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질문] 겨울에 술만들때 온도와 발효후 거르기 할때 궁금점이 있습니다.

조회 수 6665 추천 수 0 2014.02.13 00:51:56

1. 겨울에 술 빚을때 실내 온도가 20도 내외 입니다.

   이 경우 어느정도 발효를 해야 하나요?

 

2. 전기장판에 온도 조절한다고 25 ~ 34도로 했을때 몇일이나 걸리나요?

 

3. 전기장판으로 ( 25~34도)로 3일정도 지나서 냄새를 맞아보니 시중에 판매하는 막걸리 냄새.

   그런데 다른 분들 사진이나 이야기 들어보면 부글부글 한다고 하는데

   제껀 부글부글도 안하고  밥알만 떠있고 냄새는 향끗한 막걸리 냄새가 나요?

   언제 거르면 될까요?

 

4. 술 담그고 하루 지난후 저어서 공기를 통하게 하라고 하고 다른 사람들은 가만두라고 하고 어떠한 방법이 맞나요?

 

5. 술 담그로 부글 부글 안해도 막걸리 냄새 나면 정상인건가요?

   

-----------------------------------------------------------------------------------------------------------------------------------------

 술 거를후

 

1. 배포자기로 짜서 거를후 프라스틱 통에 보관했더니

   통 밑부분에 거므스런 녹말같은것이 가라앉아있어요.

  정상인건가요?

 

-----------------------------------------------------------------------------------------------------------------------------------------

막걸리 식초 만들때

 

1. 술 거를때  물을 첨가안하고  그냥 방치하면 막걸리 식초가 된다고 하는데

   거의 20일 넘거 방치 했는데도 식초는 안되고 이상해요.

  물론 거즈로 입구는 봉해두었습니다.

 

2. 식초만들때 술거를때 물을 첨가해야되나요?

   첨가해야되다면 어느정도 첨가해야되나요?

 

ps.

 찹쌀하고 맵쌀하고 막걸리 발효때 냄새가 다른가요

  제 경우는 찹쌀일때가 더 막걸리 냄새같았어요/

  참 보리로는 막걸리안되나요/

  보리로 해보니 그냥 술색이 까매요..

 

저의 궁금점을 꼭 풀어주세요

 

 

 


酒人

2014.02.13 07:39:45
*.228.35.18

1, 2번은 질문이 맞지 않습니다. ^^ 술이 언제 되는가는 제조법에 따라 다르기때문이에요.
그러한 정보가 없는 상태이기때문에 정확히 말씀드리기 힘듭니다. 중요한 것은 몇일이 걸리는가 가 아니라
어떤 술을 빚어도 술이 완성된 것임을 판단하는 기준만 알고 있으면 되는 것입니다.
술이 다 되면 쌀이 다 삭고, 위에 맑은 술이 뜨는 현상들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으로 술이 다 된 것을
판단할 수 있어요.



3. 한 번에 빚는 단양주를 빚은 것 같습니다. 단양주는 부글부글 끓지 않아요. 고두밥을 이용해 빚은 술은
이산화탄소가 그대로 밖으로 빠져나오기 때문에 끓는 소리가다릅니다. 위에 올라온 쌀은 시간이 지나면 삭아서
내려갈거에요.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4. 술은 목적이 무엇인가를 잘 이해해야 합니다. 밑술처럼 효모 증식이 목적이라면 저어주고, 마지막 덧술처럼 알코올 생성이 목적이라면 저어주지 않는 것이 좋겠죠. 무엇이 목적인가요?

5. 냄새와 맛은 다릅니다. 냄새가 좋다고 술 맛도 좋은 것은 아니에요. 제조법을 모르기때문에
뭐라 답변드리기 힘듭니다.


-----------------------------------------------------------------------------------------------------------------------------------------

술 거를후



1. 무거운 입자가 밑으로 가라 앉은 것입니다. 정상이에요. 나중에는 맑은 술만 떠서 따로 보관해야 합니다.

-----------------------------------------------------------------------------------------------------------------------------------------

막걸리 식초 만들때



1. 물을 첨가해도 식초가 되는 경우가 있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을 혼합하지 않으면 식초는 더욱
않되겠죠. 알코올 도수가 높으면 초산균 생육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물을 혼합해도 막걸리는 초산균이
대장이기때문에 다른 균들이 살기 힘든 환경입니다. 그래서 식초가 되기 힘들어요.
술을 그대로 두면 식초가 되는 일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대부분 젖산에 의해서 신맛이 강해지는 것이에요.


2. 식초만들때 술거를때 물을 첨가해야되나요? 알코올 분을 6% 정도로 낮춰야 합니다.

첨가해야되다면 어느정도 첨가해야되나요? 6% 되도록 물을 혼합해야 해요~^^


ps.

찹쌀하고 맵쌀하고 막걸리 발효때 냄새가 다른가요 - 찹쌀과 멥쌀은 익는 정도가 다르기때문에 발효 속도에
차이를 가져오게 됩니다. 그래서 발효할 때 냄새가 달라지는 것이고요. 멥쌀은 일반 가정에서 술 빚기
힘든면이 있습니다.

참 보리로는 막걸리안되나요 - 제주도에 보리막걸리도 있죠. 청주가 아니고 막걸리니까 보리로 하셔도 좋습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

초초보

2014.02.13 12:52:07
*.241.92.16

우선 저의 두서 없는 궁금증을 풀어주셔서 감사해요,


4. 술은 목적이 무엇인가를 잘 이해해야 합니다. 밑술처럼 효모 증식이 목적이라면 저어주고, 마지막 덧술처럼 알코올 생성이 목적이라면 저어주지 않는 것이 좋겠죠. 무엇이 목적인가요?

