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술의 양 크게 늘리는 방법</b>

조회 수 4011 추천 수 52 2006.12.12 09:04:53
술의 양 크게 늘리는 방법

술의 양을 늘리기 위해 현재 사용되는 제조법은 덧술 고두밥에 물을 부어다가 물이 고두밥에 다 흡수되어 식힌 후에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오래 전부터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술의 양을 늘리는데 한계가 있다. 즉, 술의 양을 크게 늘리기 위한 방법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럼 어떤 방법이 있을 까?  1700년대 문헌 <술 만드는 방법> 에서 그 방법을 찾을 수 있었다. <술 만드는 방법>에 기록되어 있는 술 중에 ‘삼선주’ 라는 술이 있는데, 그 제조법은 다음과 같다.

[ 백미 1말을 백세작말하여 큰 되로 열되만 되어 개어 차거든 곡말 1되, 진말 1되 섞어 넣었다가 백미 2말 백세하여 익게익게 쪄서 끓인 물 2말을 골나(꽤나) 차거든 곡말 1되, 진말 1되 섞어 항아리에 넣었다 3-4일 만에 찹쌀 2말 정성껏 씻어 물 5말에 죽 쑤어 부었다가 술이 괴거든 마셔라. 이 술은 영악산 신선이 가르친 비법이다. ] – (가능한 원문 그대로 적었다.)

우리가 삼선주에서 가장 주의깊게 봐야 할 것은 세번째 빚어지고 있는 [3-4일 만에 찹쌀 2말 정성껏 씻어 물 5말에 죽 쑤어 부었다가..] 라는 구절이다. 이 구절에서 삼선주만의 독특한 제조법을 볼 수 있는데 그것이 바로 술의 양을 크게 늘리기 위한 방법이다.

보통의 이양주, 삼양주는 맨 마지막에 담는 술은 곡물을 가루내지 않고 익혀서 사용한다. 그러나 삼선주에서는 이와 반대로 두 번째 빚는 술을 고두밥으로 사용하고 세 번째는 죽을 사용했다는 것이다. 두 번째 까지만 해도 다른 이양주와 별반 틀리지 않다. 그러나 삼선주는 여기에 많은 양의 죽을 넣고 있다.

삼선주가 완성되면 탁주 184리터 이상 얻을 수 있는데 그 중에서 세 번째 죽을 넣어 얻어지는 술의 양이 무려110리터가 넘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삼선주는 쌀 1말로 무려 탁주 37리터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실제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술을 빚어 보면 술 양도 많이 나올 뿐더러 알코올 도수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삼선주가 가져다 준 제조법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이러한 제조법을 응용하면 어떤 술이든 술의 양을 10리터 이상으로 늘릴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이양주의 술 중에서 덧술을 빚고 4-5일 후에 쌀가루 2되를 물 5되로 죽 쑤어 넣어주면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덧술에있는 수 많은 효모들과 알코올의 영향으로 세번째 들어오는 죽은 쉽게 발효시킬 수 있는 것이다.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402 소주 주정 만들기 [1] 포수 2013-06-11 7994
401 단양주 빚어보는데 [1] 김해삼 2013-06-13 7658
400 술찌끄미 이용법 [1] 포수 2013-06-14 7485
399 전통중[서 증류소주 제조방법이랑 증류소주 만든 후 좋은 숙성방법좀 부탁합니다. [1] 약초맨 2013-06-24 6303
398 발효와 온도 [2] 포수 2013-06-24 5969
397 청주 제조원가 계산서... 고래 2013-06-27 5548
396 효모에 대해... [2] sul4u 2013-06-28 5895
395 증식기때 알콜생성? [1] sul4u 2013-07-07 5366
394 모주 만들기를 희망하며.. [1] honeyglaze 2013-07-10 5587
393 이화곡으로 현미술을 만들때... [2] sul4u 2013-07-16 5848
392 이런 경우도 가능할까요? [1] 둘레길 2013-07-19 4732
391 누룩 당화력에관련 질문좀 드릴게요 [1] 투덩잉 2013-07-19 6929
390 밑술 항아리 용량으로 적당한것이? [4] 창힐 2013-07-19 6991
389 옥수수술 담그기 도전 ( 배울수가없어서) [2] 창힐 2013-07-20 7965
388 고두밥과 섞기전에 누룩을 뜨거운 물에 담궜는데 괜찮을까요? [1] 김수한무 2013-07-24 5601
387 더운 날씨 술빗기 [2] sul4u 2013-07-26 5679
386 고두밥나눠넣기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3-07-31 4845
385 멥쌀로 고두밥을 쪄서 삼양주를 담근는데...고두밥이 [2] 창힐 2013-08-07 6664
384 주모를 빚는 과정에서 [1] mumu 2013-08-15 5791
383 부탁드립니다. [1] 반애주가 2013-08-26 4584
382 안녕하세요. [1] sul4u 2013-08-27 4320
381 덧술후에 술이 괴어넘치는 현상 [1] 회곡양조 2013-09-08 4872
380 술 걸르다보면 걸죽한 요구르트같은것일때,쉰맛,쌀맛에 대해서 [1] 창힐 2013-09-09 5671
379 조하주에대해서 질문 [1] 반애주가 2013-09-30 4276
378 호산춘 덧술시기 [1] 예그린 2013-10-01 4608
377 술찌게미는 꼭 걸러야 하나요? [2] anakii 2013-10-16 6534
376 증류기를 샀습니다. 증류에 대하여 질문드려요. [2] 걷는바람 2013-10-21 6739
375 술독 뚜껑 안쪽 면에 맺힌 이슬은요? file [2] anakii 2013-10-24 5168
374 청주가 생기지 않습니다. [2] 걷는바람 2013-11-06 4678
373 이양주 빚는 중에 거르는 시기 질문입니다, file [2] anakii 2013-11-14 8511
372 현미죽으로 만든 밑술, 천막(^^)이 생겼어요.. file [2] anakii 2013-11-25 5700
371 불패주 알코올 도수 낮추기 [1] yk 2013-11-30 6266
370 고맙습니다 [1] yk 2013-12-03 4059
369 옻 삶은 물로 막걸리 빚을수 있으까요? [2] 지량 2013-12-05 6512
368 죽이 따뜻할때 누룩을 넣으면.... [2] 보리콩 2013-12-28 4499
367 술빚기 관련 질문은 아닌데 꼭좀 읽어주세요 [1] 곰술 2014-01-18 4734
366 물의 양에 관한 질문 [1] 북성 2014-01-24 5750
365 독한 청주 [1] yk 2014-02-05 5120
364 고맙습니다 [1] yk 2014-02-06 3604
363 거른술을 항아리에 보관할때 [2] 보리콩 2014-02-07 461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