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첫 작품이 나올것 같습니다

조회 수 3853 추천 수 29 2009.05.15 18:19:42
5일 정도 후면 저의 생애 첫 작품이 탄생할 것 같은데...
솔잎을 이용해서 만들었는데...
기대치 보다는 잘 만들어 진것 같고.. 맛은 좀 덜한것 같은데...
담엔 좀더 잘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란데 좀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시집 어른들이 만든 두견주는 오래 묵으면 술이 향은 순해지면서
알콜 도수는 올라가는지 독해지는데..
제가 빚은 술이 2% 부족한 알콜도수인것 같아서요...
후 발효가 될까 싶기도 하고..
좀더 독한 술을 만들고 싶은데... 어케해야 될까요!!!
소주는 말구요...  이 상태에서 좀더 조금만 더 독해졌음 좋겠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강마에

2009.05.16 13:23:11
*.114.22.124

좋은 술은 오래 두어도 (물론 저온저장일 경우에 확실히 술의 부패가 진행되지 않겠죠...) 깊은 맛을 내는 술이 되지요....

좀 더 독한 술로 만드는 방법이라....

밑술을 새로 만들고 덧술할 때 이전에 만든 2% 부족한 술을 넣으면 흔히 말하는 후발효가 이루어 질겁니다.

2% 부족한 술에 남아있는 잔당을 모두 발효 시킬 수 있겠죠...

지금 말씀드린 방법은 기초적인 미생물 이론에 비추어 말씀드린 것이고요....

전통주 만드는 분들의 또다른 노하우가 있겠죠...?

酒人

2009.05.17 20:05:30
*.66.164.248

전통적인 방법에서 알코올 도수를 높이는 방법은
강마에님께서도 말씀하셨듯 효모의 수를 늘려주는
방법이 있겠죠.

전통적인 방법에서는

술 빚는 횟수를 늘려 미생물의 수를 늘려주는 방법
을 주로 사용하죠.
즉, 밑술과 덧술로 이루어진 이양주에서 술 빚기 횟수를
늘려 미생물의 수를 늘리는 방법입니다.

간단한 방법으로는

1. 밑술을 한다. (죽이나 범벅 + 누룩)
2. 밑술과 같은 방법을 한 번 더 한다.
(밑술 + 죽이나 범벅 등, 누룩은 넣지 않고)
3. 이렇게 미생물의 수를 대폭 늘려 빚는 방법이
술은 안전하고 알코올 도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전통주에 사용하는 누룩의 경우
알코올 도수가 높아도 잔당이 많아 단맛이 강해
알코올 도수가 낮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알코올 도수도 높게 나오지는 않습니다.

그렇다고 여기에 누룩이나 기타 미생물의 수를 늘린다고
해서 알코올 도수가 아주 높아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때는 본래 빚던 술의 제조법에서,
물과 곡물의 양을 조절하여 당도를 낮춰 상대적으로
술 맛을 독한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래야 단맛이 줄어들고 상대적으로 술 맛이 독해보이는
것입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까마귀날개

2009.05.20 16:18:59
*.143.78.60

두분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43 삼양주 씨앗술 사용양 [4] mekookbrewer 2020-07-30 4206
242 궁금한 점 몇 가지... 김태원 2006-04-25 4206
241 청주 빨리 생기게 하는 방법? [2] 오렌지컴 2016-06-24 4201
240 <b>호산춘 2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31 4201
239 왜 생막걸리여야만 하나요? [2] mumu 2014-07-14 4198
238 왜 그런가요? [2] mumu 2013-04-22 4198
237 실패한것 같습니다. 오야봉 2009-03-14 4189
236 삼양주 담갔습니다. [2] 미얄 2014-09-30 4186
235 덧술발효에 대하여.. [2] 섬누룩 2010-02-10 4186
234 초보 질문입니다. [1] 김경희 2007-01-15 4186
233 고맙습니다 [1] yk 2014-02-06 4178
232 [re] 답변입니다. [5] 酒人 2006-08-02 4173
231 호산춘레서피 질문이 있어요 [2] 버지니아 2020-01-26 4171
230 포도주용 측정기인데 우리 전통주도 가능할까요? [2] 술향 2010-02-10 4171
229 석임 제조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비바우 2009-12-28 4171
228 밑술에 대하여 여쭙니다. [2] 섬누룩 2009-11-23 4169
227 떡으로 막걸리 빚을 수 있나요? [1] 백프로찹쌀 2016-05-01 4160
226 호산춘에 대해 질문입니다. [1] 비니 2010-12-10 4157
225 <b>술의 양 크게 늘리는 방법</b> 酒人 2006-12-12 4157
224 질문드립니다! [1] Elucidator 2019-02-15 4155
223 술독 입구 봉하는거요,, [2] 산우 2007-04-27 4154
222 진행상황 질문입니다`... file [2] 투덜이 2012-06-06 4149
221 위에 나온 단위 함량에 대해서 질문좀요 [1] 바나나우유 2010-08-14 4139
220 쑥을 이용한 누룩빚기 [1] 새로미 2010-06-18 4133
219 동동주 무작정 따라하기 문의 [2] 술이조아 2010-03-29 4130
218 범벅에 대하여 [2] 우리술이좋아 2009-11-23 4127
217 <b>만화 - 삼순이 소주에 빠지다. </b> [2] 酒人 2007-03-17 4125
216 술찌게미량에 대하여 [1] [2] 강현윤 2012-12-21 4120
215 걱정했는데... [1] 마중물 2008-12-16 4115
214 삼양주 빚는중에 나는 향 [2] mekookbrewer 2020-06-20 4097
213 이양주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2-10-29 4093
212 쌀알누룩을 만들고 있는데요 색이~(ㅠ.ㅠ) [1] 수오기 2014-10-09 4090
211 향기와 맛은 따로 국밥인가요? [1] 보리콩 2010-09-15 4088
210 또 궁금합니다. [7] 오야봉 2009-03-19 4087
209 용수냄새가 나서 [1] 고천 2010-12-06 4081
208 [re] 술이 약간 매운듯 한데....중화시킬 방법이 없을지... [3] 윤승구 2006-07-15 4080
207 이스트?효모영양제 사용방법및 시기 문의 [1] 호박654 2020-07-24 4076
206 <b>호산춘 1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27 4076
205 [re] 답변입니다. [2] 酒人 2009-03-14 4073
204 누룩 속에 알코올이 있나요?? 酒人 2006-07-13 407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