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re] 답변입니다. ^^

조회 수 5384 추천 수 91 2006.05.11 00:44:43
김상현님! 질문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증류기는 크게 단식(회분식)증류기와 감압증류기가 있습니다. 감압증류기는 전문적인 증류주 제조업체에서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글의 논의 대상에서 제외시키고 일반 가정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단식증류기로 설명을 드릴까 합니다.

논의 대상인 스텐리스와 동 증류기의 장점과 단점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한 '동, 스텐리스, 옹기" 중에서 가장 맛이 좋은 증류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동고리" 입니다. 똑 같은 술을 증류했을 때, 동고리로 증류한 술에서는 소희 "단맛"이 더 느껴진다고 합니다. 이러한 차이때문에 유명 위스키 회사에서는 아주 오래 전부터  "동고리"를 이용하여 증류주를 제조하고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 스텐리스로 만든 증류기가 있습니다. 현재 거의 모든 증류주 제조 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제품들이 스텐리스로 만든 증류기입니다. 알고 계시겠지만 스텐리스로 만든 증류기로 증류주를 만들면 아무런 맛도 섞여 나오지 않습니다. 술 자체 그대로의 맛과 향이 배는 것입니다. 동고리와 가장 큰 차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 다음이 토(土)고리인데, 제가 알기로 토고리로 만든 증류주의 품질이 다른 재료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물론 개인마다 느끼는 맛과 향이 틀릴수 있다고 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과 다른 부분입니다.) 어쨋든 이 글에서 토고리에 대한 설명은 여기까지 하고 "동과 스텐리스" 증륙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것이 그러하듯 장점이 있으면 단점이 있기 마련입니다. 동 고리의 가장 큰 장점은 맛과 성형입니다. 맛은 위에 설명한 것과 같고, 스텐리스보다 동을 이용한 증류기가 제품의 모양을 다양하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증류주의 맛 때문에 스텐리스로 만든 증류기에 동 조각을 넣어 증류하는 업체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동 증류기의 가장 큰 단점은 "부식"입니다. 흔히 녹이 슨다고 하죠. 매일같이 증류를 한다면 이런 것을 예방할 수 있지만 가정에서 매일같이 증류주를 제조하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또한, 증류주를 제조하여 판매하는 업체도 이러한 동 증류기의 부식때문에 지금은 모두 스텐리스 증류기로 대체되었습니다.

그리고 증류주 제조업체에서 많이 사용하는 "감압증류기"는 모든 증류기가 스텐리스 증류기입니다. 그것은 동이 여러가지 모양으로 증류기를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감압증류시 갑작스런 온도변화에 아주 취약한 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동 증류기가 뜨거울때 갑자기 찬 물을 붓게되면 오그라 듭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제가 알고 있는 것이 많지 않아 조언 드리기에 민망합니다. 다만 개인적은 의견을 드린다면,,,

가장 좋은 방법은 동으로 증류기를 만들고 이 증류기가 부식되지 않도록 많은 정성을 기울이는 것입니다. 증류기의 머리 위에서 발 끝까지 손이 닺게 증류기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 다음 방법으로는 ..

"발효주가 들어가고 손이 쉽게 닺을 수 있는 부분은 "동"으로 만들고 손이 쉽게 닺지 않아 청소의 어려움이 있는 부분은 "스텐리스"로 만드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 아닐까 쉽습니다.

이것이 쉽지 않다면 스텐리스로 만든 증류기를 사용하시는 것 또한 좋은 선택이라 생각합니다. 아무래도 재질의 특성상 동 증류기가 상대적으로 비싼 편입니다. 비싸게 만들어서 관리를 못할 바에는 스텐리스 증류기도 좋은 선택이라 생각합니다.

증류주는 증류기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증류기의 재질이 아니라 숙성방식에서 증류주의 맛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물론 증류기가 좋은 재질의 것이라면 더욱 좋겠지만요.

동 제품으로 증류주 실험을 하시는 것도 좋겠지만 아마 제 생각에는 벌써 증류기의 재질에 따른 증류주의 품질 평가에 관한 논문들이 많이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런 자료들을 참고하시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 합니다. 저도 찾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떻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아마도 대부분 알고 있는 정보들이 아닐까 합니다. ^^  좀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상현

2006.05.11 22:14:20
*.82.11.43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酒人

2006.05.11 22:51:42
*.61.225.40

국립중앙도서관 학위논문실에 "증류기의 종류에 따른 소주의 향기 성분 비교연구" 논문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

이 논문이 정확히 무엇에 관해서 쓴 글인지 모르겠지만, 도움이 된다 생각되면 자료를 구해서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김상현

2006.05.11 22:56:25
*.82.11.43

그래 주신다면 정말 감사 하겠습니다.

