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re] 답변입니다.

조회 수 3919 추천 수 35 2009.03.14 12:44:09
>자료들을 쭉 읽다보니 이번 술은 실패한것 같습니다.
>2차 덧술 시기를 놓친것 같아요. 밑술담고 30시간이 넘었어요.
>쌀불리는 시간도 안되고 일단 덧술 시기는 놓친것같은데요.
>문제는 밑술할때 물양을 너무 작게 잡았는지 술통을 보니 빽빽한게 끊지를 않아요. 발효냄새는 나는데요. 이럴땐 어떻게 해야하나요.?
>처음 술담을땐 덧술이라는것은 아예 몰라서 밑술로만 술을 만들었거든요.
>신맛도 강하고 항아리에 하얀곰팡이? 가 잔뜩 덮어었는데,
>누룩공장에 전화해보니 신맛이 나면 설탕을 섞으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그렇게 해서 마셨습니다.
>옳은방법인지 모르겠어요.
>또 신맛이 적게 하려면 물엿을 넣고 끊여 식힌 물로 사용하라고 해서
>이번것은 그렇게 해본거거든요.
>속시원한 답변 듣고 싶습니다.


-----------------------------  답변 -----------------------------------

밑술을 고두밥으로 한 것은
지금 막 태어난 아이에게
생쌀을 먹인 것이랑 같습니다.

효모를 넣어도
효모가 먹을 포도당이 있어야 하는데
당 자체를 만들기 힘들기 때문에
효모도 먹을 거리가 없겠죠...

술이 실패한 것이 아니라
오야붕님의 조급함이
술을 실패의 길로 가게 한 것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아마도 미생물들이 영양분을 섭취 못해 크지를
못하는 것 같습니다.
밑술이 미생물을 증식 시키기 위해 하는 것인데
그렇다면 미생물들이 잘 증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술을 빚어야 하지 않을까요.
죽이나 범벅 등 쌀을 가루 내어 술을 빚는 이유는
바로 미생물들이 잘 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입니다.


일반 적으로

술을 끓어 오르는 것은
술을 빚자마자 끓는 소리가 나거나 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시기가 지나면 갑자기 끓어 오르기 시작합니다.
예를 들어 48시간 정도 후에 덧술을 해야 하는 술도
30시간 정도까지는 처음 상태 그대로였다가
어느 시간이 지나면 그때부터 끓어 오르는 소리가 나고
술이 아주 묽어지게 됩니다.

부산누룩의 특징이 알코올 발효력보다 당화력이 좋은
누룩입니다. 또 하나는 술 표면에 흰 곰팡이가 피는데요
이를 제거하면 그 안에서는 활발하게 발효가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밑술을 하고 덧술을 하면 다음 부터는 술 표면에
흰 곰팡이가 피는 일은 없을 거에요.
술에 설탕을 넣든, 물엿을 넣든 그것은 술 빚는 사람 마음이니
제가 이래라 저래라 할 사항은 아닌 것 같고요.^^

술 표면에 뻑뻑한 것을 주걱 등으로 떠 내 보시면
안에서는 아주 묽어져 있을 것입니다. 소리도 잘 들릴 것이고요.
그렇지 않다면 술 제조법을 올려 주시면
좀 더 상세한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맛이 좋은 술은 기다림에서 나옵니다.
그져 그랬던 술이
오랜 시간이 지나 명주가 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오야붕님께서도 너무 성급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술이 어떻게 되어 가는지 끝까지 한 번 지켜 보시기 바랍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기다림, 명주 탄생은 기다림에서 나옵니다.  "술독" www.suldoc.com


오야봉

2009.03.14 21:55:40
*.206.18.211

네..저의 무지함과 조급함이 있었군요.
실패할거 각오하고 시작한 것이니 그리 속상할것은 없지만
재료가 좀 아깝다는 생각에...
좀더 지켜봐야겠어요.
다음번엔 꼭 죽이나 범벅으로 제대로 해봐야겠습니다.
선생님들께 제대로 보고 배워하 하는것을 들어 주은것으로 하려니 여간 힘들지 않네요. 교육과정을 보려고 하는데 아직 권한이 없는지 볼수가 없네요.
어떻게 하면 배울수있는지 궁금합니다.

