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첫 작품이 나올것 같습니다

조회 수 3641 추천 수 29 2009.05.15 18:19:42
5일 정도 후면 저의 생애 첫 작품이 탄생할 것 같은데...
솔잎을 이용해서 만들었는데...
기대치 보다는 잘 만들어 진것 같고.. 맛은 좀 덜한것 같은데...
담엔 좀더 잘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란데 좀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시집 어른들이 만든 두견주는 오래 묵으면 술이 향은 순해지면서
알콜 도수는 올라가는지 독해지는데..
제가 빚은 술이 2% 부족한 알콜도수인것 같아서요...
후 발효가 될까 싶기도 하고..
좀더 독한 술을 만들고 싶은데... 어케해야 될까요!!!
소주는 말구요...  이 상태에서 좀더 조금만 더 독해졌음 좋겠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강마에

2009.05.16 13:23:11
*.114.22.124

좋은 술은 오래 두어도 (물론 저온저장일 경우에 확실히 술의 부패가 진행되지 않겠죠...) 깊은 맛을 내는 술이 되지요....

좀 더 독한 술로 만드는 방법이라....

밑술을 새로 만들고 덧술할 때 이전에 만든 2% 부족한 술을 넣으면 흔히 말하는 후발효가 이루어 질겁니다.

2% 부족한 술에 남아있는 잔당을 모두 발효 시킬 수 있겠죠...

지금 말씀드린 방법은 기초적인 미생물 이론에 비추어 말씀드린 것이고요....

전통주 만드는 분들의 또다른 노하우가 있겠죠...?

酒人

2009.05.17 20:05:30
*.66.164.248

전통적인 방법에서 알코올 도수를 높이는 방법은
강마에님께서도 말씀하셨듯 효모의 수를 늘려주는
방법이 있겠죠.

전통적인 방법에서는

술 빚는 횟수를 늘려 미생물의 수를 늘려주는 방법
을 주로 사용하죠.
즉, 밑술과 덧술로 이루어진 이양주에서 술 빚기 횟수를
늘려 미생물의 수를 늘리는 방법입니다.

간단한 방법으로는

1. 밑술을 한다. (죽이나 범벅 + 누룩)
2. 밑술과 같은 방법을 한 번 더 한다.
(밑술 + 죽이나 범벅 등, 누룩은 넣지 않고)
3. 이렇게 미생물의 수를 대폭 늘려 빚는 방법이
술은 안전하고 알코올 도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전통주에 사용하는 누룩의 경우
알코올 도수가 높아도 잔당이 많아 단맛이 강해
알코올 도수가 낮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알코올 도수도 높게 나오지는 않습니다.

그렇다고 여기에 누룩이나 기타 미생물의 수를 늘린다고
해서 알코올 도수가 아주 높아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때는 본래 빚던 술의 제조법에서,
물과 곡물의 양을 조절하여 당도를 낮춰 상대적으로
술 맛을 독한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래야 단맛이 줄어들고 상대적으로 술 맛이 독해보이는
것입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까마귀날개

2009.05.20 16:18:59
*.143.78.60

두분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243 부탄가스로 4kg 고두밥을 할수있을까요? [1] 마리아 2017-04-19 3220
242 막걸리 병입후에 4-5일후에 생기는 현상 궁금합니다. file [1] 아이다호 2017-04-23 4685
241 신도주 질문입니다 file [1] 시골술쟁이 2017-06-08 3466
240 안녕하세요. 벌꿀주 미드를 만들어 보려 합니다! 궁금한 것 들 여쭤봐도 될까요? [1] 봉슈 2017-08-03 4875
239 친절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몇가지 더 여쭤 봐도 될까요? [1] 봉슈 2017-08-05 3356
238 담금주에 대해 여쭤봐도 될까요? [1] 봉슈 2017-08-05 4514
237 질문 드립니다. [1] 팬더팬 2017-09-07 3057
236 오디주를 빚어보고 싶어요 [1] 선02 2017-09-18 3668
235 반갑습니다 비퀸 2017-11-24 3521
234 누룩 대신 생막걸리를 써도 될까요? [1] anakii 2017-12-07 5186
233 소규모주류제조 면허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 글 올립니다. [1] Heron 2017-12-17 5054
232 담금주에 대하여 궁금한게있답니다.?? 아이다호 2018-02-06 6046
231 증류주 보관법에 관해서 알고 싶습니다. [3] 키 작은 사랑 2018-03-01 5049
230 알코올 향이 튀는 이유와 해결법이 어떻게 되나요? [1] Heron 2018-03-01 3403
229 보쌈이 무엇인가요 [1] 무등산 2018-04-12 4281
228 급합니다. 우리아이좀 살려주세요. file [1] 치어스 2018-04-30 4066
227 삼양주 술 거르는 시기? file [2] cocomumu 2018-05-30 6654
226 이양주가 익는중 문제가 생겨 문의 드립니다! file [5] 이규민 2018-06-05 6419
225 이양주 질문입니다. [1] 시골술쟁이 2018-06-26 3661
224 술이 너무 달아요! [3] cocomumu 2018-06-26 5809
223 발효에 관한 질문입니다! [2] 술을 빚어보자 2018-07-03 3607
222 술이 뻑뻑해요ㅠ.ㅠ [2] 술을 빚어보자 2018-07-20 3666
221 단양주 신맛 [1] 시골술쟁이 2018-09-15 5582
220 단맛과 도수가 높은 술 [1] 케팔로스 2018-09-18 5509
219 밑술을 고두밥으로 했습니다. [1] 두더지 2018-09-28 4315
218 단양주와 이양주 보관에 대하여.... (병과 플라스틱통) [2] 서련 2018-09-29 5713
217 전통주 빚을 때 알코올 도수 공식 좀 알려주세요. [1] 연이김 2018-09-30 3937
216 밑술,덧술 둘다 찹쌀써도 되나요?? [2] 찰리와막걸리공장 2018-10-04 4800
215 불패주 주방문 수정가능할까요...ㅠ [2] 케팔로스 2018-10-12 3693
214 막걸리에 탄산이 없어요 [2] 오씨 2018-10-14 7928
213 이양주 질문입니다. 도와주세요.. [2] 케팔로스 2018-10-17 5230
212 덧술 후 과정... [1] 케팔로스 2018-10-22 4860
211 고두밥 나눠 넣기의 시기 [1] 케팔로스 2018-10-26 3837
210 누룩의 발효력 확인 [1] 시골술쟁이 2018-10-29 3399
209 막걸리의 걸쮹함 [2] ilovetapuy 2018-11-06 4991
208 발효 온도 [1] 상자 2018-11-18 4617
207 당화 효소와 관련된 질문입니다. [1] 교반기 2018-11-19 5371
206 법적으로 이렇게 만든 술도 탁주일까요? [1] 오씨 2018-11-30 3931
205 약주 거름의 법적 기준.. [1] 오씨 2018-12-01 4302
204 술을 빚을때 과일을 첨가했을경우 [1] 동백나무 2018-12-09 353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