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울릉도 호박막걸리 제조법 </b>

조회 수 5753 추천 수 17 2008.09.18 15:04:00
울릉도 호박막걸리 제조방법


미리 준비 : 호박잼을 만들어 두었다가 냉장고에 보관해 놓는다. (설탕은 들어가지 않는다.)

1. 멥쌀 5되를 깨끗이 씻어 물에 10시간 정도 담가 둔다.
2. 고두밥을 만들어 차게 식힌다.
3. 누룩 3되를 고두밥과 버무린다. (이때 끓여 식힌 물을 약간씩 넣어주며 버무린다.)
4. 고운 천으로 망을 만들어 여기에 혼합한 것을 담는다. (울릉도에선 3뭉치가 나왔음)



항아리 바닥에 멥쌀 1되를 찐 밥을 식혀 넣어 놓는다. (술이 완성되면 이 밥알이 뜨는 것이다.)

1. 항아리에 망을 담는다. (3뭉치 모두)
2. 물 30리터를 붓는다. (반드시 끓여 식힌 물이어야 술이 오래 간다.)


이렇게 2틀이 지나면 술이 완성된다. (완성된다는 것은 발효가 다 끝났다는 것이 아니라 호박막걸리를 만들기 위한 과정에서는 완성된 것으로 보는 것이다. )

1. 발효가 활발히 일어나고 쌀알이 동동 뜨면 술을 걸러 낸다.
2. 술을 걸러 내기 전에 물 20리터를 더 부어 준다.
3. 술을 완전히 짠 다음 여기에 호박잼 1사발을 섞어 준다.
4. 용기에 담아 바로 냉동시킨다.


냉동을 빨리 시키는 것은 시간이 지나면 신맛이 너무 나기 때문이다. 맛이 좋을 때 바로 냉동시켜 필요할 때 꺼내 마시면 막 술이 됐을 때의 맛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여름 : 여름에는 술이 빨리 된다. 항아리 뚜껑을 열어 놓고 선풍기까지 틀어 놓은 모습이었다. 실제로는 술 빚고 하루가 지나서 벌써 발효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태였다. 쌀 양에 비해 누룩의 양이 많아 발효가 빨리 진행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겨울 : 겨울에는 시간이 좀 더 걸린다고 한다. 당연한 것이 온도가 낮아 발효 속도가 늦춰지기 때문이다.


필자가 보기에,,,,

물을 많이 넣어 누룩을 많이 넣었으면서도 술에서 누룩 맛이 아주 심하지 않았으며 단 하루 만에 맛 좋은 막걸리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그것도 적은 양의 쌀로 아주 많은 양의 막걸리를 얻을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맛 또한 수준이 높은 편이다.

물의 양은 30리터 이지만 물 통의 크기와 끓인 물을 통에 담는 모습을 봤을 때 한 통에 약 7리터 정도가 되리라 본다. 따라서 총 20리터 정도의 물이 처음에 들어가고 나중에 약 15리터 정도의 물이 추가로 들어가는 것으로 보여진다.

할머니께서는 오랜 세월 술을 빚으면서 나름대로의 많은 경험을 가지고 계셨다. 날씨에 따라 발효 상태에 따라 술 거를 시간을 조절하였으며 술이 빨리 변질되는 것을 막기 위해 최대한 빨리 냉동시켜 발효를 억제 시켜 필요할 때 마시는 것이다.



우리술 지킴이    술독   www.suldoc.com

2008.10.07 10:36:41
*.240.204.73

호박 막걸리 직접 담궈보신 경험기는 없으신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43 <b>술을 빚는 세 가지 방법</b> [2] 酒人 2008-04-07 5920
242 전통주 기초강의 3. 효소와 효모 酒人 2006-03-17 5921
241 [re] <b>밑술의 맛은 ?</b> 酒人 2006-11-03 5922
240 2021년 돼지날들이 언제인가요? [2] mekookbrewer 2021-01-19 5929
239 덧술시기... [2] 바람따라.. 2014-11-05 5941
238 술이 너무 달아요! [3] cocomumu 2018-06-26 5950
237 막걸리가 셔요 ㅜ [1] 막걸리조 2010-02-16 5962
236 밀가루 사용에 관하여 [2] 우정 2007-07-04 5963
235 씨앗술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3 5963
234 맥주처럼 쌀 당화하여 쌀즙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1] 맥걸리yo 2023-12-05 5966
233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2) file [2] aladinn 2015-03-03 5970
232 밑술 쌀가루에 대해서 [1] 조영철 2008-04-16 5976
231 현미죽으로 만든 밑술, 천막(^^)이 생겼어요.. file [2] anakii 2013-11-25 5985
230 더운 날씨 술빗기 [2] sul4u 2013-07-26 5996
229 술거르는 시기? file [2] 나이스박 2014-04-03 6010
228 술 걸르다보면 걸죽한 요구르트같은것일때,쉰맛,쌀맛에 대해서 [1] 창힐 2013-09-09 6014
227 오양주 밀가루 넣는방법 [2] mekookbrewer 2020-08-18 6047
226 범벅에 사용하는 쌀가루 습식? 건식? [3] 연필꽂이 2020-09-29 6053
225 밥으로 술을 빚을때....물의양은? [4] 아리랑 2012-03-12 6054
224 누룩 메달아놓기 [2] hedge 2011-04-26 6056
223 알콜 70% 감홍로주 file [6] 酒人 2006-05-14 6061
222 이 막은 무엇인가요? file [1] 미고자라드 2007-06-14 6063
221 삼양주 냉장숙성을 야외에서 해도 되나요? [1] 청주조아 2023-11-29 6063
220 게시판 성격이랑 맞지 않는 질문일수도 있는데요 [1] 반야 2011-11-21 6071
219 집에서 술을 재조해서 팔면 법에 저촉되나요? [3] 관리자 2006-02-07 6080
218 초산균(초산발효)의 침입을 막자. 酒人 2006-05-27 6092
217 쌀누룩과 막걸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9-03 6094
216 효모가 죽은 막걸리의 탄산화는 어떻게 하나요? [1] 청주조아 2023-12-27 6096
215 주모를 빚는 과정에서 [1] mumu 2013-08-15 6097
214 물의 양에 관한 질문 [1] 북성 2014-01-24 6102
213 밑술 냄새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1] 비니 2010-12-15 6108
212 석탄주 덧술시기와 저어주기관한 질문... [1] 나무그늘 2009-11-12 6110
211 술을 빚다 보면 이런일도 있지요. file [2] 酒人 2006-03-04 6119
210 식히는 시간과 발효와의 관계가 있나요? [1] 얄리야리 2021-02-09 6121
209 단호박술을 담어 보고 싶은데요 [1] 보리알맹이 2011-09-29 6131
208 이화곡으로 현미술을 만들때... [2] sul4u 2013-07-16 6137
207 삼양주 빚을때 1차 2차 덧술의 선택은? file 원삼규 2007-01-06 6140
206 술 거르는 시기 [2] 내사랑 2008-11-24 6146
205 단양주 물의 양을 어느정도 해야하나요? file [1] 이탁배기 2019-05-30 6164
204 담금주에 대하여 궁금한게있답니다.?? 아이다호 2018-02-06 616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