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항아리 안쪽 표면에 희꽃 공팡이가...

조회 수 4668 추천 수 1 2010.12.09 22:19:24
안녕하십니까?

몇달전 여기 도움을 받아  막걸리 제조에 일차 성공? 해 맛보았습니다.'

직장관계로 지난 10월에 미국 텍사스로 이사와서 잠시 살고 있습니다.
여기는 생막걸리기없고 모두 살균탁주이며 국순당 1개월짜리가 최근 수입되기 시작했는데 한병에 6000원이 넘고 제 입맛에 성이 안찹니다.

비싼 항아리를 사고 누룩을 사서 드디어 제조를 시도하였습니다.  
오늘이 밑술 사흘째인데  항아리 안쪽면 윗쪽부분에 발효되면서 튄 밥알이
묻어있는데 그 밥알들에 흰꽃들이 아주 이쁘게 피었습니다.
화장지로 딱아냈는데 오늘아침 보니까 또 생겼습니다.

혹시 미국산 유해곰팡이가 침입하여 나중에 먹으면 혹시 사고나지 않을까.
걱정됩니다.

괜찬은 건지요.  답변부탁드립니다.

酒人

2010.12.10 08:29:56
*.47.8.2

안녕하세요.^^ 술 빚기에 성공하셨다니 좋네요.~

거의 모든 곰팡이는 공기가 없으면 살 수 없어요.
즉, 술을 제조하게 되면 이산화탄소가 나오게 되죠.
이산화탄소는 항아리 안의 공기를 밖으로 밀어내게 되고
그렇게 되면 항아리 안은 공기가 없어
곰팡이가 피지 않습니다.

그런데 곰팡이가 피었다는 이야기는

1. 항아리 소독이 잘 되지 않은 경우가 많고요.
2. 막걸남님처럼 이물질등에 의해서 피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나 모든 첫 번째 이유는 발효에 있습니다.

발효가 잘 일어나 이산화탄소가 잘 생성되면 공기가 없어지고 곰팡이는 피지 않죠. 그렇기때문에 밑술은 가급적 빠르게 이산화탄소가 생길 수 있는 방법으로 제조하거나 항아리를 80% 채울 수 있는 독을 사용해 소량의 이산화탄소로
공기를 밖으로 밀어 내면 됩니다.

지금 흰 곰팡이가 핀 것은 괜찮습니다. 그러나 덧술까지
다끝내고 피는 것은 문제가 있죠. 발효가 잘 되고 있지
않다는 이야기니까요. ~^^

술 빚을 대 곰팡이를 제거하고 덧술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즐거운 술빚기 하세요.~~^^

막걸남

2010.12.11 00:44:58
*.112.109.25

술익는 모습이 너무 궁금하여 제가 너무 자주 열어봐서 그런지 모르겠습니다. 밑술 4일째인데 기포 터지는 소리가 이젠제법 시끄럽습니다. 말씀대로 이제 곰팡이는 거의 안보입니다. 아직도 맑은 술이 안보이는데 온도가 23도 정도입니다.
곧 덧술 준비를 해여갰네요.
아무튼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엿술을 빗었는데 정확한 도수를 모르겠습니다. [6]

용수박을 시기 문의 file [3]

인사동 축제에 사용할 유리병 file [5]

  • 酒人
  • 2006-04-29
  • 조회 수 4891

쌀 죽으로 밑술 담글때 죽 아래가 약간 타게 되면? [2]

침전물은 어떻게 이용하나요? [1]

  • 미루
  • 2008-04-11
  • 조회 수 4880

[re] 고두밥과 술 발효와의 관계는?

  • 酒人
  • 2006-12-21
  • 조회 수 4878

발효시 온도유지 못하다가 다시하면 잘 되나요?? [2]

덧술을 하면서 물추가... [2]

<b>도토리술 제조법</b> file [1]

  • 酒人
  • 2006-10-29
  • 조회 수 4869

자주하는질문<<<>>> 미생물 굶겨 술빚기.... [1]

  • 창힐
  • 2013-05-24
  • 조회 수 4868

막걸리공장의 입국 [1]

  • yk
  • 2014-07-22
  • 조회 수 4867

하얗게 피어난 것이 무엇인지 궁금 합니다. [2]

소주내리기에서.. [2]

  • 2008-10-19
  • 조회 수 4856

<b>술독 뚜껑 덮는 것에 대하여</b>

  • 酒人
  • 2006-11-06
  • 조회 수 4856

향온주 좀더 두어야 할까요? [2]

쑥술 애주 주방문 하나 부탁 합니다. [2]

멥쌀주 담그는 법 [1]

  • 행유
  • 2010-08-18
  • 조회 수 4854

[re] 답변입니다.

  • 酒人
  • 2007-09-23
  • 조회 수 4849

잘못 빚은 술 복구방법은요? [2]

  • 쿡쿡
  • 2013-04-30
  • 조회 수 4848

딸기 및 다른 부재료 넣기

최소한의 누룩 비율이 궁금해요. [1]

  • 신디
  • 2020-04-16
  • 조회 수 4839

[re] 밑술과 고두밥 혼화방법 [2]

  • 酒人
  • 2008-11-04
  • 조회 수 4838

술 담그는 방법에 관한 문의..

  • 코헨
  • 2008-10-27
  • 조회 수 4833

청주 보관에 대한 문의 [1]

  • 해난
  • 2010-05-25
  • 조회 수 4825

전통주, 기능주 영업을하고 싶습니다. [3]

  • 酒人
  • 2006-02-17
  • 조회 수 4825

<b>도정(搗精) 정도의 차이</b>

  • 酒人
  • 2006-10-15
  • 조회 수 4823

고구마술 맛있게 빚고 싶어요

술빚기 기초강의 1. 술의 선택

  • 酒人
  • 2006-04-04
  • 조회 수 4814

항아리 안에서 술이 익어갈때...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도수 차이가 나나요? [4]

  • 선선
  • 2020-10-02
  • 조회 수 4813

<b>범벅이 물처럼 되는 이유는..</b> [2]

  • 酒人
  • 2007-03-14
  • 조회 수 4813

소규모주류제조 면허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 글 올립니다. [1]

  • Heron
  • 2017-12-17
  • 조회 수 4805

바보 또 질문 하다~ [2]

  • 두메
  • 2009-02-03
  • 조회 수 4805

이 더위에도 맛있는술이 담궈 질런지요 [3]

효모가 죽은 막걸리의 탄산화는 어떻게 하나요? [1]

덧술을 해야하나 아니면 버려야 하나 [4]

삼양주 냉장숙성을 야외에서 해도 되나요? [1]

불패주 거르는 시기 file

  • 느루
  • 2012-12-29
  • 조회 수 4799

<b>넌 왜 범벅으로 술을 빚냐~?!</b>

  • 酒人
  • 2006-07-04
  • 조회 수 4795

증류주 보관법에 관해서 알고 싶습니다. [3]

석임의 활용에 대하여.. [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