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술을 사먹지 왜 만들어 먹어요??

조회 수 5306 추천 수 56 2006.01.13 20:22:34
집에서 술을 빚는 사람들에게 이러한 질문은 "힘들게 왜 산에 올라가요?"라는 질문과 별반 다를 게 없습니다. 산을 오르는 것은 힘들지만 다 올랐을 때의 성취감이나 자신감 그리고 그 어떤 느낌이 있는 것 처럼 술을 빚는 다는 것도 이와 다를게 없는 것입니다.

그럼 좀 더 깊이 들어가 볼까요?^^

여러분이 시중에서 사 먹는 술은 "그냥 술"입니다. 여러분도 편하게 먹기 위해 그런 술을 사는 것이고, 여러분이 먹는 그 술 또한 "팔기위해 만든 술"이 되는 것이죠. 그럼,  술 만드는 업체가 팔기위한 술을 만들기 위해서 어떤 방법을 사용할 까요??

집에서 빚는 것처럼 좋은 재료 정성 시간이 투자 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팔기위해 만든 술 대부분은 술의 양을 늘리기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입니다. 집에서 만드는 것처럼 좋은 술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아니죠. (물론 술 만드는 업체도 좋은 술을 빚기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하지만 가정에서 빚는 것만큼 따라올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술을 만들다보니 술에 여러가지 인공감미료를 사용하게 됩니다. 술의 색을 위해서 또는 술의 향을 위해서 또는 술의 맛을 내기 위해서...

그럼 이렇게 넣은 인공감미료는 어디로 갈까요?  물론 다 몸 속으로 들어가겠죠.
다음날 머리가 아프겠죠....^^ 몸이 이러한 물질을 소화하기 위해서 얼마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겠어요. 한번 생각해 보세요..

그러나 집에서 빚어 마시는 술에는 이러한 인공 감미료를 넣으라고 해도 넣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렇게 하지 않아도 술의 맛과 향이 좋기 때문이죠. 물론 몸에 큰 부담이 되지도 않습니다. 좋은 술을 마시면 다음날 아침에 일어나도 몸이 개운하죠? 몸에서 부담을 느끼지 않기 때문입니다.

어떤 술이라도 사람이 먹고 나서 부담을 준다면 그 술은 진정한 "팔기위한 술"입니다. ^^ 그 술을 마시는 사람은 돈 잃고 몸은 몸대로 스트레스 받고..ㅎㅎ

이런 글을 쓰는 저도 가끔 머리아픈 술을 먹습니다.^^ 그러나 좋은 술이 집에 있으면 이런 일은 별로 없죠. 왜냐하면 그 술이 생각나니까요. 한달간 정성스럽게 빚어 놓은 술. 생각만해도 정말 "아까워서 먹기 힘듭니다."

이런 재미를 여러분과 함께 나눴으면 좋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683 향온주 빚을때... file [2] 보리콩 2011-02-01 5949
682 증류주 보관법... [1] 도리버섯 2016-03-24 5946
681 덧술을 계속 해주면 어떻게 되나요? [1] 오늘같은내일 2020-10-18 5940
680 석탄주 밑술 문의입니다. [4] 웃는구야 2012-08-29 5929
679 오양주 효모 [4] mekookbrewer 2020-12-22 5925
678 밑술의 적정온도와 포도주빚기입니다. [4] 酒人 2006-09-15 5917
677 쑥술만들기 [1] 꼬롱꼬롱 2013-05-05 5911
676 요구르트 제조기로 누룩을 만들 순 없을까요? [2] 원삼규 2006-12-27 5909
675 전내기와 술지게미를 이용해서 한 번 더 술을 [3] 술빚는요리사 2020-07-07 5906
674 단맛과 도수가 높은 술 [1] 케팔로스 2018-09-18 5904
673 소주만들기 조언 부탁드립니다 [1] 알려줄께 2020-11-07 5901
672 밥통으로 고두밥을 지을수 있을까요? mekookbrewer 2021-11-18 5899
671 삼양주 담다가 ... 문제가 생겼습니다. ㅠㅠ [2] 곡향 2015-08-20 5893
670 <b>울릉도 호박막걸리 제조법 </b> [1] 酒人 2008-09-18 5888
669 발효기간? 궁금합니다. [4] 김정옥 2007-05-18 5871
668 밑술 끓은지 12시간만에 덧술도 가능한가요 file [1] 瑞香 2017-03-19 5865
667 제맘대로 단양주? [2] 오야봉 2009-03-20 5865
666 이화곡 활용 방법 [1] 오오오오 2021-03-11 5864
665 발효후 온도? [1] mssports 2014-12-19 5851
664 전통주빚을때혐기성하는시기 [1] 전산할배 2020-10-25 5846
663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3 file [3] aladinn 2015-03-06 5840
662 1되의 정의~ [3] 김창준 2007-02-08 5838
661 막걸리 제조장 환경은 어떻게 해야될까요? 에옹데옹 2021-06-11 5832
660 용수박는 시기 질문드립니다~ file [2] synop 2015-05-17 5830
659 술거르는 시기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2] 나이스박 2012-03-13 5828
658 전통주 기초강의 2. 에탄올과 메탄올 酒人 2006-03-17 5826
657 술끓는 소리의 차이점 file [2] 바람의딸 2012-04-22 5820
656 밑술과 덧술의 비율 [1] 좋은막걸리 2016-08-03 5819
655 삼양주방식으로 빚는 복분자주 질문 드립니다 [4] 나라랑 2024-01-24 5815
654 누룩에도 알코올이 있나요? 빨간콩 2021-06-18 5812
653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11] 두메 2007-02-15 5801
652 약주라는 명칭의 유래 酒人 2005-09-06 5791
651 술거르는시기가 언제쯤인가요? file [3] 우리술이좋아 2009-12-01 5790
650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酒人 2006-03-08 5770
649 당화 효소와 관련된 질문입니다. [1] 교반기 2018-11-19 5769
648 곰팡이가 맞나요? file [1] 고래고래솨악 2024-02-23 5766
647 24일이 지났습니다. [2] 막걸남 2011-03-26 5750
646 냉장보관 유통기한 및 동전춘 만들기 [1] 엄대장 2012-04-06 5746
645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원삼규 2007-02-07 5745
644 술독 뚜껑 안쪽 면에 맺힌 이슬은요? file [2] anakii 2013-10-24 573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