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re] 답변입니다.

조회 수 3897 추천 수 35 2009.03.14 12:44:09
>자료들을 쭉 읽다보니 이번 술은 실패한것 같습니다.
>2차 덧술 시기를 놓친것 같아요. 밑술담고 30시간이 넘었어요.
>쌀불리는 시간도 안되고 일단 덧술 시기는 놓친것같은데요.
>문제는 밑술할때 물양을 너무 작게 잡았는지 술통을 보니 빽빽한게 끊지를 않아요. 발효냄새는 나는데요. 이럴땐 어떻게 해야하나요.?
>처음 술담을땐 덧술이라는것은 아예 몰라서 밑술로만 술을 만들었거든요.
>신맛도 강하고 항아리에 하얀곰팡이? 가 잔뜩 덮어었는데,
>누룩공장에 전화해보니 신맛이 나면 설탕을 섞으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그렇게 해서 마셨습니다.
>옳은방법인지 모르겠어요.
>또 신맛이 적게 하려면 물엿을 넣고 끊여 식힌 물로 사용하라고 해서
>이번것은 그렇게 해본거거든요.
>속시원한 답변 듣고 싶습니다.


-----------------------------  답변 -----------------------------------

밑술을 고두밥으로 한 것은
지금 막 태어난 아이에게
생쌀을 먹인 것이랑 같습니다.

효모를 넣어도
효모가 먹을 포도당이 있어야 하는데
당 자체를 만들기 힘들기 때문에
효모도 먹을 거리가 없겠죠...

술이 실패한 것이 아니라
오야붕님의 조급함이
술을 실패의 길로 가게 한 것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아마도 미생물들이 영양분을 섭취 못해 크지를
못하는 것 같습니다.
밑술이 미생물을 증식 시키기 위해 하는 것인데
그렇다면 미생물들이 잘 증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술을 빚어야 하지 않을까요.
죽이나 범벅 등 쌀을 가루 내어 술을 빚는 이유는
바로 미생물들이 잘 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입니다.


일반 적으로

술을 끓어 오르는 것은
술을 빚자마자 끓는 소리가 나거나 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시기가 지나면 갑자기 끓어 오르기 시작합니다.
예를 들어 48시간 정도 후에 덧술을 해야 하는 술도
30시간 정도까지는 처음 상태 그대로였다가
어느 시간이 지나면 그때부터 끓어 오르는 소리가 나고
술이 아주 묽어지게 됩니다.

부산누룩의 특징이 알코올 발효력보다 당화력이 좋은
누룩입니다. 또 하나는 술 표면에 흰 곰팡이가 피는데요
이를 제거하면 그 안에서는 활발하게 발효가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밑술을 하고 덧술을 하면 다음 부터는 술 표면에
흰 곰팡이가 피는 일은 없을 거에요.
술에 설탕을 넣든, 물엿을 넣든 그것은 술 빚는 사람 마음이니
제가 이래라 저래라 할 사항은 아닌 것 같고요.^^

술 표면에 뻑뻑한 것을 주걱 등으로 떠 내 보시면
안에서는 아주 묽어져 있을 것입니다. 소리도 잘 들릴 것이고요.
그렇지 않다면 술 제조법을 올려 주시면
좀 더 상세한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맛이 좋은 술은 기다림에서 나옵니다.
그져 그랬던 술이
오랜 시간이 지나 명주가 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오야붕님께서도 너무 성급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술이 어떻게 되어 가는지 끝까지 한 번 지켜 보시기 바랍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기다림, 명주 탄생은 기다림에서 나옵니다.  "술독" www.suldoc.com


오야봉

2009.03.14 21:55:40
*.206.18.211

네..저의 무지함과 조급함이 있었군요.
실패할거 각오하고 시작한 것이니 그리 속상할것은 없지만
재료가 좀 아깝다는 생각에...
좀더 지켜봐야겠어요.
다음번엔 꼭 죽이나 범벅으로 제대로 해봐야겠습니다.
선생님들께 제대로 보고 배워하 하는것을 들어 주은것으로 하려니 여간 힘들지 않네요. 교육과정을 보려고 하는데 아직 권한이 없는지 볼수가 없네요.
어떻게 하면 배울수있는지 궁금합니다.