이번주 13일과14일에 대한민국 막걸리 축제가 있다고 하는데 참석 하실 예정이신지요? 만약 참석 하신다면 그때 한번 뵙으면 합니다.

酒人

2006.05.12 10:16:16
*.61.225.40

14일 일요일날 가게 될 것 같은데요. 오늘 지방에 내려갔다가 일요일날 올라올 것 같습니다. 정확히 언제 가게될지 모르겠으나 내일 제가 김상현님 핸드폰으로 연락을 드려 약속을 잡는 것은 어떠신지요.?

김상현

2006.05.12 10:34:20
*.101.41.166

네 연락 주십시요,

제 핸드폰 번호는 제 정보란에 수정해서 올려놨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763 초산균(초산발효)의 침입을 막자. 酒人 2006-05-27 6047
762 효모에 대해... [2] sul4u 2013-06-28 6028
761 밑술 냄새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1] 비니 2010-12-15 6027
760 단호박술을 담어 보고 싶은데요 [1] 보리알맹이 2011-09-29 6022
759 술을 빚다 보면 이런일도 있지요. file [2] 酒人 2006-03-04 6021
758 석탄주 덧술시기와 저어주기관한 질문... [1] 나무그늘 2009-11-12 6018
757 집에서 술을 재조해서 팔면 법에 저촉되나요? [3] 관리자 2006-02-07 6011
756 담금주에 대하여 궁금한게있답니다.?? 아이다호 2018-02-06 6006
755 이 막은 무엇인가요? file [1] 미고자라드 2007-06-14 5990
754 식히는 시간과 발효와의 관계가 있나요? [1] 얄리야리 2021-02-09 5989
753 알콜 70% 감홍로주 file [6] 酒人 2006-05-14 5984
752 삼양주 발효 상태와 채주 시기 문의드립니다. file [3] 와이즈먼 2023-11-20 5981
751 누룩 메달아놓기 [2] hedge 2011-04-26 5979
750 단양주 물의 양을 어느정도 해야하나요? file [1] 이탁배기 2019-05-30 5977
749 게시판 성격이랑 맞지 않는 질문일수도 있는데요 [1] 반야 2011-11-21 5977
748 이화곡으로 현미술을 만들때... [2] sul4u 2013-07-16 5975
747 밥으로 술을 빚을때....물의양은? [4] 아리랑 2012-03-12 5972
746 쌀누룩과 막걸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9-03 5964
745 주모를 빚는 과정에서 [1] mumu 2013-08-15 5921
744 밑술 쌀가루에 대해서 [1] 조영철 2008-04-16 5903
743 물의 양에 관한 질문 [1] 북성 2014-01-24 5892
742 밀가루 사용에 관하여 [2] 우정 2007-07-04 5888
741 막걸리가 셔요 ㅜ [1] 막걸리조 2010-02-16 5869
740 <b>술을 빚는 세 가지 방법</b> [2] 酒人 2008-04-07 5863
739 술이새콤하네요 file [4] 향온주만들어보고싶다 2009-05-04 5861
738 [re] <b>밑술의 맛은 ?</b> 酒人 2006-11-03 5858
737 술거르는 시기? file [2] 나이스박 2014-04-03 5855
736 전통주 기초강의 3. 효소와 효모 酒人 2006-03-17 5853
735 오양주 밀가루 넣는방법 [2] mekookbrewer 2020-08-18 5849
734 삼지구엽주 ? 녹야 2008-08-08 5849
733 범벅에 사용하는 쌀가루 습식? 건식? [3] 연필꽂이 2020-09-29 5845
732 백국 관련해서 여쭤봅니다. [1] cheeze 2023-10-27 5836
731 술 걸르다보면 걸죽한 요구르트같은것일때,쉰맛,쌀맛에 대해서 [1] 창힐 2013-09-09 5824
730 현미죽으로 만든 밑술, 천막(^^)이 생겼어요.. file [2] anakii 2013-11-25 5823
729 삼양주 만들고 있는데 질문 드립니다. [1] 썬연료 2023-11-22 5818
728 씨앗술과 밑술의 차이가 뭘까요 [1] PJC0405 2023-12-04 5816
727 더운 날씨 술빗기 [2] sul4u 2013-07-26 5805
726 고구마술 담그기 1(재료준비) file [1] 도사 2008-10-22 5803
725 덧술시기... [2] 바람따라.. 2014-11-05 5797
724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2) file [2] aladinn 2015-03-03 579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