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맑은 술 증류 후

조회 수 3624 추천 수 0 2023.02.06 01:55:50

술 빚기를 하다보니 전통소주에도 관심이 가게 되어 단양주를 빚은 후 잘 가라앉혀 맑은 술 6L를 떠 낸 후 (술맛도 아주 좋았습니다. 증류하기 아까울정도..)

술을 상압식으로 90도의 온도로 증류를 통해 약  1.6리터를 증류해냈습니다 (900ml의 63도 아주 맑은 본류소주, 700ml의 약간 탁한 43도짜리 소주) 


궁금점은 여기서부터 발생했습니다. 시중에 판매하는 여타 다른 증류식 소주들은 (첨가물이 들어가지 않은 쌀, 물, 누룩을 이용한) ex. 화요, 토끼 등등

향이 있습니다. 달큰하거나 특유의 향이  물론, 전문 양조장들만의 비법이 있겠지만 

그래도 흉내라도 낸 제 소주에서는 왜 과학실에서나 맡을수있는 에탄올 냄새밖에 나지 않는지요..

궁금해서 박재서 명인의 안동소주를 사서 먹어보니 맛이 비슷한거 같기도 하고.. 제가 만든건 확실히 이쪽이랑 비슷하더라구요. 

맛이 좀 거칠고 알콜향이 강한.. (박재서 명인의 안동소주가 나쁘다는게 아닙니다.. )


알아보니 보통 대부분의 소주를 만드는 양조장에선 유약을 바르지않은 옹기에다 숙성을 하던데 그게 맛의 비밀이었을까요

어디를 찾아봐도 못찾겠어서 이렇게 자문을 구합니다. 


Q1. 제 소주는 왜 향이 없는가 


Q2. 숙성을 통해 생길 수 있는건가요 



누룩

2023.02.07 15:49:13
*.234.113.35

추천
1
비추천
0

안녕하세요. 한국가양주연구소입니다.


Q1. 제 소주는 왜 향이 없는가 

A1 : 증류식 소주를 내릴 때 소주의 향은 대부분 증류할 술의 향이 나게 됩니다.

따라서, 증류할 술의 향이 어떤 향이 나는지에 따라 증류되는 술의 향이 결정되지요!

또한, 증류한지 얼마 지나지 않은 술은 술을 가열했기 때문에 나는 가열취가 나게되고, 증류할 술의 지게미가 있다면 탄내도 

고스란히 넘어오게 됩니다. 그래서 증류주는 증류하고 나서 탈기와 숙성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지요!


Q2. 숙성을 통해 생길 수 있는건가요 ?

옹기에 유약을 바르고 바르지 않고에 따라 분명 차이는 있을 수 있겠지만 그 전에 탈기과정을 충분히 하셨는지 숙성을 얼마나 오래 했는지에 따라

가열취 화한 향이 나오는 것들은 충분히 없앨 수 있고 부드러운 맛을 가진 증류주를 만드실 수 있습니다.^^

방구석신선

2023.02.13 20:05:02
*.25.30.245

누룩님 감사합니다 저는 술을 증류 후 밀폐된 유리병에 담아 뒀는데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곳에 넣고 시간을 가져봐야겠습니다 ! 

누룩

2023.02.14 21:08:07
*.234.113.35

네^^ 유리병에 숙성을 하신다면 몇일 동안은 뚜껑을 열어 공기가 잘 통할 수 있도록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휘발한다고 하는데 그렇게 눈에 띄게 휘발되지는 않으시니 걱정하지 마시고 충분히 탈기과정을 거치시면 더욱 좋은 향이 나오실 겁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01 봉출주는 어떻게 빚으셨는지.. [2] 허허술 2010-01-01 3360
800 첫 술을 빚어 보려는데.. [3] 고망고망 2009-08-05 3362
799 백국 관련해서 여쭤봅니다. [1] cheeze 2023-10-27 3364
798 좁쌀같은 덩어리 [2] yk 2014-03-16 3366
797 수곡 [1] 설화곡 2022-12-29 3369
796 누룩 띄우기 Jtracey 2020-07-24 3380
795 질문있습니다! [2] 보해미안 2009-11-13 3389
794 멥쌀주의 맛 행유 2010-09-23 3392
793 초보가 질문드려요 ㅎ [2] 바커스 2012-05-10 3392
792 예쁘게 끓는술 못본 동영상 file [1] [5] 제천인어공주 2012-12-01 3396
791 <b>[답변]2009년 교육 일정</b> 酒人 2008-10-01 3397
790 도수가 낮아요 [2] 버지니아 2020-01-29 3398
789 현재 삼양주하려고 밑술 만들었는데요 좀 이상해요 [2] 수오기 2014-09-26 3400
788 덧술에서 고두밥 양이 모자라 더 추가하려 하면? [1] 원삼규 2007-01-27 3401
787 누룩이 잘 못 된 것 같아요.. [2] 행유 2010-07-15 3402
786 이화주 씨앗술이나 밑술 mekookbrewer 2020-08-05 3411
785 해외에서 전통주빚기! [1] 스투찌 2014-10-29 3414
784 소주내리기.. [1] 섬누룩 2010-02-22 3419
783 삼양주를 도전해 보는중.... 창힐 2012-06-24 3420
782 저도 덧술을 하고 싶은데... [2] 아침이슬 2007-02-23 3423
781 술의 보관.. 2008-11-19 3424
780 산패한 술을 밑술 삼아 제조 중입니다. [1] 덕인주 2014-07-29 3426
779 동동주를 빚어보고 [2] 광이 2010-06-06 3428
778 밀가루 첨가 문의 드립니다. [1] 대암 2007-02-28 3440
777 지황주 아시는분? 금은화 2008-07-25 3441
776 국화주 만들어보는중... file [1] 창힐 2014-04-14 3441
775 언제 걸러야 할까요? ㅠ.ㅠ file [1] 랄랄 2012-05-04 3444
774 급합니다. 우리아이좀 살려주세요. file [1] 치어스 2018-04-30 3446
773 누룩에 대해 질문합니다.. [1] 아침이슬 2007-02-20 3449
772 보경가주에 대한 질의 [1] 우리술이좋아 2009-11-09 3449
771 두번째 愚問 입니다. [2] 보리콩 2010-06-16 3449
770 삑삑한 술 고치기 [1] yk 2014-03-28 3449
769 첫 작품이 나올것 같습니다 [3] 까마귀날개 2009-05-15 3450
768 빚은 삼양주를 먹으면 두통이 생기는데 ㅜㅡ [2] jiyoon88 2020-05-24 3450
767 문의드립니다 file [2] 瑞香 2016-02-13 3452
766 [re] 답변입니다. ^^ 酒人 2007-06-03 3455
765 호산춘 오늘 잡는날.. [1] 창힐 2014-04-02 3455
764 진행과정 보고 [1] 신원철 2007-03-25 3457
763 1차 덧술을 하고 나서~ [3] 두메 2007-02-14 3458
762 안녕하세요! 문의드립니다! ^^ [1] 살몬 2012-04-11 346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