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막걸리의 절묘하고 복잡한 맛.

조회 수 5976 추천 수 0 2012.01.27 03:48:14

안녕하세요. 


막걸리를 만들다 보니, 맛있는 술을 만드는 것이 마음처럼 쉽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막걸리는 여러 맛이 석여있어서 조화를 이루는 것이 좀 어렵습니다.  또 하루 하루 맛이 다른 것이 신기하고 복잡합니다. 

한번은 막걸리에 설탕을 조금 넣었는데, 단맛이 안나고 신맛이 10배가 됩니다.  비로소 많은 설탕을 너어야만 단맛이 나는데 그래도 신맛이 굉장히 많이 납니다. 

또 어떤 블러그에 보니까, 막걸리 장인 말씀하시기를 "소금으로 혀끝으로 정화한 뒤, 막걸리 원액을 마시면 맛이 달아진다"고 합니다. 제 실헙에서는 그렇게 나오지 않았지만, 장인이 하신 말씀이니 믿고 신기하게 느낄 다름입니다. 


신맛과 쓴맛을 줄이고 단맛을 높이는 것을 노력하고 있는데, 아무리 과일을 많이 집어넣어도 막걸리에 단맛이 나지 않은 것이 묘합니다.  물론 당분이 알코올으로 바뀌는 것이지만, 그것에 대배해 아주 일찍 술을 걸러도 단맛이 많이 나지 않습니다.  심지어 물을 쌀에 50%로 해도 단맛이 나지 않는데, 혹시 이유를 아시는 분이 없나 글을 올려봅니다. 


또 설탕을 넣으면 신맛이 나듯이, 혹시 다른 맛을 첨가하면 단맛이 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시는 분께 답변 부탁합니다. 


어떤데는 그냥 막걸리에 과일주스를 갈아 칵테일로 마시는 방법을 쓰고 있는데, 고생해서 만든 막걸리에 무언가를 첨가해야한다는 것이 마음에 걸립니다.  장인정신이 발동한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酒人

2012.01.27 14:24:40
*.32.96.174

안녕하세요.^^

산패와 감패에 대해서 좀 더 알아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본 술은 현재 산패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즉, 당화에 문제가 생긴 것입니다.

1. 당화에 문제가 생겼다면 처음부터 누룩의 양이 전체 쌀의 양 보다 적거나
2. 누룩이 알맞게 들어갔다면 누룩의 상태가 좋지 않거나
3. 밑술이나 곡물 가공시 곡물이 잘 익지 않아 당화가 잘 되지 않아 산패가 온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점을 참고하셔서 빚으시면 당화에 의해 신술은 나오지 않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그리고 산패와 감패에대해서 많이 알아 보셔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841 초보 질문입니다. [1] 김경희 2007-01-15 3929
840 바닥 찌꺼기를 [1] 박창수 2007-01-16 3589
839 삼양주를 할려하는데 [1] 배병임 2007-01-18 3673
838 <b>겨울 술빚기의 기본</b> 酒人 2007-01-23 3275
837 여과를할려면,, [1] 이승욱 2007-01-24 2983
836 덧술에서 고두밥 양이 모자라 더 추가하려 하면? [1] 원삼규 2007-01-27 3406
835 <b>호산춘 1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27 3807
834 술독 문의 드립니다 [1] 대암 2007-01-28 2862
833 싸레기 쌀 문의 [1] 대암 2007-01-30 4650
832 <b>호산춘 2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31 3869
831 초일주 문의 [1] 대암 2007-02-01 3598
830 밑술 문의 드립니다? [2] 대암 2007-02-04 3843
829 고두밥 문의 드립니다 [3] 대암 2007-02-06 4398
828 지식쌓기 - 호산춘(壺山春)에 대하여... 酒人 2007-02-07 8741
827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원삼규 2007-02-07 5415
826 1되의 정의~ [3] 김창준 2007-02-08 5495
825 <b> 홉, 되, 말에 대하여...</b> file 酒人 2007-02-09 11670
824 <b>상식 쌓기 - 술독과 술덧이 벌어지는 이유</b> file 酒人 2007-02-10 3717
823 초일주 걸러도 될까요? file [1] 대암 2007-02-13 3673
822 질문) 초일주 만들고 있는데요^^ [3] 두메 2007-02-13 3312
821 용수 박았습니다 file [1] 대암 2007-02-13 4650
820 1차 덧술을 하고 나서~ [3] 두메 2007-02-14 3466
819 <b>호산춘 드디어 술이 고이다. </b> file [3] 酒人 2007-02-15 3973
818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11] 두메 2007-02-15 5438
817 누룩에 대해 질문합니다.. [1] 아침이슬 2007-02-20 3454
816 술에 넣을 물로... [2] 아침이슬 2007-02-20 3509
815 물의 양이 궁금합니다.. [1] 아침이슬 2007-02-21 3788
814 <b>기본기 키우기 - 술의 양 계산하는 방법</b> 酒人 2007-02-22 5003
813 저도 덧술을 하고 싶은데... [2] 아침이슬 2007-02-23 3431
812 주인님이 가르쳐준 방법 중 의문사항 질의 ㅎㅎ~ [4] 두메 2007-02-23 3610
811 밀가루 첨가 문의 드립니다. [1] 대암 2007-02-28 3445
810 <b>밀가루를 넣는 이유에 대하여....</b> [2] 酒人 2007-02-28 6572
809 초일주에 대하여 [1] 대암 2007-03-01 3469
808 <b>생각하기 - 술이 끓어 넘치는 이유는...</b> 酒人 2007-03-05 5124
807 밑술의 오염에 대한 대책은? file [2] 아침에술한잔 2007-03-07 4837
806 주정계 사용법??? 두메 2007-03-07 5386
805 주정계 사용법입니다. [2] 酒人 2007-03-07 18296
804 <b>범벅이 물처럼 되는 이유는..</b> [2] 酒人 2007-03-14 4732
803 <b>만화 &#8211; 달순이 술 빚기에 도전하다.</b> [3] 酒人 2007-03-15 3767
802 <b>만화 - 삼순이 소주에 빠지다. </b> [2] 酒人 2007-03-17 385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