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삼양주 쓴 뒷맛

조회 수 6615 추천 수 0 2020.09.22 14:56:13

안녕하세요,

그저께 2차 덧술 끝나고 삼양주를 7주일만에 거르고 마셔봤는데요. 기본적인맛은 좋은데 가수를 했는데도 뒷맛이 굉장히 쓰네요.

이 쓴맛의 원인이 뭘까요?


발효는 아주 잘됐습니다. 당도도 높고, 도수도 높고, 지게미도 비교적 적은데다 신맛도 물을 약간만 타면 거의 없어질정도로요.


酒人

2020.09.28 10:08:02
*.159.69.191

쓴맛의 원인은 다양해요. 그런데 덧술을 하고 너무 빨리 거른감이 있네요.
좀 더 뒀다면 잔당이 쌓여서 쓴맛도 많이 없어졌을거에요.
쓴맛은 알코올 도수가 높고 단맛이 적은 경우, 효모의 사멸에 의한 부산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어요.
술을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시간이 지나면 쓴맛도 많이 없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mekookbrewer

2020.09.29 03:58:09
*.19.90.90

감사합니다! 삼양주는 보통 어느정도 있다가 거르면 되나요? 온도는계속 22도쯤이었고 처음 해본건 3주만에 거른거라 한달정도 더 익힌것이었는데요,

도원

2020.10.15 19:48:33
*.149.116.45

삼양주든 오양주든 딱 몇일 후에 걸러야 한다! 정해진 기간이 없습니다.
누룩의 비율이 높으면 거르는 시기가 빨라지고, 또 발효온도가 높을 수록 거르는 시기가 빨라져요.
저 같은 경우, 누룩 10%에 온도를 25도 정도 유지하면 보통 3주~4주 정도 걸리더라구요.
거르는 시기는 보통 맑은 청주가 표면에 생성되면 하루 이틀 안에 걸러주는게 제일 좋습니다.

쓰신 글만 보면 거르지 않고 너~ 무 오래 발효를 시켜서 그런것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7일만에 거른게 아니고, 7주만에 거르셨단 말이시죠??

삼양주같은 경우 보통 한달 발효 시킨 후에 한번 걸러서 지게미를 제거 하고 후숙을 한달 정도 더 하셔야..
잡맛이 없는 깔끔한 술, 원하시는 술을 얻을 수 있을거 같다는 생각이듭니다.

거르지 않고 너무 오래 발효 시키면, 온도가 높을 경우 식초가 되어 신맛이 많이 나고, 온도가 높지 않다면 발효 되지 않은 지게미가 너무 삭아서 거를 때 같이 녹아 나와 잡맛을 더하게 되거든요.

발효 환경도 중요하지만 거르는 시기도 못지 않게 중요한거 같아요.

mekookbrewer

2020.10.16 03:54:16
*.19.90.90

감사합니다! 네, 7주 맞습니다! 쌀이 다 가라않고 한달정도 더 익히면 더 맛있다고 이 계시판에 읽어서 그정도 기다린거구요.

어제 거른지 3주정도 냉장고에 있던걸 마셨더니 쓴맛이 다 없어졌네요! 말씀하신대로 냉장숙성이 답이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초보 질문입니다. [1]

바닥 찌꺼기를 [1]

삼양주를 할려하는데 [1]

<b>겨울 술빚기의 기본</b>

  • 酒人
  • 2007-01-23
  • 조회 수 3438

여과를할려면,, [1]

덧술에서 고두밥 양이 모자라 더 추가하려 하면? [1]

<b>호산춘 1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 酒人
  • 2007-01-27
  • 조회 수 3964

술독 문의 드립니다 [1]

  • 대암
  • 2007-01-28
  • 조회 수 3046

싸레기 쌀 문의 [1]

  • 대암
  • 2007-01-30
  • 조회 수 4928

<b>호산춘 2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 酒人
  • 2007-01-31
  • 조회 수 4071

초일주 문의 [1]

  • 대암
  • 2007-02-01
  • 조회 수 3787

밑술 문의 드립니다? [2]

  • 대암
  • 2007-02-04
  • 조회 수 4141

고두밥 문의 드립니다 [3]

  • 대암
  • 2007-02-06
  • 조회 수 4584

지식쌓기 - 호산춘(壺山春)에 대하여...

  • 酒人
  • 2007-02-07
  • 조회 수 9524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1되의 정의~ [3]

<b> 홉, 되, 말에 대하여...</b> file

  • 酒人
  • 2007-02-09
  • 조회 수 12452

<b>상식 쌓기 - 술독과 술덧이 벌어지는 이유</b> file

  • 酒人
  • 2007-02-10
  • 조회 수 3856

초일주 걸러도 될까요? file [1]

  • 대암
  • 2007-02-13
  • 조회 수 3839

질문) 초일주 만들고 있는데요^^ [3]

  • 두메
  • 2007-02-13
  • 조회 수 3506

용수 박았습니다 file [1]

  • 대암
  • 2007-02-13
  • 조회 수 4961

1차 덧술을 하고 나서~ [3]

  • 두메
  • 2007-02-14
  • 조회 수 3657

<b>호산춘 드디어 술이 고이다. </b> file [3]

  • 酒人
  • 2007-02-15
  • 조회 수 4154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11]

  • 두메
  • 2007-02-15
  • 조회 수 5679

누룩에 대해 질문합니다.. [1]

술에 넣을 물로... [2]

물의 양이 궁금합니다.. [1]

<b>기본기 키우기 - 술의 양 계산하는 방법</b>

  • 酒人
  • 2007-02-22
  • 조회 수 5215

저도 덧술을 하고 싶은데... [2]

주인님이 가르쳐준 방법 중 의문사항 질의 ㅎㅎ~ [4]

  • 두메
  • 2007-02-23
  • 조회 수 3781

밀가루 첨가 문의 드립니다. [1]

  • 대암
  • 2007-02-28
  • 조회 수 3658

<b>밀가루를 넣는 이유에 대하여....</b> [2]

  • 酒人
  • 2007-02-28
  • 조회 수 6836

초일주에 대하여 [1]

  • 대암
  • 2007-03-01
  • 조회 수 3686

<b>생각하기 - 술이 끓어 넘치는 이유는...</b>

  • 酒人
  • 2007-03-05
  • 조회 수 5340

밑술의 오염에 대한 대책은? file [2]

주정계 사용법???

  • 두메
  • 2007-03-07
  • 조회 수 5610

주정계 사용법입니다. [2]

  • 酒人
  • 2007-03-07
  • 조회 수 19160

<b>범벅이 물처럼 되는 이유는..</b> [2]

  • 酒人
  • 2007-03-14
  • 조회 수 4952

<b>만화 &#8211; 달순이 술 빚기에 도전하다.</b> [3]

  • 酒人
  • 2007-03-15
  • 조회 수 3951

<b>만화 - 삼순이 소주에 빠지다. </b> [2]

  • 酒人
  • 2007-03-17
  • 조회 수 403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