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쉰맛 실패....이제 어떻게 해야하나요?

조회 수 6181 추천 수 82 2008.02.24 20:25:48
월요일에 술을 거르려고 보니... 시큼한 맛이 나서 주인님께 전화드렸던 사람입니다.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술을 짠뒤 냉장고에 보관했는데...

오늘 상태를 보려고 꺼내 봤더니...

거품이 뜨고 쉰맛이 더 강해 졌습니다.

워낙 아까워서 이걸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그냥 버려야 하는지..

아니면.. 시큼하더라도 마실지..

부디 조언해 주십시오.

酒人

2008.02.24 23:43:02
*.47.184.19

거른 술에 거품이 떴다는 것은 좀 문제가 있네요.
술을 거르기 전에는 거품이 생기지 않았는데
술을 거르고 나서 일정 시간 보관 후 거품이 생겼다는
것은 오염이 됐다는 것입니다.

첫째는 술을 거를 때 사용했던 것.(뭔지는 모르겠네요.)
그리고 술을 거를 때 사용했던 술 받는 용기
마지막으로 술을 담아 놓은 용기

이런 것들이 잘 소독이 되지 않았을 경우 이러한 현상이
나타납니다. 모두 끓는 물에 살균 후 사용했어야 하고요.
살균을 잘 했는데요. 그렇다면 다음의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겠네요.

1. 쉰맛과 신맛은 다릅니다. 신맛은 산미고, 쉰맛은 술이 부패하여 생긴것으로 잡균으로 부터 오염이 됐을 경우입니다.

2. 거품이 발생했다면 쉰맛이 맞고요. 증류를 하면 좋고, 그렇지 못하면 사용할 수 없습니다.

3. 술의 결과를 해결하기 보다는 술을 빚기 전에 충분히 생각한 후에(스케치를 잘 하고) 술을 빚어야 아까운 쌀을 낭비하지 않습니다.

4. 문제가 있고 난 후에 연락을 주시면 손쓸 방법이 없지만, 술을 빚기 전에 연락을 주시면 사전에 어느정도는 도움이 될 것입니다.

5. 너무 조급해하지 마세요. 좋은 술을 얻기 위해서는 기다리는 마음이 있어야 합니다. 술이 어떻게 되어 가는가 자꾸 열어보고 뭐하고 하면, 그때 술 맛이 가버립니다.

6. 물이 적게 들어가는 술은 처음에는 신맛이 있다가 오랜 시간이 지나면 단맛이 강해집니다. 기다리지 못하면 신맛에 술을 맛 보고, 기다리는 사람은 단맛에 술 맛을 보게 됩니다.

7. 쉰 맛이 나는 술의 맛을 고치기 위해 더 많은 쌀을 투입하기 보다는 이번 것을 참고하여 다시 빚어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저는 1년 넘게 실패만 했었습니다. 그러니 너무 실망하지 마시고요. 술을 이해하려 노력하시면 분명 좋은 술 얻을 수 있을거에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81 죽으로 밑술을 했는데요 혹시 산막이 생긴걸까요? file [1] 류슈뮤 2023-04-05 7133
880 감주빗기 [2] 우리술이좋아 2011-11-28 7127
879 막걸리 제조중 밥알이 안 가라앉을 때 file [2] 2P 2012-04-18 7113
878 삼양주를 만드는데 문제가 생긴듯 하여 여쭤봅니다 file [1] 희진 2023-03-10 7077
877 술에 쓴맛은 어떤 요인떄문에 생기는건가요 ?? [2] 연필꽂이 2021-10-28 7060
876 입국의 당화력은 얼마나 되나요? [2] 오렌지컴 2015-02-05 7044
875 [re] 고구마술 [4] 酒人 2009-01-16 7039
874 가양주 막걸리 만드는법 피리피리 2014-11-04 7032
873 누룩에 벌레가 생겼습니다. [4] 갈매기 2009-12-11 7014
872 이양주 덧술 후 기포가 사라진 문제 ㅠㅠ file [1] 오포 2023-04-16 7011
871 이양주(석탄주)질문드립니다. [2] 배꼭지 2021-03-03 7004
870 연습용으로 밑술 제작중인데 잘 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file [2] 한소리 2011-08-01 6999
869 삼양주 발효 5일차, 곰팡이 인가요? file [1] 쩡이님 2021-05-14 6974
868 덧술이 끓지 않습니다. 막걸리를 살려주세요. file [1] 리볼트 2021-11-28 6959
867 전통주 기초강의 4. 단발효와 복발효 酒人 2006-03-17 6933
866 빚은 술의 유통기한이 궁금합니다~ [1] 레오몬 2021-02-20 6928
865 삼양주 2차덧술후 3주의 시간이 되었습니다. [2] 기분좋게한잔 2020-12-25 6846
864 삼양주 언제 걸러야 할까요? file [2] 준파파 2022-01-03 6840
863 달콤한 술 만들기? 의문점 [2] [75] 민속주 2012-07-05 6840
862 밑술 항아리 용량으로 적당한것이? [4] 창힐 2013-07-19 6830
861 층분리가 안되는데 어떻게 하면 될까요? file [1] 주미 2023-05-30 6819
860 이번 여름에 누룩을 디뎠어요 file [2] 바나나메론 2021-10-11 6785
859 누룩 당화력에관련 질문좀 드릴게요 [1] 투덩잉 2013-07-19 6765
858 술 다 익은 정도 확인 방법 [1] 난소녀다 2023-02-14 6748
857 단양주 발효 중 표면에 흰 곰팡이 file [2] 우리몽이씨 2021-07-05 6735
856 석탄주 덧술을 설익은 고두밥으로 했는데, 고두밥을 추가해야 할까요? [2] 메밀우유 2021-08-06 6708
855 밀가루나 전분을 어떻게 추가하나요. [3] 막걸남 2011-01-12 6707
854 이양주 덧술 1일차 온도가 33도인데 [4] Blues 2020-12-30 6703
853 <b>전통주 중급강의 6. 술 거르는 시기</b> [1] 酒人 2006-07-15 6689
852 입문자 몇가지 질문드리옵니다! [4] Jbjang 2021-02-23 6683
851 처음으로 누룩을 만들었습니다! file [5] hedge 2011-04-08 6681
850 <b>밀가루를 넣는 이유에 대하여....</b> [2] 酒人 2007-02-28 6677
849 누룩 보관기간 [1] 파랑보라 2023-05-31 6647
848 [질문] 겨울에 술만들때 온도와 발효후 거르기 할때 궁금점이 있습니다. [4] 초초보 2014-02-13 6645
847 저온숙성중 맛의 변화 [2] Kimeric 2023-06-29 6620
846 삼해주 밑술에 장막이 생겼어요 [1] 랄랄라 2021-03-03 6608
845 술 증류기에 관한 질문입니다. 김상현 2006-05-10 6602
844 막걸리 담그기 file [1] [6] 오타와 저스튼 2012-12-15 6598
843 희석주 관련 질문입니다. [4] 김기욱 2006-06-14 6586
842 삼양주 밑술에 관하여 [1] mumu 2013-05-31 658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