酒人

2009.03.16 12:38:51
*.66.168.3

아직 교육 프로그램을 올려 놓지
못했습니다.
법인 허가 후
교육 과정 등을 새롭게 올리려고 합니다.

최대한 빠른 시간안에 공지하도록 하겠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63 술빚을 때 알코올 도수 반애주가 2014-03-08 4396
362 책에 나와있는 "류가향" 은 어떤 술인가요? [2] 허주영 2014-08-10 4391
361 <b>술 제조해서 팔다 걸리면 어떻게..??</b> [1] 酒人 2006-07-06 4391
360 주안님에 맛이 독한 술 처리법을 읽어보고... [2] 오렌지컴 2014-09-13 4383
359 보쌈이 무엇인가요 [1] 무등산 2018-04-12 4382
358 침출주 거르기 [1] 궁금증 2015-06-01 4380
357 동동주 한번더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4-15 4380
356 현미찹쌀로도 술을 빚을 수있나요? [2] 새로미 2010-01-24 4379
355 침출주를 증류하면... [2] 김기욱 2006-06-16 4375
354 잡곡밥 술이 될까요?? [1] 네오락이 2020-06-23 4370
353 누룩과 고두밥 또는 밑술과 고두밥 혼화방법 내사랑 2008-11-04 4369
352 용수를 박으면 튀어 올라오는데요..... [4] 고망고망 2009-08-21 4368
351 전통주 청주와 탁주 사용법 [2] mekookbrewer 2020-09-12 4367
350 불패주와 미생물에 대한 문의 내사랑 2008-10-10 4367
349 과일을 이용한 술 빚는 법에 관하여 질문 드립니다 [1] leon 2020-12-05 4361
348 [re] 어떤술이 나올까요?? file [3] 더블엑스 2008-05-23 4359
347 이양주를 해보는 중입니다 궁금한것이 있어서요 [2] 수오기 2014-09-26 4358
346 쌀 종류에 따른 술맛이 궁금합니다. [2] 오렌지컴 2014-09-23 4357
345 궁금해서 여쭙니다. [3] 오야봉 2009-03-13 4352
344 맑은 술 증류 후 [3] 방구석신선 2023-02-06 4345
343 빚어야하는 술^^ [1] 술과 함께.. 2007-09-15 4343
342 첫번째시도--덧술을 확인하였는데요... [7] 고망고망 2009-08-09 4340
341 술이 이상합니다. [3] 비설 2008-12-18 4340
340 [re] &lt;b&gt;도토리술 제조법&lt;/b&gt; 호정 2007-10-25 4340
339 밑술담기의 적정온도는? 김정옥 2006-09-15 4338
338 [re] 술이 이상해요? [1] 마중물 2008-12-15 4337
337 오래된 침출주 버리기가 아까운데 [1] 상갑 2008-10-31 4335
336 <b>설날에 먹을 삼양주 "호산춘"입니다.</b> [2] 酒人 2007-01-04 4312
335 과하주 관련 질문입니다~ [1] shosho 2019-07-19 4311
334 고맙습니다 [1] yk 2013-12-03 4311
333 술에 단맛을 더하는 방법좀 알려 주세요~ [2] 두메 2010-12-13 4311
332 궁금한 것이 있어서요 [1] 조인순 2008-01-08 4310
331 술빗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독대 2013-05-07 4305
330 빚은 청주에서 탄산가스가 생기면? [1] 원삼규 2007-01-12 4302
329 연잎주 질문? [3] 오렌지컴 2014-10-03 4301
328 [re] 술의 보관.. [2] 酒人 2008-11-19 4295
327 누룩틀은 어디에서? [1] 도사 2008-11-11 4285
326 [질문 2] 밑술, 덧술 이라 구분하지않고 , 소량으로 술을 빚을때 [2] 초초보 2014-02-13 4281
325 전통주 만들기에서.. 2008-08-16 4277
324 호산춘...배우고나서 첫 실험 올겨울은 술을 두번 담구고 끝? 세번으로 ㄱㄱ [1] 창힐 2014-02-24 427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