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막걸리 현재 상태 확인좀 부탁드립니다.

조회 수 6335 추천 수 45 2008.04.13 23:02:09


안녕하십니까

현재 단양주를 10일째 익히고 있는 중입니다.

첨부된 그림처럼 층이 2개로 나눠진 상태이고 뚜껑을 열어서 안을 보면 중앙 부분에서 조금씩 기포가 올라 오고있습니다

온도는 25도에서 20도 사이에서 왔다갔다 하고있습니다.

위에 뜬 부분만 맛을 봤습니다. 알콜때문에 독한데 맛은 싱겁습니다.
먹을때 아래층과 위에층을 썩어서 먹어야 되는데 윗부분만 먹어서 그런가요?
처음 담는 술이라 조금 조심스럽습니다...

지금쯤이면 걸러야 하나요?
아직 기포가 한번씩 올라오니 좀더 기다닐까요?

酒人

2008.04.14 13:42:08
*.212.132.34

더블엑스님 안녕하세요.^^

투명한 용기에 담아 발효를 시켜도 좋지만 가능하면 빛이 투과되지 않는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빛 때문에 술의 색깔이 빨리 변하기 때문입니다.

술은 걸러서 보관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발효가 많이 되도 소량의 탄산이 발생하게 되어 있습니다. 걸러서 냉장고 등에 넣어 놓고 맑아지면 사용하시지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더블엑스

2008.04.14 17:31:57
*.248.234.27

주인님 항상 지도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온도를 맞추기 위해 보쌈은 해놓아서 빛은 안들어갔습니다.(신문 또는 옷으로)^^*
근데 어느 정도가 되면 술을 걸러야 되는지요?
오늘 걸러서 냉장 보관하겠습니다..

혹시 냉장고에 보관시 얼마나 보관해도 괜찮을까요?
오래 두면 초가 되나요?

酒人

2008.04.14 23:18:52
*.46.8.42

알코올 도수가 높으면 초가 되진 않아요.
그러나 알코올 도수가 14% 정도 이하가 되면
초가 되기 쉽습니다. ^^
따라서 정확한 알코올 도수를 알아야 할 것 같고요.

냉장고에 보관하면 술 속의 단백질이나 다른 침천물이
응축되어 맑은 술을 더 빨리 얻을 수 있습니다.
침전물이 가라 앉는 것을 관찰하시고요. 술 마다 차이가
나겠지만 넉넉 잡고 1주일 정도 넣어 두신 후에 위에 맑게
고인 술을 취하면 될 듯 합니다.

거르는 시기는 각 게시판에 올려 놓은 자료들이 있습니다.
검색하시면서 공부도 하시면 좋겠네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더블엑스

2008.04.15 00:27:11
*.44.22.34

酒人님 답변 항상 감사합니다..
방금 술 걸러서 PT병에 담아서 김치냉장고에 넣었습니다..ㅋㅋ
이제 맑은 술이 나오길 기다리면 되겠네요..ㅋㅋ

그리고 2차술 할려고 지꺼기와 같은 비율로 물 끓여 식혀서 다시 발효 들어갔습니다..^^*
1차술 가라 앉은 지꺼기 부분과 2차술을 섞어서 막걸리 해먹으면 되죠??

손에서 막걸리 냄새가 진동합니다..ㅋㅋ 그래도 첨한건데 맛있으면 좋겠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962 막걸리 숙성에 관한 질문 [3] alpha 2012-01-20 64502
961 <b>술의 신맛 고치는 법</b> [1] 酒人 2007-09-27 29262
960 <b>누룩만들기 제 1장 - 누룩의 기본</b> [2] 酒人 2007-10-21 25786
959 미국에서 쌀가루 질문 [3] [1] johnfrankl0 2012-08-10 25633
958 고두밥 보존 방법이 있나요? [2] 민속주 2012-07-01 24975
957 감식초 만드는 방법 [4] 酒人 2008-10-13 20317
956 주정계 사용법입니다. [2] 酒人 2007-03-07 18778
955 일반 가정에의 항아리 소독법은??(증기법) 酒人 2006-01-21 18249
954 주정분표(알코올 도수환산표) 보는 방법 file 酒人 2006-09-27 17632
953 막걸리 맛있게 만드는 방법 酒人 2009-01-07 17535
952 막걸리 만들기 제 1장 : 막걸리란? 酒人 2007-12-26 16651
951 누룩 만드는 법 file [1] 강마에 2009-04-13 16421
950 <b>최고의 건강 식초 - 복분자 식초 만들기 </b> [1] 酒人 2008-07-12 16098
949 술 빚기 도구 및 재료 구입처 누룩 2009-01-02 14635
948 막걸리 담는데 온도가 낮아도 되나요? [3] 더블엑스 2008-04-04 14340
947 이양주(멥쌀밑술-찹쌀덧술)처음으로 빚었는데, 쓴맛이 조금 나네요. [2] 김달공 2012-02-28 13497
946 술독에서 술 빚기에 사용하는 단위 [3] 누룩 2009-01-02 12983
945 엿기름사용에 관하여 [3] 우리술이좋아 2010-03-16 12748
944 덧술시 고두밥과 압력솥밥의 차이 [2] 우리술이좋아 2012-03-20 12293
943 막걸리 만들때 물양 질문드립니다. [1] 모르는 2010-04-19 12127
942 <b> 홉, 되, 말에 대하여...</b> file 酒人 2007-02-09 12076
941 [re] 고구마술 담그는법 [2] 酒人 2008-10-21 11807
940 초보자의 도수 측정..ㅠ [3] [1] 달갸리 2009-12-02 11642
939 누룩법제 [3] 상갑 2009-01-06 11532
938 오양주 만드는방법 [4] 비오리 2012-05-22 11454
937 <b>효모랑 대화하면 술빚는게 즐겁다.</b> [1] 酒人 2006-05-02 11377
936 <b>누룩만들기 제 7장 -'효모'이야기</b> [11] [1] 酒人 2007-11-12 11065
935 전통누룩과 개량 누룩의 차이 [1] 샛별 2009-11-10 10971
934 저온발효/저온숙성 [2] 아리랑 2013-02-20 10969
933 부피 단위 (되/말)에 대한 문의 [3] 해난 2012-01-05 10922
932 삼양주이상 중양주 빚는 방법은? [3] 무설탕 2011-10-25 10885
931 탄산이 강한 막걸리 만드는 방법이 어떻게 될까요? [3] 후아랴 2021-07-21 10855
930 소나무에 막걸리를 주면 잘자란다? [2] 酒人 2006-03-12 10638
929 막걸리와 동동주의 차이 [1] 나술퍼맨 2013-05-02 10541
928 오염균 사진 file [2] 강마에 2009-05-04 9898
927 석탄주 만들기 [2] 전통주 love 2009-03-26 9638
926 누룩보관하기 좋은 방법 알고 싶어요 [3] 신의 2008-08-19 9499
925 쓴술맛을 부드럽게 하는 방법을? [3] 김정옥 2008-04-04 9267
924 지식쌓기 - 호산춘(壺山春)에 대하여... 酒人 2007-02-07 9172
923 <b>생쌀 발효법 그 진실은</b> 酒人 2006-04-19 916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