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re] 답변입니다.

조회 수 4535 추천 수 15 2008.10.10 12:30:01
>가양주학 "불퍠주는 왜 불퍠주일까" 라는 글에서 주인님께서는 2차 덧술을 1차 덧술후 36시간 후에 하라고 했습니다.
>
>또한 가양주학 "미생물을 굶겨 술빚기" 에서는 가능한 덧술시기를 늦추어 미생물을 굶겨 술을 빚으면 미생물이 활성화되어 술 도수가 높은 청주를 만들수 있다고 했습니다.
>
>상기 두가지 글에서 상호 맞지 않는 부분이 있어 질의를 드립니다. 즉 불패주에서는 밑술을 두번 한후 2차 덧술을 36시간 후에 하라고 하셨고 , 미생물에서는 밑술을 두번 한 후 가능한 미생물을 굶긴후 늦게 덧술을 하라고 하여 언뜻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
>주인님의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이 두 술은 따로 보셔야 합니다.

하루 세끼를 꼬박 챙겨 먹던 사람은 그냥 그렇게 먹으면 됩니다. 별 탈 없이 건강할 것입니다. (불패주) 그러나 세끼를 챙겨 먹던 사람에게 몇 일을 굶게 한 후에 밥을 주면 어떤 현상이 일어날까요. 아마도 한 끼를 먹는 양 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의 밥을 먹게 될 것입니다.(미생물 굶겨 술빚기)

불패주는 술을 빚어 보지못한 사람도 잘 빚을 수 있는 술입니다. 세끼 밥 먹는 것 처럼 안정된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죠. 이렇게 안정된 생활을 하라고 딱 정해 놓은 것입니다. 그냥 그렇게 하면 건강하다고

그러나 미생물 굶겨 술 빚는 방법은 다르죠. 하나의 재미입니다. 그 글 말미에 고수들이 재미 삼아서 빚어 보라고 한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매번 안정된 술빚기를 하면 술은 잘 나오겠지만 재미는 별로거든요. 그래서 모험을 하라는 것입니다. 어떤 모험이냐.

술의 실패 확률을 높이면서도 2차 덧술 전까지 술이 실패하지만 않는다면 이 술은 대박나는 거죠. ^^ 즉, 이 술은 실패할 확률이 높은 술이지만 그것을 알면서도 도전하는 술이라는 것입니다.

이 술이 실패하지 않는 조건이 바로…

“1차 덧술까지 상당한 양의 미생물과 알코올 도수를 생산해 낼 것” 입니다. 이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굶겨 술 빚기는 백전 백패입니다. 열에 아홉은 다 실패합니다. 그래서 술을 잘 빚는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이 방법도 알아 두라는 것이죠. 그래야 알코올 도수 높은 술도 만들 수 있는 것이니까요.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

내사랑

2008.10.11 10:21:10
*.109.233.23

감사합니다. 10월 8일 1차 밑술을 담그고 10월10일 2차 밑술을 담궜습니다. 이제 덧술을 준비할 참인데 덧술시기가 상당히 궁금했습니다.
오늘 아침 발효통을 보니 과거에 술을 담그었던 것보다 밑술의 발효가 상당히 강력한 것을 보고 다시한번 놀랐고 이를 가르쳐준 주인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36시간이니 오늘 덧술을 하여야 하는데 주인님 말씀대로 내일 또는 모래에 덧술을 할까합니다. 한번 모험을 해도 될 것 같습니다. 그 결과를 글로 올리겠습니다.

酒人

2008.10.13 08:32:58
*.66.164.248

내사랑님 그냥 시간을 지키시지요.
모험을 하는 것도 좋지만,
이번 술이 잘 된 다음에 하는 것도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미생물을 굶기는 것은 좋은 누룩 또한 함께 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 글을 보시면 가급적 빨리 2차 덧술을
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43 술이새콤하네요 file [4] 향온주만들어보고싶다 2009-05-04 5945
242 고두밥과 섞기전에 누룩을 뜨거운 물에 담궜는데 괜찮을까요? [1] 김수한무 2013-07-24 5957
241 2021년 돼지날들이 언제인가요? [2] mekookbrewer 2021-01-19 5971
240 이양주 담그는데 궁금해요 [4] 퍼플리 2020-12-09 5972
239 막걸리가 셔요 ㅜ [1] 막걸리조 2010-02-16 5990
238 덧술시기... [2] 바람따라.. 2014-11-05 5992
237 밑술 쌀가루에 대해서 [1] 조영철 2008-04-16 6001
236 술이 너무 달아요! [3] cocomumu 2018-06-26 6001
235 밀가루 사용에 관하여 [2] 우정 2007-07-04 6005
234 씨앗술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3 6008
233 현미죽으로 만든 밑술, 천막(^^)이 생겼어요.. file [2] anakii 2013-11-25 6026
232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2) file [2] aladinn 2015-03-03 6030
231 맥주처럼 쌀 당화하여 쌀즙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1] 맥걸리yo 2023-12-05 6054
230 술거르는 시기? file [2] 나이스박 2014-04-03 6057
229 더운 날씨 술빗기 [2] sul4u 2013-07-26 6058
228 술 걸르다보면 걸죽한 요구르트같은것일때,쉰맛,쌀맛에 대해서 [1] 창힐 2013-09-09 6078
227 이 막은 무엇인가요? file [1] 미고자라드 2007-06-14 6079
226 알콜 70% 감홍로주 file [6] 酒人 2006-05-14 6080
225 범벅에 사용하는 쌀가루 습식? 건식? [3] 연필꽂이 2020-09-29 6088
224 밥으로 술을 빚을때....물의양은? [4] 아리랑 2012-03-12 6092
223 초산균(초산발효)의 침입을 막자. 酒人 2006-05-27 6099
222 누룩 메달아놓기 [2] hedge 2011-04-26 6099
221 게시판 성격이랑 맞지 않는 질문일수도 있는데요 [1] 반야 2011-11-21 6101
220 오양주 밀가루 넣는방법 [2] mekookbrewer 2020-08-18 6102
219 집에서 술을 재조해서 팔면 법에 저촉되나요? [3] 관리자 2006-02-07 6107
218 쌀누룩과 막걸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9-03 6138
217 술을 빚다 보면 이런일도 있지요. file [2] 酒人 2006-03-04 6145
216 밑술 냄새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1] 비니 2010-12-15 6145
215 삼양주 냉장숙성을 야외에서 해도 되나요? [1] 청주조아 2023-11-29 6145
214 석탄주 덧술시기와 저어주기관한 질문... [1] 나무그늘 2009-11-12 6147
213 주모를 빚는 과정에서 [1] mumu 2013-08-15 6147
212 물의 양에 관한 질문 [1] 북성 2014-01-24 6148
211 식히는 시간과 발효와의 관계가 있나요? [1] 얄리야리 2021-02-09 6152
210 단호박술을 담어 보고 싶은데요 [1] 보리알맹이 2011-09-29 6161
209 삼양주 빚을때 1차 2차 덧술의 선택은? file 원삼규 2007-01-06 6163
208 효모가 죽은 막걸리의 탄산화는 어떻게 하나요? [1] 청주조아 2023-12-27 6172
207 술 거르는 시기 [2] 내사랑 2008-11-24 6173
206 이화곡으로 현미술을 만들때... [2] sul4u 2013-07-16 6182
205 마늘술을 담글수 있을까? [3] 내사랑 2008-10-12 6196
204 단양주 물의 양을 어느정도 해야하나요? file [1] 이탁배기 2019-05-30 620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