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누룩에 벌레가 생겼습니다.

조회 수 7172 추천 수 16 2009.12.11 02:10:46
어제 저녁( 토론토시간)까지 酒人 님의 답글이 없어서 첫번 째 술(단양주)을 추출하고 두번 째 술(이양주)을 아래 글의 가르침대로 담궜습니다. ( 오늘 아침에 보니 답을 다셨군요… ^^ . 용기가 납니다 )

1.첫술은 쌀 1리터(고두밥), 누룩 0.5Kg, 효모 0.5g, 물 2리터를 넣고 25도에서 7일 경과하여, 술 냄새가 좋길래, 추출하였습니다. 그런데… 술향은 좋은데 술맛이 많이 부족합니다.  도수가 약 2-3도 정도 밖에 안되 보입니다.

기간이 짧았던 것일까요 ?  아니면, 배합비율에 문제가 있었던 것일까요 ?

2.첫 술은 핸드캐리한 누룩이라 문제가 없었는데, 두번째 술은 해상 운송된 이사짐에 넣어왔던 누룩입니다. ( 해상운송은 7-80도까지 올라가는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20일정도, 상온에서 20일정도 있게 됩니다 ) 열어보니 쌀알 만한 까만 벌레가 있어서, 다 털어 내고 냉동실에 넣어 두었습니다.

며칠 전에 냉동실에서 꺼내서 김치 냉장고에 두었다가 어제 꺼냈는데, 아직도 까만 벌레가 좀 보이고(움직이지는 않음), 같은 크기의 흰 애벌레 같은 게 보였습니다…그래서 다시 털어내고 이번에는 가스 불에 표면을 그슬려서, 물에 2시간 정도 불렸다가, 분쇄하여 두번 째 술에 썼습니다. ( 이곳에서는 누룩을 새로 구할 수가 없어서 쓸 수밖에 없었습니다 )

누룩 속에 알이나 애벌레가 있었을 지 모르는데, 그냥 써도 괜챦을까요?  찝찝합니다.

3.믹서기에 간 불린 쌀 ( 곱게 갈리지는 않고, 알갱이가 남아있음 ) 을 물에 타서 끓일려고 하니, 알갱이가 바닥에 가라 앉는지 자꾸 타네요… 바닥을 긁고, 휘저어 가며 끓이는데도… 도저히 안될거 같아서 끓이지는 못하고, 끓는 물을 좀더 넣어서 Semi범벅을 만들어 썼습니다. ( 탄 냄새가 술에 배이지 않을까 염려됩니다. )

다음 번에는, 믹서기에 간 쌀을 찜통에 살짝 쪄서 ( 시루떡같이 될 걸로 예상 ) 물에 녹이면 어떨까요 ? ( 아니면 시루떡을 다시 믹서에 ? )
아니면, 집에 슬로우 쿠커가 있는데, 쌀가루 죽을 만들면 어떨까요 ? 이 경우에는 죽만드는데, 시간이 좀 많이 걸릴테지만, ( 3-4시간) 감내할 수는 있는데…. 물 비율이 너무 높아질까 걱정입니다.

녹즙기의 분쇄틀도 써봤지만, 설명서와는 달리 불린 쌀을 갈아내지 못하더군요….  범벅을 만들 방법이 없을까요?

4.두번 째 술, 밑술의 총 배합 비율은…  쌀 1리터( 불리기전 부피), 누룩 800 g, 물 2.2리터..정도 입니다. 유리항아리에 담으니 약 4리터 눈금에 옵니다… 아마도 중간에 물이 더 덜어간 모양입니다. 괜챦은 비율 일까요 ?

내일 아침에… 밑술 투입 36시간 후에, 쌀 3리터를 고두밥 쪄서 물없이 투입할 예정입니다.
가루로 만들어서 내서 찐 다음 물을 조금 섞어서 투입하는 게 더 나을까요 ?

5.이번에는 얼마나 두어야 할까요 ? 이번에는 인위적인 온도 조절 없이 두려고 합니다.  아마도 20-22 도 사이가 될 거 같습니다.  최소 알코올 10도 이상의 도수는 나와야 할 텐데요….

질문이 많아서 죄송합니다.

지금 토론토에 이 술이 익기를 기다리는 사람이 너무 많습니다.
이번에도 실패하면 맞아 죽을 거 같습니다.

섬소년

2009.12.14 00:06:37
*.54.69.51

아마도 지금의 토론토 기후는 서울의 초겨울 정도
(영상과 영하를 오르내리는 정도)이고,
실내의 온도는 20~25도 정도를 유지할것 같은데,
그 정도면 온도는 그리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때문에 쌀가루 내기가 힘드시면
밑술은 죽을 이용해도 큰 문제는 없을듯 합니다!
혹은 고두밥에 끓는물로
호화를 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구요~
단지 덧술에서 들어가는 곡물양과
전체 물양을 조절하시면
쌀가루에 연연하지 않으셔도 괜찮을텐데요~
그리고,첫번째 작품이 알콜 돗수가 나오질 않았다니
쌀의 품종을 한번 확인해 보세요~
혹시,한국에서 드시던 쌀 모양보다 갸름한
인디카종이 아닌지요?
우리의 누룩은 인디카종을 발효 시키기에는
적절치 못한 효모들로 구성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동양인이 운영하는 그로서리라도
인도사람들이 운영하는곳은 인디카종을 판매합니다.
차이나타운이나 일본그로서리에 가시면
자포니카종을 구하실수 있을껍니다!

