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막걸리 현재 상태 확인좀 부탁드립니다.

조회 수 6371 추천 수 45 2008.04.13 23:02:09


안녕하십니까

현재 단양주를 10일째 익히고 있는 중입니다.

첨부된 그림처럼 층이 2개로 나눠진 상태이고 뚜껑을 열어서 안을 보면 중앙 부분에서 조금씩 기포가 올라 오고있습니다

온도는 25도에서 20도 사이에서 왔다갔다 하고있습니다.

위에 뜬 부분만 맛을 봤습니다. 알콜때문에 독한데 맛은 싱겁습니다.
먹을때 아래층과 위에층을 썩어서 먹어야 되는데 윗부분만 먹어서 그런가요?
처음 담는 술이라 조금 조심스럽습니다...

지금쯤이면 걸러야 하나요?
아직 기포가 한번씩 올라오니 좀더 기다닐까요?

酒人

2008.04.14 13:42:08
*.212.132.34

더블엑스님 안녕하세요.^^

투명한 용기에 담아 발효를 시켜도 좋지만 가능하면 빛이 투과되지 않는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빛 때문에 술의 색깔이 빨리 변하기 때문입니다.

술은 걸러서 보관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발효가 많이 되도 소량의 탄산이 발생하게 되어 있습니다. 걸러서 냉장고 등에 넣어 놓고 맑아지면 사용하시지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더블엑스

2008.04.14 17:31:57
*.248.234.27

주인님 항상 지도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온도를 맞추기 위해 보쌈은 해놓아서 빛은 안들어갔습니다.(신문 또는 옷으로)^^*
근데 어느 정도가 되면 술을 걸러야 되는지요?
오늘 걸러서 냉장 보관하겠습니다..

혹시 냉장고에 보관시 얼마나 보관해도 괜찮을까요?
오래 두면 초가 되나요?

酒人

2008.04.14 23:18:52
*.46.8.42

알코올 도수가 높으면 초가 되진 않아요.
그러나 알코올 도수가 14% 정도 이하가 되면
초가 되기 쉽습니다. ^^
따라서 정확한 알코올 도수를 알아야 할 것 같고요.

냉장고에 보관하면 술 속의 단백질이나 다른 침천물이
응축되어 맑은 술을 더 빨리 얻을 수 있습니다.
침전물이 가라 앉는 것을 관찰하시고요. 술 마다 차이가
나겠지만 넉넉 잡고 1주일 정도 넣어 두신 후에 위에 맑게
고인 술을 취하면 될 듯 합니다.

거르는 시기는 각 게시판에 올려 놓은 자료들이 있습니다.
검색하시면서 공부도 하시면 좋겠네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더블엑스

2008.04.15 00:27:11
*.44.22.34

酒人님 답변 항상 감사합니다..
방금 술 걸러서 PT병에 담아서 김치냉장고에 넣었습니다..ㅋㅋ
이제 맑은 술이 나오길 기다리면 되겠네요..ㅋㅋ

그리고 2차술 할려고 지꺼기와 같은 비율로 물 끓여 식혀서 다시 발효 들어갔습니다..^^*
1차술 가라 앉은 지꺼기 부분과 2차술을 섞어서 막걸리 해먹으면 되죠??

손에서 막걸리 냄새가 진동합니다..ㅋㅋ 그래도 첨한건데 맛있으면 좋겠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2 누룩틀 [1] 우리술이좋아 2010-02-10 4657
361 덧술발효에 대하여.. [2] 섬누룩 2010-02-10 3900
360 포도주용 측정기인데 우리 전통주도 가능할까요? [2] 술향 2010-02-10 3869
359 술 량이 적은것 같아서요~ [2] 두메 2010-02-05 3378
358 호산춘의 덧술방법에 대하여 [2] 우리술이좋아 2010-02-04 3500
357 밑술과 덧술시 재료에 대하여 [2] 우리술이좋아 2010-01-27 5756
356 진상주 문의 드립니다. [4] 술향 2010-01-27 3466
355 현미찹쌀로도 술을 빚을 수있나요? [2] 새로미 2010-01-24 4315
354 청주만들기2 [2] 우리술이좋아 2010-01-22 3676
353 청주만들기 [2] 우리술이좋아 2010-01-21 7307
352 단맛이 많이 납니다. [2] 섬누룩 2010-01-18 4123
351 누룩에 대한 질문입니다. secret [1] 전통주연구 2010-01-14 484
350 酒人님께 여쭙니다. [1] 갈매기 2010-01-04 3425
349 봉출주는 어떻게 빚으셨는지.. [2] 허허술 2010-01-01 3494
348 [re] 석임 제조에 대하여 酒人 2009-12-29 6139
347 석임 제조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비바우 2009-12-28 3885
346 삼백주가 궁금합니다. [3] 허허술 2009-12-22 3398
345 발효 및 숙성 기간에 대하여.. [2] 김군 2009-12-20 5002
344 발효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이해력이 부족해서... [3] 김군 2009-12-19 3504
343 발효가 덜된 걸죽한 술을 망으로 걸렀는데... [2] 허허술 2009-12-18 4437
342 누룩에 벌레가 생겼습니다. [4] 갈매기 2009-12-11 7091
341 제가 정리한 레시피입니다. [1] 갈매기 2009-12-08 5069
340 황금주 만들때...*^^* [1] 왈순아지매 2009-12-04 4554
339 이곳에는 방앗간이 없습니다. [6] 갈매기 2009-12-03 4488
338 초보자의 도수 측정..ㅠ [3] [1] 달갸리 2009-12-02 11777
337 술거르는시기가 언제쯤인가요? file [3] 우리술이좋아 2009-12-01 5511
336 밑술온도에 대해여... [3] 섬누룩 2009-11-27 4724
335 밑술에 대하여 여쭙니다. [2] 섬누룩 2009-11-23 3864
334 범벅에 대하여 [2] 우리술이좋아 2009-11-23 3794
333 질문있습니다! [2] 보해미안 2009-11-13 3525
332 석탄주 덧술시기와 저어주기관한 질문... [1] 나무그늘 2009-11-12 6010
331 전통누룩과 개량 누룩의 차이 [1] 샛별 2009-11-10 11093
330 질문을 자주해서 죄송 [3] 우리술이좋아 2009-11-10 3999
329 보경가주에 대한 질의 [1] 우리술이좋아 2009-11-09 3593
328 탁주 만드는데 궁굼한게있어요. [1] 보해미안 2009-11-06 3664
327 제대로 되어가는중인지 궁금합니다 [2] 우리술이좋아 2009-11-03 3897
326 곡물과 물의 비율 [1] 우리술이좋아 2009-10-30 5011
325 엿술을 빗었는데 정확한 도수를 모르겠습니다. [6] 농부의 아내 2009-10-28 4953
324 문의드립니다. [1] 나무그늘 2009-10-22 3411
323 문의 드립니다 [1] 녹야 2009-10-14 344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