酒人

2009.03.16 12:38:51
*.66.168.3

아직 교육 프로그램을 올려 놓지
못했습니다.
법인 허가 후
교육 과정 등을 새롭게 올리려고 합니다.

최대한 빠른 시간안에 공지하도록 하겠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23 애주 [1] 이선화 2006-08-04 4200
322 맑은 술 증류 후 [3] 방구석신선 2023-02-06 4199
321 고맙습니다 [1] yk 2013-12-03 4195
320 연잎주 질문? [3] 오렌지컴 2014-10-03 4194
319 김병덕님 보세요. 쌀 5되로 술빚기입니다. 酒人 2006-04-07 4189
318 너무 길어요 [1] mumu 2013-05-03 4188
317 누룩 만드는데.... [1] 까마귀날개 2009-04-13 4188
316 과하주 관련 질문입니다~ [1] shosho 2019-07-19 4186
315 호산춘...배우고나서 첫 실험 올겨울은 술을 두번 담구고 끝? 세번으로 ㄱㄱ [1] 창힐 2014-02-24 4176
314 [질문 2] 밑술, 덧술 이라 구분하지않고 , 소량으로 술을 빚을때 [2] 초초보 2014-02-13 4175
313 전통주 중급강의 1. 효모의 증식과 발효. 酒人 2006-05-04 4175
312 누룩에 곰팡이가 피었어요ㅠ [1] 스투찌 2014-03-17 4168
311 질문이요~~ [2] 2008-12-24 4167
310 "銀杏酒" 에 대하여 궁금증을 풀어 주세요 surisan420 2010-10-28 4165
309 <b>"지황주" 네 가지 제조법</b> [2] 酒人 2008-07-27 4165
308 [re] 답변입니다. ~^^ 酒人 2008-10-15 4164
307 삼백주에 대하여... 酒人 2006-10-12 4156
306 술빚기 기초강의 2. 도구의 선택 酒人 2006-04-04 4155
305 전통주 중급강의 3. 봄철 밑술과 보쌈 [2] 酒人 2006-05-23 4153
304 안녕하세요 해외에서 이화곡에 관한 질문이 있습니다! mekookbrewer 2020-06-28 4145
303 내부비전국에 대해서.... [3] 음식디미방 2007-05-09 4138
302 글을 읽다 궁금한점이 있어서 남깁니다 [1] 레오몬 2020-05-03 4137
301 누룩을 띄우는데 수분이 부족하다면... [2] 보리콩 2010-08-02 4137
300 현미 쌀 타피오카 절감 등의 전분가 file 酒人 2006-04-27 4137
299 <b>술독 바닥에 앙금이 많이 생기는 현상</b> 酒人 2007-04-23 4135
298 용수 사용법 [2] 장돌뱅이 2019-10-31 4132
297 막 초보입니다. 덧술이후 술 거를 시기에 대하여 문의합니다. file [2] 막걸남 2010-09-19 4129
296 단맛이 많이 납니다. [2] 섬누룩 2010-01-18 4129
295 쌀 누룩 질문 [5] 택현 2020-10-19 4123
294 증류에 관해 질문요 [1] [1] 바커스 2012-05-12 4120
293 초일주 또 질문입니다...^^;; [2] 투덜이 2012-06-11 4118
292 <b>전통주 상급강의 2. 알코올의 끓는 점의 변화</b> [1] 酒人 2006-08-02 4112
291 호산춘 밑술 file [2] 창힐 2014-02-25 4105
290 누룩투입시기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3-03-08 4100
289 술이 약간 매운듯 한데....중화시킬 방법이 없을지... [2] 박상진 2006-06-12 4092
288 재료의 양에 따라 발효기간이 차이가 있는지요? [5] 보리콩 2010-06-13 4091
287 막걸리의 탁도조절 [1] 장셰프 2020-11-15 4086
286 <b>호산춘 드디어 술이 고이다. </b> file [3] 酒人 2007-02-15 4084
285 정신없이 글을 쓰다보니... [2] 酒人 2006-03-03 4082
284 누룩양좀 봐주세요 [1] 쵸이 2019-02-11 407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