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여름 술 빚기, 어떻게 해야 하나..</b>

조회 수 4547 추천 수 72 2007.08.17 00:06:25
여름 술 빚기

사실 여름만큼 술이 잘 되는 계절도 없습니다. 봄. 여름. 가을. 겨울 각 계절마다 술독의 관리가 조금씩 차이는 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여름에 술 빚는 것이 가장 편합니다.

누룩과 밀가루의 양을 늘려라.

사실은 밀가루의 양을 늘리는 것인데요. 밀가루의 양만 늘리게 되면 지나치게 젖산이 많이 생성되어 효모의 증식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밀가루를 늘리는 만큼 누룩의 양도 늘려줘 효모의 수를 늘려 주는 것입니다.

그럼 그 양이 얼마 정도…

기존에 누룩 1리터(1되, 500g정도)와 밀가루 1/2리터(반되)를 넣었다면, 여름에는 누룩 1.5리터 (1되 반), 밀가루 1리터(1되)를 넣어주는 방식으로 하면 됩니다.

혼합은 얼마나 해 주어야 하나요.

저는 물과 누룩, 곡물을 혼합하는데 20분을 넘지 않습니다. 20분 정도면 충분하다 생각하며 더 많이 혼합해 준다고 해서 술이 더 빨리 되고, 효모가 더 빨리 증식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술덧을 혼합해 주는 시간을 길게 잡지 않습니다.

그럼 덧술을 혼합할 때도 짧게 해 주나요.

밑술이 잘 되면, 덧술을 혼합하는 시간은 10분을 넘지 않습니다. 술의 양이 많을 때에는 항아리에 다 쏟아 붓고 주걱으로 약 5분정도 저어 주는 것으로 끝내기도 합니다. 잘 된 밑술이 공기와 너무 많은 접촉을 하는 것은 좋지 않기 때문입니다.

항아리에 특별한 관리는 필요하지 안을까?

저의 집, 저의 항아리는 그냥 덩그러니 방 바닥에 놓여 있습니다. 이불로 덮거나 찬 물에 담가 놓지도 않습니다. 자신이 생활하는 것처럼 저의 술독도 편안하게 놓아 둡니다. 인위적인 방법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각 계절, 온도의 변화에 따라 술의 발효 시간이 달라질 뿐, 발효를 위해 특별한 온도관리를 하진 않습니다.

여름에 술을 빚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당연히 주모입니다. 어느 계절이건 주모를 잘 만들어야 하지만 특히, 여름에는 공기중의 잡균들로 주모가 쉽게 망가질 수 있으니 특별한 관리를 해 주어야 합니다. 특별한 관리란, 특별한 작업이 아니라 사용하는 발효조나 도구들, 누룩, 물 등을 좀 더 확실하게 하라는 것입니다. 특히, 누룩이 오래 되면 잡균으로 오염이 되어 있을 수 있으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덧술 시기는?

봄이나 가을에는 약 48시간 정도 후에 덧술을 하면 되고, 여름은 약 36시간 후에 덧술을 하면 됩니다.(범벅을 만들었을 경우) 술의 종류마다 다르겠지만 공통점은 날씨가 더울 땐 덧술 시기를 약 12-24시간 정도 앞당겨 주는 것이 좋습니다.



마치면서…

우리 회원님들과 함께 이야기를 하면서 공부해야 재미있고 쉽게 이해가 가는데, 제가 생각나는데로 글을 올리니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모르는 것은 추가적으로 질문을 해 주시고요. 더운데 몸관리 잘 하세요.~~


시원하게 한잔.. ^^   “술독” www.suldoc.com

이창원

2007.08.17 22:33:08
*.112.252.38

^^*
안녕 하세요..
더위에 어떻게 지내시는지....
근데 좋은 글을 올려 주셨는데..
쫌 이해가 안되는 게....
효모는 약.32도 정도가 지속되면
사멸한다 하셨는데
요즘같은 날씨는..
물론 에어컨 시설이 있을 경우는 예외겠지만
한낮의 더위가 상당 한데요.
거기다 냉장고나 컴같은 가전제품에서 나오는 열도
엄청 나고요
그럴경우 온도가 32도까지 오를수도
있는데 그럼 효모는 어떻게 되나요?

酒人

2007.08.18 06:48:29
*.46.9.96

더우시죠.^^

폭염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힘들어 하죠. 이창원님께서
말씀하신 것 처럼 술독 내부의 온도가 32도 이상 지속되면
미생물이 사멸 도는 노화가 되어 알코올 생성에 문제를 가져오게 됩니다.