- 술 빚는 목적이 딱히 있는건 아니구요.
밑술, 덧술 이라 구분하지않고 , 소량으로 술을 빚을때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 하루 지나서 저어 주라고 해서요
막상 안저어 준것과 저어준것의 차이가 부글부글 안하는것과 하는것이 차이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꼭 소량을 할때는 저어주어야 하는건지 알고 싶습니다.

하제

2014.02.23 12:45:31
*.187.254.63

저도 초보자이지만 궁금하신 점이 무엇인지 알기 때문에 덧붙여봅니다..

밑술이라 젓고 덧술이라 젓지 않고가 아니구요,
젓는 다는 행위가 무엇을 뜻하는 것인지 아시면 됩니다..

술을 만드는 효모는 공기가 많으면 증식을 해서 개체수를 늘리고,
공기가 적으면 알콜을 마구 만들어냅니다..

그러니 효모를 많이 필요로 하는 밑술일때는 저어주는 것이 좋고,
알콜도수를 높이기 위해 넣는 덧술일때에는 젓지 않는 것이 좋다는 겁니다.

이제 저어주거나 흔들어주는 행위가 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가 되시나요..
그럼 언제, 얼마나 저어주는 것이 필요한지는 스스로 결정하시면 됩니다.
그것에는 정답은 없습니다..

초초보

2014.02.24 11:41:37
*.241.92.16

제가 알고 싶었던 부분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인터넷 서핑으로 알아보니 2~3일후 저어주라고 하고 아니라고 해서 정말 궁금했거든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601 덧술발효에 대하여.. [2] 섬누룩 2010-02-10 3845
600 누룩틀 [1] 우리술이좋아 2010-02-10 4609
599 막걸리를 만들고싶어요 [1] 새벽바람 2010-02-14 3400
598 막걸리가 셔요 ㅜ [1] 막걸리조 2010-02-16 5798
597 첫 술 만들기시도 [2] 천사 2010-02-20 3174
596 소주내리기.. [1] 섬누룩 2010-02-22 3522
595 솔잎으로 누룩을 만들어도 되나요? [1] 새로미 2010-03-01 3967
594 물에 담근 누룩 어떻게 하나요? [1] 눈사람 2010-03-05 3274
593 엿기름사용에 관하여 [3] 우리술이좋아 2010-03-16 12687
592 술의 유지 방법. [2] 눈사람 2010-03-22 3687
591 술이 너무 빨리 끓은것 같습니다 [1] 문석호 2010-03-25 3624
590 국내산 쌀과 외국산 쌀로 빚은 술의 차이? [1] 아랫마을 2010-03-27 4287
589 동동주 무작정 따라하기 문의 [2] 술이조아 2010-03-29 3858
588 술만드는 것은 아니지만 너무 너무 궁금해서 이렇게 글을 써봅니다!!!!!(술이랑 관련) [1] 술수리 2010-04-04 3123
587 서태를 포함한 7곡으로 범벅하여 밑술하였는데.. 솔버덩 2010-04-10 3350
586 막걸리 만들때 물양 질문드립니다. [1] 모르는 2010-04-19 12047
585 청주를 거르고 난 후 [2] 우리술이좋아 2010-05-03 3777
584 항아리 내부가 너무 조용합니다 [1] 해난 2010-05-13 3408
583 청주를 거르고 난 후 2 [1] 우리술이좋아 2010-05-14 4484
582 1. 2차 덧술할때 누룩과 항아리 [1] 두영 2010-05-14 3653
581 초보자 따라하기 덧술 만들때 물은 더이상 않넣고 밑술과 고드밥을 버무리나요? [2] 머스마 2010-05-19 4442
580 청주 보관에 대한 문의 [1] 해난 2010-05-25 4829
579 동동주를 빚어보고 [2] 광이 2010-06-06 3550
578 주인님, 아래 제 글 "청주 보관에 대한 문의" 에 대한 답변 좀... 해난 2010-06-08 3680
577 쌀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1] 할매 2010-06-09 3157
576 재료의 양에 따라 발효기간이 차이가 있는지요? [5] 보리콩 2010-06-13 4033
575 두번째 愚問 입니다. [2] 보리콩 2010-06-16 3559
574 쑥을 이용한 누룩빚기 [1] 새로미 2010-06-18 3828
573 누룩이 잘 못 된 것 같아요.. [2] 행유 2010-07-15 3521
572 한 여름에 진상주를 - - - [2] 광이 2010-07-28 3445
571 누룩을 띄우는데 수분이 부족하다면... [2] 보리콩 2010-08-02 4072
570 전통주에 쓰이는 재료비율에 대해서 질문좀요 [2] 바나나우유 2010-08-10 3623
569 위에 나온 단위 함량에 대해서 질문좀요 [1] 바나나우유 2010-08-14 3827
568 멥쌀주 담그는 법 [1] 행유 2010-08-18 4861
567 석탄주 빚을때... [2] 보리콩 2010-08-25 3435
566 전통주 되살리기 백제주 2010-09-02 3123
565 긴급 질문입니다. [3] 보리콩 2010-09-04 3640
564 저희집의 술을 복원하고 싶습니다 [1] 이도마 2010-09-09 3034
563 질문드립니다. [1] 아나테스 2010-09-11 2987
562 딸내미와 아들녀석이... file [2] 보리콩 2010-09-11 298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