주조아 2023-11-29 4276
405 불패주와 미생물에 대한 문의 내사랑 2008-10-10 4272
404 첫 작품 호산춘 때문에 ....... ^^ [1] 장락 2013-04-25 4269
403 술이 이상합니다. [3] 비설 2008-12-18 4267
402 용수를 박으면 튀어 올라오는데요..... [4] 고망고망 2009-08-21 426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