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탁주를 만드는 중 여러가지 궁금한점이 생겨서 여쭤봅니다.

조회 수 7120 추천 수 0 2023.03.21 23:51:24

1. 쌀의 침지시간. 탁약주개론으로 보았을때에는 그래프로 나타냈을 때 3시간을 권장하고 급할때에는 2시간도 상관이 없다고 나와있는데 최근에 그 시간은 도정이 많이 된 일본의 니고리자케를 만드는 방식에서의 쌀 침지시간이고 한국의 탁주를 만들때에는 일반적으로 도정된 쌀을 사용하기 때문에 침지 시간을 더 잡아줘야 한다는 소리를 들었는데 혹시 이게 맞다면 몇시간이 너무 길지도 짧지도 않은 이상적인 시간이 될까요. 쌀의 침지시간이 길어지면 다른 잡균이나 미생물이 번식하는게 우려됩니다.


2. 와인을 만들때에는 건조된 효모를 재수화 해서 사용하는게 일반적인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혹시 누룩에도 그러한 과정이 필요한지, 필요하다면 누룩양 대비 몇% 정도의 물 양인지와 몇도의 물에 어느정도의 시간동안 풀어두는게 좋을까요


3. 밀로 만들어진 탁주와 쌀로 만들어진 탁주가 맛에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와 보리? 혹은 맥아로도 가능한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4. 평소 12L 사이즈의 유리병에 에어락을 꽂고 가양주를 만드는데 냉장숙성 과정에서 병의 높이 때문에 냉장고의 칸막이를 2개정도 빼고 넣어두곤 합니다. 냉장고 공간 차지가 많고 불편함이 느껴져서 발효조 사이즈를 줄이려고 하는데 여기서 두가지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한번 탁주를 만드는데 '이정도 양은 만들어야 제대로 만들수 있다' 하는 최소치가 있을까요? 예로 1L정도를 만든다면 너무 적어서 발효에 문제가 생긴다던가 하진 않을까 해서요. 그리고 평소에 항상 스테인리스, 유리, 실리콘으로 된 도구들만 사용해서 가양주를 만들어왔는데 플라스틱 발효조는 좋지 않은걸까요?


5. 재래누룩은 당화력이 높지 않은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최근 무증자용 누룩을 이용해서 부족한 당화력을 보충하는 방법을 시도했었는데 혹시 맥아로 대체를 해도 가능한걸까요? 당화과정의 대부분은 맥아에 맡기는 식으로 간다면 쌀이나 누룩, 물양 대비 몇%정도의 양을 사용하는게 좋을까요.


6. 탁주에 가향을 하고 싶은 경우 어느 시점에 넣는게 가장 재료의 향을 많이 이끌어낼수 있을까요. 


7. 탁주 양조중 소량의 밀가루를 넣어주게 되면 좀 더 건강한 발효를 꾀할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이 경우 이유는 뭔지, 어느 시기에 전체 재료 대비 몇% 정도가 적당한지와 어떻게 넣어줘야 하는지(가루 상태 혹은 물에 풀어서)가 궁금합니다!


누룩

2023.03.23 20:13:41
*.234.113.35

추천
1
비추천
0

1. 쌀의 침미시간에 따라 맛의 차이는 있지만 장기간 침미만 아니면 크게 신경쓰일 정도는 아닙니다. 저희 교육의 경우에는 멥쌀은 3시간 정도 찹쌀은 7시간 정도로 보통 불리는데 (멥쌀 수분량, 찹쌀 수분량이 다르므로) 보통 물의 온도가 찬 겨울이 아니면 이렇게 진행해도 큰 문제는 되지 않습니다.


2. 건조효모를 사용할때는 건조되어 있는 효모를 활성화하기 위해 재수화를 하지만 누룩의 경우에는 법제(햇볕이 좋은 날 바람이 통하게 하여 분술물 제거하는 과정)가 잘 되어 있는 경우에 물에 풀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단양주를 빚을 경우에는 수곡이라는 방법을 통해 술을 빚는 경우는 있습니다.


3. 밀과 쌀 탁주의 차이로는 우선 색깔의 차이가 있을 수 있고(밀=좀더 아이보리색, 쌀=흰색) 질감의 차이(밀막걸리는 쌀막걸리에 비해 텁텁) 등등 이 있습니다. 또한 당연히 보리로 빚은 탁주, 수수, 밀 등등 곡물의 종류에 따라 향이나 질감의 차이가 있습니다.


4. 탁주를 제조하고 저온 숙성을 진행할 때에는 보통 용기를 바꿉니다. 술을 빚었던 용기를 덧술까지 진행하고 술이 익을때까지 둔 다음에 술을 거르고 용기를 바꿔 저온숙성을 거치게 됩니다. 보통 가양주할때는 술이 익을때까지 기다렸다가 술을 거르고 1L 나 2L 페트병에 거른술을 넣고 저온숙성을 하게 됩니다.