갈매기

2009.12.15 11:39:27
*.255.33.173

답변 감사드립니다
쌀은 이곳 한국식품점에서 한국사람이 좋아하는 자포니카종만 팔기 때문 큰 문제가 아닌거 같습니다. 심지어는 이천쌀도 팝니다. 혹시 酒人님이 넣지마라는 효모를 넣어서 그런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근데 고두밥에 끓는 물로 "호화"... 에서 호화가 무슨 뜻인지요 ?

그리고 위 두번째 술의 덧술을 담그는 과정에서 물이 적었는지 ( 쌀 총 4리터에 물 총 2.2리터 ) 덧술 넣고 부글 부글 하다가 몇시간 뒤에 다 말라서 비빔밥 정도의 물기 밖에 없이 발효가 붕단되는거 같아서... 저으면서 물을 2리터 더 넣었습니다. 그랬더니 다시 발효하기시작하는군요....

섬소년

2009.12.15 14:26:36
*.54.69.51

전분이 열을 받아 풀 상태가 되는것을 말하며,
호화(gelatinization)가 잘 이루어 질수록
효소가 전분을 쉽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발효를 진행시키고,
발효의 빠른 진행은 에탄올화를 빠르게 진행시키고,
이는 술덧을 빠른 시간안에
안정정인 상태로 만들어 줄 것입니다.

소한

2010.02.23 00:12:46
*.141.187.11

미시사가의 한국식품에서 누룩 판매합나다

확인은 못했지만 갤러리아에서도 판매를 할 듯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923 <b>겨울 술빚기의 기본</b> 酒人 2007-01-23 3381
922 복분자주 궁금한게 더있습니다. [2] 소학(笑鶴) 2017-03-06 3381
921 혹시.. 전통주 배우는 프로그램은 없는지요...? 이선아 2008-10-01 3387
920 안녕하세요, 쌀 관련 질문드립니다! [4] 예술 2020-02-27 3388
919 삼선주 문의 [1] 잠자는뮤 2019-04-08 3389
918 처음 빚어본 술맛?? [2] 청천뫼 2016-04-27 3391
917 애주를 빚고싶습니다. [1] 소학(笑鶴) 2017-04-03 3393
916 물에 담근 누룩 어떻게 하나요? [1] 눈사람 2010-03-05 3395
915 고두밥과 술 발효와의 관계는? 원삼규 2006-12-21 3407
914 누룩 띄울 때 꽃을 넣을 수 있나요? 민속주 2012-06-23 3413
913 [re] 답변입니다. [1] 酒人 2006-10-31 3423
912 올 추석에는 [1] 애주가 2008-07-30 3430
911 술 량이 적은것 같아서요~ [2] 두메 2010-02-05 3431
910 멥쌀 통쌀죽과 가루죽에 대해서 [1] dnekaqkfk 2019-10-05 3440
909 불패주 밑술할때 찹쌀로 하면 주방문을 수정해야될까요? [1] 준우 2020-06-06 3446
908 또 질문합니다. [2] 고망고망 2009-08-18 3447
907 알코올 발효 질문있습니다. [2] 술빚는요리사 2020-05-06 3452
906 친절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몇가지 더 여쭤 봐도 될까요? [1] 봉슈 2017-08-05 3453
905 삼백주가 궁금합니다. [3] 허허술 2009-12-22 3458
904 질문) 초일주 만들고 있는데요^^ [3] 두메 2007-02-13 3460
903 삼선주에 관한 질문 [1] 케이원 2014-09-12 3460
902 하수오주? 강신규 2006-12-21 3463
901 술은 담았는디 [1] 애주가 2007-05-08 3464
900 소주를 어떻게 내리는지 ??(박수덕님) 酒人 2006-08-17 3467
899 문의드립니다. [1] 나무그늘 2009-10-22 3467
898 酒人님께 여쭙니다. [1] 갈매기 2010-01-04 3467
897 이런것도 질문해도 될지 모르겠지만... [1] 공대생 2014-09-24 3467
896 서태를 포함한 7곡으로 범벅하여 밑술하였는데.. 솔버덩 2010-04-10 3470
895 누룩의 발효력 확인 [1] 시골술쟁이 2018-10-29 3470
894 밑술후 초코색?층이 져요 [1] 호박654 2020-04-17 3475
893 전통주의 기본적인 맛? 궁금합니다. 김정옥 2006-08-02 3485
892 문의 드립니다 [1] 녹야 2009-10-14 3489
891 [re] 걱정했는데... 마중물 2008-12-17 3492
890 알코올 향이 튀는 이유와 해결법이 어떻게 되나요? [1] Heron 2018-03-01 3493
889 누룩 관련 질문입니다 [1] 김우치 2020-09-01 3494
888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밑술 끓은지 36시간후에 덧술) [2] 瑞香 2017-03-26 3497
887 우리밀로 막걸리를 만들고 싶습니다 [2] 삶을사랑한다 2017-03-31 3497
886 고맙습니다 [1] yk 2014-03-20 3498
885 밑에 자료요청한사람입니다 [2] [1] 엄대장 2012-12-26 3519
884 덧술에서 고두밥 양이 모자라 더 추가하려 하면? [1] 원삼규 2007-01-27 352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