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2021년 돼지날들이 언제인가요?

조회 수 5432 추천 수 0 2021.01.19 02:52:37

삼해주를 빚고 싶은데 돼지날이 언제인가요? 인터넷에 찾아봐도 별 정보가 없어서 여기에 여쭤봅니다.


도원

2021.01.19 15:45:29
*.149.116.45

2021년 음력 첫 해일(돼짓날)은 2월 20일 입니다. 그 후로 12일 마다 해일(돼짓날) 입니다.
레시피는 쌀:물:누룩 - 1:1:0.07 비율로 구성하시고,
2월 19일 밤 9시(해시)에 쌀 1/4양을 백세해서,
12시간 불리고 쌀가루를 내어 다음날 20일 아침 9시(해시)에 물 1/2를 넣고 죽을 쒀 식혀 놓고,
그날 밤 9시(해시)에 분쇄한 누룩으로 밑술을 빚어 매일 한번씩 저으며 호기성 발효를 시킵니다.
그리고 12일, 24일 또는 36일 후에
밑술과 동일한 방법으로 죽을 쒀 1차 덧술 후 3~7일에 한번씩 저어주며 혐기성 발효,
마지막으로 12일, 24일 또는 36일 후에
남은 1/2의 쌀로 고두밥을 지어 36일 혐기성 발효를 시켜 완성시킵니다.

삼해주는 장기저온 발효법으로 만드는 술이라 온도가 높으면 쉽게 변질 될 우려가 있고 정통 삼해주를 완성하기 어렵습니다.
온도 유지가 까다롭기 때문에 발효실 온도가 15도 이상 올라가는 곳에서는 만들기가 어렵지요.
따뜻한 아랫지방 보다는 추운 윗지방에서 주로 만들던 고급 술입니다.
그래서 아랫지방으로 갈 수록 덧술 기간을 짧게 잡고 위로 갈 수록 길게 잡는게 방법 입니다.

가장 적정한 온도는 10도 안팍을 유지 하는 것인데, 예전에는 독을 땅에 파묻어 온도를 유지 했고, 요즘은 물론 땅에 묻어 유지 할 수 있다면 가장 정통적인 방식이 되겠지만, 자주 열어보지 않는 김치 냉장고를 이용하셔도 무방할듯 하네요.
그래서 문명의 혜택이 발달한 지금은 해일 해시에 맞춰 술을 빚지 않아도 냉장고를 이용하면 언제든 삼해주를 빚어 드실 수 있습니다.
다만, 전통술이니 만큼 그 뜻을 기려 1년에 1번쯤은 그 날에 맞춰 빚어 보는 것도 좋은 행사가 될 수 있을거 같네요!

mekookbrewer

2021.01.20 02:49:19
*.19.90.90

감사합니다! 저희집에 온도가 12도정도인 구석을 찾아놨으니 거기서 발효시키면 되겠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81 [re] 고구마술 [4] 酒人 2009-01-16 6975
880 누룩에 벌레가 생겼습니다. [4] 갈매기 2009-12-11 6939
879 연습용으로 밑술 제작중인데 잘 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file [2] 한소리 2011-08-01 6923
878 전통주 기초강의 4. 단발효와 복발효 酒人 2006-03-17 6859
877 입국의 당화력은 얼마나 되나요? [2] 오렌지컴 2015-02-05 6842
876 술에 쓴맛은 어떤 요인떄문에 생기는건가요 ?? [2] 연필꽂이 2021-10-28 6829
875 가양주 막걸리 만드는법 피리피리 2014-11-04 6822
874 이양주(석탄주)질문드립니다. [2] 배꼭지 2021-03-03 6810
873 덧술이 끓지 않습니다. 막걸리를 살려주세요. file [1] 리볼트 2021-11-28 6758
872 삼양주 발효 5일차, 곰팡이 인가요? file [1] 쩡이님 2021-05-14 6754
871 달콤한 술 만들기? 의문점 [2] [75] 민속주 2012-07-05 6739
870 빚은 술의 유통기한이 궁금합니다~ [1] 레오몬 2021-02-20 6734
869 술덧 위에 이게 뭘까요?? file [3] 자두맛사탕 2023-05-23 6693
868 삼양주 언제 걸러야 할까요? file [2] 준파파 2022-01-03 6646
867 삼양주 2차덧술후 3주의 시간이 되었습니다. [2] 기분좋게한잔 2020-12-25 6645
866 <b>전통주 중급강의 6. 술 거르는 시기</b> [1] 酒人 2006-07-15 6636
865 밀가루나 전분을 어떻게 추가하나요. [3] 막걸남 2011-01-12 6609
864 <b>밀가루를 넣는 이유에 대하여....</b> [2] 酒人 2007-02-28 6607
863 처음으로 누룩을 만들었습니다! file [5] hedge 2011-04-08 6594
862 이번 여름에 누룩을 디뎠어요 file [2] 바나나메론 2021-10-11 6584
861 술 증류기에 관한 질문입니다. 김상현 2006-05-10 6554
860 희석주 관련 질문입니다. [4] 김기욱 2006-06-14 6546
859 밑술 항아리 용량으로 적당한것이? [4] 창힐 2013-07-19 6541
858 단양주 발효 중 표면에 흰 곰팡이 file [2] 우리몽이씨 2021-07-05 6534
857 삼양주 밑술에 관하여 [1] mumu 2013-05-31 6503
856 막걸리 담그기 file [1] [6] 오타와 저스튼 2012-12-15 6498
855 이양주 덧술 1일차 온도가 33도인데 [4] Blues 2020-12-30 6497
854 석탄주 덧술을 설익은 고두밥으로 했는데, 고두밥을 추가해야 할까요? [2] 메밀우유 2021-08-06 6493
853 양조 과정 중 여러가지 여쭤봅니다! [3] 희진 2023-04-13 6489
852 누룩 당화력에관련 질문좀 드릴게요 [1] 투덩잉 2013-07-19 6485
851 막걸리 제조와 판매 둘레길 2013-06-05 6476
850 불패주 레시피를 보다가 궁금한게 생겼습니다. [2] 감초 2011-12-16 6462
849 맵쌀로만 빗은 삼양주--시험 file [1] 도사 2009-03-13 6462
848 입문자 몇가지 질문드리옵니다! [4] Jbjang 2021-02-23 6460
847 <b>누룩만들기 제 8장 &#8211; '젖산' 이야기</b> [2] 酒人 2007-11-19 6451
846 백국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2] 두메 2011-01-20 6404
845 삼해주 밑술에 장막이 생겼어요 [1] 랄랄라 2021-03-03 6395
844 늙은 호박으로 호박주를 담그고 싶은데 알려주세요.. [1] 강술 2011-01-02 6388
843 [질문] 겨울에 술만들때 온도와 발효후 거르기 할때 궁금점이 있습니다. [4] 초초보 2014-02-13 6352
842 누룩 보관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1] 보리콩 2016-02-23 635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