5. 당화력이 다른 당화제에 비해 낮더라도 재래누룩으로도 충분히 우리술을 빚을 수 있습니다. 만약 그 누룩의 당화력이 낮다면 당화제를 넣을 수 있지만 굳이 안하시더라도 법제를 잘하였거나 잘 띄운 누룩이라면 충분히 당화가 이루어집니다. 흔히 말하는 효모, 효소제를 넣는 경우는 상업적으로 탁주를 제조해야하는 경우(맛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좀 더 편한 관리를 위해 사용합니다. 맥아로는 해본 적이 없어 모르지만 당화력이 좀 딸렸다면 맥아를 추가적으로 넣어 해보시는 것도 좋은 경험일 듯 합니다.


6. 탁주의 가향을 하는 시기는 대부분이 술이 거의 다 익어갈 쯤 가향을 하거나 술을 걸러 저온숙성을 할때 가향을 많이 합니다. 술이 다 발효가 되지 않은 시점에서 가향을 하게 되면 발효과정에 가향의 향이 많이 손실할 수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술이 거의 익어 발효가 끝날 때쯤 ~ 술을 걸러 저온숙성을 할때 하시면 원하시는 향을 입히실 수 있습니다.


7. 우리가 술을 빚을 때 밀가루를 넣는 이유는 밀가루에는 효모와 젖산균이 있는데 술을 빚을 때 효모는 술을 발효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젖산의 경우는 젖산균이 술의 pH를 높여 약산성화가 되게 만들어주고 이로 인해 잡균을 증식하는 것을 억제해주기 때문에 술을 안정적으로 발효시키는데 많은 도움을 줍니다. 보통 밀가루를 넣는 비율은 들어가는 누룩의 양의 30% 정도 넣어줍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을지 모르지만 혹시나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글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642 이양주를 해보는 중입니다 궁금한것이 있어서요 [2] 수오기 2014-09-26 4145
641 질문이요~~ [2] 2008-12-24 4146
640 보쌈이 무엇인가요 [1] 무등산 2018-04-12 4150
639 김병덕님 보세요. 쌀 5되로 술빚기입니다. 酒人 2006-04-07 4152
638 잡곡밥 술이 될까요?? [1] 네오락이 2020-06-23 4152
637 약주 거름의 법적 기준.. [1] 오씨 2018-12-01 4159
636 누룩 만드는데.... [1] 까마귀날개 2009-04-13 4163
635 쌀 종류에 따른 술맛이 궁금합니다. [2] 오렌지컴 2014-09-23 4163
634 삼양주 질문 file [1] 맑고달고시고 2024-04-24 4164
633 전통주중에 누룩을 끓여서 담그는 종류는 없을까요? [5] 섬소년 2009-06-11 4172
632 침출주 거르기 [1] 궁금증 2015-06-01 4173
631 애주 [1] 이선화 2006-08-04 4175
630 오늘 진달래술(두견주)과 쑥술(애주) 밑술을 빚습니다. file 酒人 2006-04-12 4177
629 정말 이해 안가는 내용. 2 [2] [1] 민속주 2012-06-24 4177
628 똑똑 똑 [2] mumu 2013-04-26 4177
627 밑술을 고두밥으로 했습니다. [1] 두더지 2018-09-28 4178
626 책에 나와있는 "류가향" 은 어떤 술인가요? [2] 허주영 2014-08-10 4178
625 동동주 한번더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4-15 4183
624 우왕좌왕 합니다,,, 막걸리와파전 2009-02-07 4185
623 술빚을 때 알코올 도수 반애주가 2014-03-08 4188
622 주안님에 맛이 독한 술 처리법을 읽어보고... [2] 오렌지컴 2014-09-13 4189
621 과일을 이용한 술 빚는 법에 관하여 질문 드립니다 [1] leon 2020-12-05 4189
620 술빗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독대 2013-05-07 4193
619 방문주 [1] 알리 2015-09-11 4199
618 전통주 만들기에서.. 2008-08-16 4213
617 호박막걸리 질문입니다.~~ [3] 오야봉 2009-07-07 4217
616 발효후 위에 고인 물에 대한 문의 [1] 잠자는뮤 2019-04-02 4218
615 술에 단맛을 더하는 방법좀 알려 주세요~ [2] 두메 2010-12-13 4222
614 건조 연잎 사용 질문드립니다. 뿌기뿌기 2021-12-21 4222
613 청주에 감미를 하는지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7-27 4228
612 빚은 청주에서 탄산가스가 생기면? [1] 원삼규 2007-01-12 4230
611 전통주 여과방식에 질문있습니다!! [5] 술빚는요리사 2020-05-26 4231
610 발효통(플라스틱)내부 습기를 어찌하면 좋을까요? [1] 이미남 2020-02-11 4234
609 누룩틀은 어디에서? [1] 도사 2008-11-11 4249
608 식초용 막걸리를 담았읍니다 [1] mumu 2014-07-30 4250
607 [re] 술의 보관.. [2] 酒人 2008-11-19 4253
606 채주시기 관련 질문있습니다! 성진2 2022-10-16 4253
605 삼양주 방식 복분자주 비율이 고민입니다. [1] 술조앙 2024-03-29 4260
604 궁금한 것이 있어서요 [1] 조인순 2008-01-08 4262
603 석탄주 빚고 싶네요. [1] 지량 2014-09-08 426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