제가 술을 빚는 장소는 여러분이 술을 빚는 공간과 별반 다름 것이 없습니다. 술독은 가능한 집에서도 온도가 낮은 곳에 두고 실내온도가 정말 30도 이상이 유지된다면 발효조를 찬 물에 담가 놓는다든가 선풍기를 이용해 온도를 낮춰 주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그러나 저의 경험상으로는 너무 더워 죽을 정도가 아니면 술독의 뚜껑을 덮지 않는 것 만으로도 효모의 사멸, 노화를 충분히 막을 수 있습니다. 얇은 천(한지)등으로 벌레나 먼지등이 들어가지 않도록만 주의해 주시면 되고요.

특히, 여름에는 밑술 제조에 많은 신경을 써서 효모의 증식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뭐... 너무 더워서 술이 잘 안될 것 같으면, 꼭 제가하는 방식으로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앞에 말씀드렸듯 집 안에서 시원한 장소나 발효조를 찬 물에 담가 놓는 방식을 사용해도 좋을 듯 하네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청주sam

2007.10.02 19:57:05
*.83.59.21

외부기온의 등락에 의해 독 내부 술온도에 기복이 있으면 술의 맛이 나쁘거나 산패한다고 알고 있는데 잘못 알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특별히 술독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561 오양주를 빚고있는데 요즘 날씨가 너무 더워서.. [2] 술빚는요리사 2020-06-09 4317
560 소주를 만들려고 하는데요~ [3] 두메 2009-01-23 4321
559 발효통 크기 정하는법 [1] 반애주가 2013-02-04 4328
558 주경야독? [2] 농부의 아내 2009-03-21 4331
557 발효 온도 [1] 상자 2018-11-18 4331
556 죽이 따뜻할때 누룩을 넣으면.... [2] 보리콩 2013-12-28 4342
555 <b>술 제조해서 팔다 걸리면 어떻게..??</b> [1] 酒人 2006-07-06 4347
554 호산춘 도전중 .. [2] 장락 2013-03-10 4350
553 삼양주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1] 와이즈먼 2024-01-18 4358
552 흑미 육양주 발효 질문있습니다. file [4] 술빚는요리사 2020-05-26 4363
551 단호박술 [1] 돌돌이 2008-10-20 4370
550 <b>내 술은 왜 투명하지 못한가. </b> 酒人 2007-04-08 4373
549 발효가 덜된 걸죽한 술을 망으로 걸렀는데... [2] 허허술 2009-12-18 4391
548 저온 발효에관하여 여쭤 봅니다. 오작교 2022-10-29 4392
547 식초와 막걸리 걸음후 관리에 대해서 문의좀 드립니다. [1] 푸른별 2014-04-15 4395
546 밑에쓴 질문이요 반애주가 2013-05-20 4396
545 [re] 답변입니다. [2] 酒人 2008-10-10 4398
544 덧술 시기가 궁금해요 file [2] 제천인어공주 2012-06-18 4405
543 쑥술을 빚었습니다...^^ file [3] 봇뜰 2008-05-25 4408
542 시작하기 전에 준비물이요. [2] 술똑다컴 2009-01-28 4409
541 막걸리 병입후에 4-5일후에 생기는 현상 궁금합니다. file [1] 아이다호 2017-04-23 4411
540 이런 노란게 생겼는데 곰팡이 일까요? file [1] 끼옹이 2023-02-01 4415
539 이곳에는 방앗간이 없습니다. [6] 갈매기 2009-12-03 4417
538 씨앗술로 이양주~ [1] 산에살다 2015-05-23 4417
537 맞있는 술이 너무 진하고 독해요. [1] 신원철 2007-04-10 4424
536 부탁드립니다. [1] 반애주가 2013-08-26 4427
535 덧술할 고두밥에 물을 섞을때와 그냥 넣을때의 차이점.. [2] 나이스박 2014-03-22 4431
534 <b>내부비전국(內腐秘傳麴)에 대해서</b> [3] 酒人 2007-05-09 4433
533 초보자 따라하기 덧술 만들때 물은 더이상 않넣고 밑술과 고드밥을 버무리나요? [2] 머스마 2010-05-19 4438
532 꽃술 빚을 때, 꽃의 이용에 대하여.. 궁금한 점 [2] [1] 민속주 2012-07-14 4438
531 거른술을 항아리에 보관할때 [2] 보리콩 2014-02-07 4441
530 막걸리의 냄새가 이상해요 찐찐 2018-12-09 4445
529 누룩이.. [1] 2008-09-30 4449
528 덧술시기... [1] 2008-08-09 4451
527 봉밀주도 빚어보았습니다 file [1] 석탄 2009-03-07 4451
526 호산춘 덧술시기 [1] 예그린 2013-10-01 4451
525 고두밥 문의 드립니다 [3] 대암 2007-02-06 4455
524 석탄주 밀봉 방법에 대해 (에어락) 질문입니다 ㅜ [1] 호박654 2020-04-16 4457
523 막거리 레시피 한번 봐주세요 [1] 오렌지컴 2014-10-02 4463
522 덧술 상태좀 봐주세요 ㅠㅠ file [1] synop 2015-06-12 446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