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당화 효소와 관련된 질문입니다.

조회 수 4844 추천 수 0 2018.11.19 14:31:57

가입하자마자 질문부터 남기네요..


당화력 관련해서. 


전분이 당화되어 당분이 생성되는 속도와, 효모가 당분을 소모하는 속도가 일치하면 가장 이상적이지 않을까 싶은데요.


지금까지 그걸 잘 맞추지는 못하고 있긴 합니다.. 당화는 1~2일 안에 다 이루어지고 발효는 3~4일에 완료되는 패턴..

문제는 당화가 빨리되어 당도가 올라가 발효가 멈추는 현상이 종종 나타나는것입니다.


질문 드리고 싶은것은


1SP 라는 단위는 정해진 실험 조건에서 1시간에 효소 1g이 포도당 10mg을 생성하는것을 말한다고 하는 글을 봤습니다.


이 말은 효소 1g으로 2시간이면 20mg을 생성하고 3시간 이면 30mg, 

즉 시간의 제한이 없다면 효소 1g으로 얼마든지 많은 전분을 당화 할 수 있다는 말인가요?


따라서 적은양의 누룩으로 많은양의 술을 빚는것이 가능한 것인가요?

예를들어) 이상적인 조건이라 가정하고 10g의 누룩으로도 얼마든지 많은양의 술을 빚는것이 가능할까요?


효소는 얼마든지 많은양의 전분을 당화 시킬 수 있는것인지. 아니면 어느정도 당화를 하면 효소가 파괴된다든지 하여 소모되어

일정한 양의 전분을 분해하기 위해선 그에 비례하는 양의 당화효소가 필요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두루봐

2018.11.19 20:32:50
*.226.208.223

당화력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알고 계신것 같습니다. 이해하신 대로 당화력은 시간에 비례하고 이론적으로는 말씀하신대로 시간이 걸려서 그렇지 적은 양의 당화제로 많은 양의 전분질을 당화 시킬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해보면 너무 작은 양의 누룩을 쓰면 술이 제대로 안되는 경우를 경험 합니다.
효소력은 온도, pH, 술덧의 농도 등의 영향을 많이 받기에 단순하진 않습니다.
제 생각엔
1. 아무래도 시간이 지나면 당화력이 자연 퇴화되는 것 같고
2. 백국균을 사용 하는 입국은 덜하지만 전통 누룩 효소의 경우 산에 약해(내산성 당화력) 술이 산성이 되면(시어지면) 당화력이 급격히 떨어 집니다. 술은 잘 됐는데 시다라는 말은 모순이란 얘기죠. 결국 시어졌다는 말은 전분질이 최종 단계인 알코올로 제대로 전환 되지 못했다는 거죠.
어떤효소를 말씀 하시는지 모르겠지만 효소제 마다 특성을 숙지 하시고 이론과 실제는 차이가 있기에 많은 시행 착오를 축적 하는게 최선 인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밑술 발효 완료는 어느 정도 기다려야 하는건가요? [1]

술 다 익은 정도 확인 방법 [1]

층분리가 안되는데 어떻게 하면 될까요? file [1]

  • 주미
  • 2023-05-30
  • 조회 수 5668

술 쉰내 [2]

밑술의 적정온도와 포도주빚기입니다. [4]

  • 酒人
  • 2006-09-15
  • 조회 수 5650

삼양주 고두밥 덧술 후 22일 째 강한 알콜향 [1]

밑술과 덧술시 재료에 대하여 [2]

발효기간? 궁금합니다. [4]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 file [3]

  • aladinn
  • 2015-02-26
  • 조회 수 5619

<b>울릉도 호박막걸리 제조법 </b> [1]

  • 酒人
  • 2008-09-18
  • 조회 수 5610

요구르트 제조기로 누룩을 만들 순 없을까요? [2]

안녕하세요 전통주 초보자인데 궁금한게 있습니다 [2]

씨앗술 만들기. [2]

  • 창힐
  • 2012-08-14
  • 조회 수 5579

식히는 시간과 발효와의 관계가 있나요? [1]

이화곡 가루를 이용해서 입국을 만들려면.. [1]

쌀누룩과 막걸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누룩 보관기간 [1]

단양주 물의 양을 어느정도 해야하나요? file [1]

1되의 정의~ [3]

발효와 온도 [2]

  • 포수
  • 2013-06-24
  • 조회 수 5502

저온숙성중 맛의 변화 [2]

  • Kimeric
  • 2023-06-29
  • 조회 수 5497

담금주에 대하여 궁금한게있답니다.??

술독의 진정성...밥으로 만드는 술은? [4]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11]

  • 두메
  • 2007-02-15
  • 조회 수 5459

향온주 빚을때... file [2]

전통주 기초강의 2. 에탄올과 메탄올

  • 酒人
  • 2006-03-17
  • 조회 수 5451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제맘대로 단양주? [2]

효모에 대해... [2]

  • sul4u
  • 2013-06-28
  • 조회 수 5415

쑥술만들기 [1]

누룩구입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 비설
  • 2008-12-05
  • 조회 수 5413

술거르는 시기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2]

탁주를 만드는 중 여러가지 궁금한점이 생겨서 여쭤봅니다. [1]

  • 희진
  • 2023-03-21
  • 조회 수 5411

주정계 사용법???

  • 두메
  • 2007-03-07
  • 조회 수 5410

2021년 돼지날들이 언제인가요? [2]

복분자주나 딸기주 담그는 법.

술거르는 시기? file [2]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 酒人
  • 2006-03-08
  • 조회 수 5385

술거르는시기가 언제쯤인가요? file [3]

범벅에 사용하는 쌀가루 습식? 건식? [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