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술의 양 크게 늘리는 방법</b>

조회 수 3975 추천 수 52 2006.12.12 09:04:53
술의 양 크게 늘리는 방법

술의 양을 늘리기 위해 현재 사용되는 제조법은 덧술 고두밥에 물을 부어다가 물이 고두밥에 다 흡수되어 식힌 후에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오래 전부터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술의 양을 늘리는데 한계가 있다. 즉, 술의 양을 크게 늘리기 위한 방법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럼 어떤 방법이 있을 까?  1700년대 문헌 <술 만드는 방법> 에서 그 방법을 찾을 수 있었다. <술 만드는 방법>에 기록되어 있는 술 중에 ‘삼선주’ 라는 술이 있는데, 그 제조법은 다음과 같다.

[ 백미 1말을 백세작말하여 큰 되로 열되만 되어 개어 차거든 곡말 1되, 진말 1되 섞어 넣었다가 백미 2말 백세하여 익게익게 쪄서 끓인 물 2말을 골나(꽤나) 차거든 곡말 1되, 진말 1되 섞어 항아리에 넣었다 3-4일 만에 찹쌀 2말 정성껏 씻어 물 5말에 죽 쑤어 부었다가 술이 괴거든 마셔라. 이 술은 영악산 신선이 가르친 비법이다. ] – (가능한 원문 그대로 적었다.)

우리가 삼선주에서 가장 주의깊게 봐야 할 것은 세번째 빚어지고 있는 [3-4일 만에 찹쌀 2말 정성껏 씻어 물 5말에 죽 쑤어 부었다가..] 라는 구절이다. 이 구절에서 삼선주만의 독특한 제조법을 볼 수 있는데 그것이 바로 술의 양을 크게 늘리기 위한 방법이다.

보통의 이양주, 삼양주는 맨 마지막에 담는 술은 곡물을 가루내지 않고 익혀서 사용한다. 그러나 삼선주에서는 이와 반대로 두 번째 빚는 술을 고두밥으로 사용하고 세 번째는 죽을 사용했다는 것이다. 두 번째 까지만 해도 다른 이양주와 별반 틀리지 않다. 그러나 삼선주는 여기에 많은 양의 죽을 넣고 있다.

삼선주가 완성되면 탁주 184리터 이상 얻을 수 있는데 그 중에서 세 번째 죽을 넣어 얻어지는 술의 양이 무려110리터가 넘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삼선주는 쌀 1말로 무려 탁주 37리터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실제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술을 빚어 보면 술 양도 많이 나올 뿐더러 알코올 도수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삼선주가 가져다 준 제조법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이러한 제조법을 응용하면 어떤 술이든 술의 양을 10리터 이상으로 늘릴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이양주의 술 중에서 덧술을 빚고 4-5일 후에 쌀가루 2되를 물 5되로 죽 쑤어 넣어주면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덧술에있는 수 많은 효모들과 알코올의 영향으로 세번째 들어오는 죽은 쉽게 발효시킬 수 있는 것이다.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21 문의 드립니다 [1] 녹야 2009-10-14 3354
120 항아리 내부가 너무 조용합니다 [1] 해난 2010-05-13 3351
119 삼양주 담갔습니다. [2] 미얄 2014-09-30 3347
118 올 추석에는 [1] 애주가 2008-07-30 3345
117 진상주 문의 드립니다. [4] 술향 2010-01-27 3341
116 酒人님께 여쭙니다. [1] 갈매기 2010-01-04 3338
115 막걸리를 만들고싶어요 [1] 새벽바람 2010-02-14 3337
114 질문) 초일주 만들고 있는데요^^ [3] 두메 2007-02-13 3334
113 또 질문합니다. [2] 고망고망 2009-08-18 3333
112 이스트?효모영양제 사용방법및 시기 문의 [1] 호박654 2020-07-24 3324
111 삼양주 빚는중에 나는 향 [2] mekookbrewer 2020-06-20 3324
110 문의드립니다. [1] 나무그늘 2009-10-22 3321
109 주인님이 못봐서 지나간 질문. 3 [2] 민속주 2012-06-24 3310
108 고두밥과 술 발효와의 관계는? 원삼규 2006-12-21 3307
107 삼백주가 궁금합니다. [3] 허허술 2009-12-22 3302
106 술 량이 적은것 같아서요~ [2] 두메 2010-02-05 3300
105 <b>겨울 술빚기의 기본</b> 酒人 2007-01-23 3295
104 막걸리 이양주 진행상황 검토부탁 드립니다. [1] Emiju 2020-05-24 3279
103 훗~^^ 궁금증 좀 풀어주세요~ 어화둥둥 2007-06-02 3279
102 혹시.. 전통주 배우는 프로그램은 없는지요...? 이선아 2008-10-01 3273
101 서태를 포함한 7곡으로 범벅하여 밑술하였는데.. 솔버덩 2010-04-10 3266
100 끓인물과 그렇치 않은 물의 차이가 있나요? [1] 잠자는뮤 2019-04-08 3260
99 불패주 주방문 수정가능할까요...ㅠ [2] 케팔로스 2018-10-12 3257
98 호산춘 처방 [1] yk 2014-04-03 3251
97 안녕하세요. [2] sul4u 2014-04-02 3250
96 이양주 질문입니다. [1] 시골술쟁이 2018-06-26 3232
95 물에 담근 누룩 어떻게 하나요? [1] 눈사람 2010-03-05 3218
94 쌀가루를 낼때도 침미과정은 필수인지요 [1] KoreanBrewers 2019-04-03 3212
93 인녕하세요. [1] sul4u 2014-05-08 3206
92 발효중 끓어오를때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7-12 3203
91 감주에 대한 질문이요~ [1] 도리버섯 2016-05-26 3203
90 고맙습니다 [1] yk 2014-02-06 3198
89 누룩 띄울 때 꽃을 넣을 수 있나요? 민속주 2012-06-23 3183
88 약전에 관하여(이한수님의 질문입니다. ) 酒人 2006-10-31 3183
87 삼양주방식으로 빚는 복분자주 질문 드립니다 [4] 나라랑 2024-01-24 3182
86 술이 뻑뻑해요ㅠ.ㅠ [2] 술을 빚어보자 2018-07-20 3181
85 [re] 구정에 먹을 술 어떤게 좋을까요.? [2] 酒人 2007-01-01 3180
84 오디주를 빚어보고 싶어요 [1] 선02 2017-09-18 3178
83 자료 요청합니다. [1] [3] 엄대장 2012-12-17 3178
82 백미로만.. 술을 담을 경우 [2] 산에살다 2016-06-01 317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