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re] 석임 제조에 대하여

조회 수 6318 추천 수 16 2009.12.29 09:49:46
>그동안 홈페이지에 올려져 있는 귀중한 자료를 잘 읽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석임"제조에 대하여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술빚기 Q&A 번호 41에 <re>답변입니다.에 올려져 있는 내용은 읽었습니다.
>그 내용 중에서도 발표하시기가 어려운 점이 있으시다는 점 알고 있습니다만 귀중한 자료를 알려주시길 간절히 바랍니다.
>
>부탁드립니다. >        문경 하늘재에서   김용진 올림


--------------- 서김에 대하여 -------------------------------------

석임(서김)의 제조법은 1600년대 “온주법”과 1800년대 “양주방”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온주법과 양주방의 서김 제조법은 다음과 같다.

<온주법>

[쌀 한되 백세하여 물 두 되에 담갔다가 *** 그 물로 밥 지어 가장 차거든 누룩 조금 넣어 빚어 사나흘 후에 술 빚을 때 덧하라]

<양주방>

[익은 석임 한되만 하려면, 희게 쓴 멥살 닷홉을 물 한 사발에 담가 꽤 불거든 쌀은 건져 놓고 그 물을 소쿠라지게 끓여 그 쌀 위에 퍼부우면, 그 쌀이 데어 익을 것이다. 그러면 그 물까지 도로 담가 두어라. 내일 쯤 쓰려거든 오늘 그 쌀을 꽤 끓여 익거든 누룩 한줌만 섞어 두었다가 쓰면 좋다]



<석임을 넣어 빚는 술>

양주방 “혼돈주”에는 ‘가루누룩 한되와 석임 한되를 한데 넣어라’ 라고 되어 있어 석임이 석임 단일로 사용되기 보다는 누룩과 함께 사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있다.

양주방 “백단주”에는 ‘가루누룩 되가웃과 밀가루 되가웃과 석임 한되를 섞어 항아리에 넣어라’라고 기록되어 있다.

양주방 “백하주”에는 ‘누룩가루 한되와 밀가루 닷홉과 석임 한되를 합하여 버물여 넣어라’라고 기록되어 있다.

양주방 “당백화주”에는 ‘누룩가루 되가웃과 밀가루 되가웃과 석임 한되를 섞어 차게 식혀 버물여 넣어라’라고 기록되어 있다.


<석임 제조법>

위 자료들을 보면 석임이 쌀을 가루내거나 찌는 것이 아닌 ‘밥’ 형식을 하거나 끓는 물로 쌀을 익히는 방법으로 ‘간단하게 제조’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응용하면 집에 먹다가 남은 밥을 이용하면 쉽게 석임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량의 밥을 끓는 물로 익히거나 끓여 식혔다가 누룩 한 홉 정도의 양으로 누룩을 수 십 킬로그램 넣은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것이다.

기본적인 밑술과 다른 점은 밑술은 밑술 자체가 미생물을 증식시켜 덧술을 하기 위해 빚는 술이라면 석임은 ‘밑술 자체를 잘 빚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었다는 것이다. 즉, 발효가 잘 이뤄지지 않을 것을 걱정하여 또는 누룩의 양이 많지 않아 소량의 누룩으로 안정적인 발효를 해야할 때 또는 온도가 낮아 발효 속도가 늦춰지는 것을 막기 위함 등 ‘발효 보조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석임 제조법이라 할 수 있다.

위 석임이 들어가는 술들을 살펴보면 누룩은 1되가 들어가지만 석임이 들어감으로써 총 들어간 누룩의 양은 1되 1홉 정도가 되겠지만 그 효과는 누룩 1가마 이상이 들어간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간략하게 요약해 봤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363 [질문] 겨울에 술만들때 온도와 발효후 거르기 할때 궁금점이 있습니다. [4] 초초보 2014-02-13 7209
362 [질문 2] 밑술, 덧술 이라 구분하지않고 , 소량으로 술을 빚을때 [2] 초초보 2014-02-13 4388
361 술덧저어주기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4-02-15 5374
360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접속 하였습니다 청주의 보관법에 대해서 여쭤볼려구요 [1] 건강=행복의 밑거름 2014-02-16 4528
359 호산춘...배우고나서 첫 실험 올겨울은 술을 두번 담구고 끝? 세번으로 ㄱㄱ [1] 창힐 2014-02-24 4372
358 호산춘 밑술 file [2] 창힐 2014-02-25 4288
357 알콜 도수 [4] 깡오리 2014-02-26 6549
356 술빚을 때 알코올 도수 반애주가 2014-03-08 4498
355 좋은 누룩은 어떤건가요? [2] 나이스박 2014-03-11 5966
354 좁쌀같은 덩어리 [2] yk 2014-03-16 4185
353 이양주빚을때... [2] 강하주 2014-03-17 5820
352 누룩에 곰팡이가 피었어요ㅠ [1] 스투찌 2014-03-17 4379
351 고맙습니다 [1] yk 2014-03-20 3624
350 문의드립니다. [1] 푸른별 2014-03-21 3785
349 덧술할 고두밥에 물을 섞을때와 그냥 넣을때의 차이점.. [2] 나이스박 2014-03-22 4825
348 주인님 추가질문입니다ㅜ,ㅜ [1] 강하주 2014-03-22 3704
347 삑삑한 술 고치기 [1] yk 2014-03-28 4213
346 호산춘 오늘 잡는날.. [1] 창힐 2014-04-02 4193
345 안녕하세요. [2] sul4u 2014-04-02 3837
344 호산춘 처방 [1] yk 2014-04-03 3808
343 술거르는 시기? file [2] 나이스박 2014-04-03 6101
342 안녕하세요. [1] sul4u 2014-04-04 3493
341 국화주 만들어보는중... file [1] 창힐 2014-04-14 4156
340 식초와 막걸리 걸음후 관리에 대해서 문의좀 드립니다. [1] 푸른별 2014-04-15 4809
339 동동주 한번더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4-15 4495
338 삼양주(불패주) 조언 부탁드립니다. [2] 케이원 2014-04-21 5801
337 인녕하세요. [1] sul4u 2014-05-08 3827
336 술로 술 빚기? [1] 케이원 2014-05-27 3711
335 막걸리 공장에서 술재조 공정 궁금 [2] 오렌지컴 2014-06-14 4266
334 술 담기 초보 이양주 밑술 시기 궁금증? [1] 오렌지컴 2014-06-25 5040
333 한번 더 덧술 시기에 대해 질문합니다 [2] 오렌지컴 2014-07-01 4955
332 술이 되어가는 과정에 대해 문의좀 드립니다. [1] 푸른별 2014-07-10 3666
331 발효중 끓어오를때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7-12 3740
330 왜 생막걸리여야만 하나요? [2] mumu 2014-07-14 4010
329 막걸리공장의 입국 [1] yk 2014-07-22 5312
328 단양주 만들며 궁금한점 입니다. [2] 푸른별 2014-07-22 5080
327 전통주 [1] yk 2014-07-25 4147
326 삼양주 담는중입니다. [1] 소라 2014-07-25 3668
325 청주에 감미를 하는지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7-27 4562
324 산패한 술을 밑술 삼아 제조 중입니다. [1] 덕인주 2014-07-29 416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