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피와 살이 되는 밑술법 2</b>

조회 수 5127 추천 수 45 2006.10.23 11:04:08
밑술법 1이 가루를 이용한 제조법 이라면, 이번에 소개하려는 밑술법 2는 생쌀을 가루내지 않고 밑술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음식디미방>과 <술 만드는 법> 등에 기록되어 있으며, 범벅으로 밑술을 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만들기 쉽고 효모 증식이 잘 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밑술이 쌀을 가루 내고 여기에 끓는 물을 부어 잘 혼합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반해서 이번에 소개하려고 하는 밑술법은 생쌀에 물을 넣고 끓이는 방법입니다. 여러분도 집에서 누군가 아프거나 할 때 쌀 죽을 만든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바로 그 방법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밑술 만들기

1. 쌀 2되(1.6kg)를 깨끗이 씻어 죽을 끓일 수 있는 큰 통에 담는다.
2. 물 9리터를 넣고 끓인다.
3. 거품이 통 밖으로 넘칠 것 같으면 불을 최대한 줄여 준다.
4. 약한 불로 오래 가열한다.
5. 밥알이 죽처럼 되면 주걱으로 잘 저어주고 식혀준다.
6. 식으면 누룩가루 1되를 섞어 술독에 담는다.


참고> 쌀을 씻고 물에 불리지 않고 바로 죽을 만듭니다.

술독 관리 - 봄, 가을인 경우

1. 가능한 시원한 곳에 둔다. (20-25도)
2. 36시간 후에 열어 본다.
3. 술에 이상이 없으면 다음날 덧술한다.


참고> 죽은 범벅보다 하루 정도 빨리 덧술을 해야 한다.

제가 술독을 놓는 위치는 방이 아닌 햇볕이 들지 않는 시원한 곳에 놓아 둡니다.

요즘 같은 온도에는 보통 48시간 후에 술독을 열어보면 술이 잘 되어 있을 것입니다. 죽을 만들 때, 물의 양으로 밑술 상태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기본 9리터에서 물의 양을 줄이면 된 죽이 되고, 9리터 그대로 사용하면 묽은 죽 처럼 됩니다.

가루로 범벅을 만드는 방법과의 차이점.

1. 가루를 빻기 위해 방앗간에 가지 않아도 된다.
2. 범벅을 만들기 위해 힘을 들이지 않아도 된다.
3. 언제라도 술을 빚고 싶을 때 응용할 수 있다.
4. 무엇보다도 만들기가 쉽고 효모 증식이 잘 이루어 진다.

주의 : 쌀을 끓여 거품이 많이 발생할 때, 불을 최대한 줄여주지 않으면 밑이 탈 수 있기 때문에 불 조절을 잘 해주어야 한다.

참고> 특별히 '보쌈'을 언급하지 않는 술은 '보쌈을 하지 않는다'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저 작 권 자(c)술 독 .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배병임

2006.10.27 23:18:07
*.159.132.16

맵쌀로 하는지요
또한 20도가넘는 거실에서한다면 2일째 덧술해야하는지요

酒人

2006.10.28 00:01:10
*.188.85.192

멥쌀로 하구요. 평균 2일 후, 늦어도 3일째는 덧술을 해야 합니다. 보통 범벅으로 하는 술 보다 하루정도 일찍 덧술을 해야 해요.~

오늘 - 내일(1일) - 모래(2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761 안녕하세요! 문의드립니다! ^^ [1] 살몬 2012-04-11 3450
760 1차 덧술을 하고 나서~ [3] 두메 2007-02-14 3453
759 진행과정 보고 [1] 신원철 2007-03-25 3453
758 [re] 답변입니다. ^^ 酒人 2007-06-03 3454
757 초일주에 대하여 [1] 대암 2007-03-01 3460
756 밑술을 담그고 문의드립니다 [1] 우정 2007-06-12 3460
755 이상한 맛과 향의 고구마 막걸리 질문입니다. 곡차 2022-10-02 3460
754 술빚기 Q&A 20페이지. 120번 빚은 청주에서 탄산가스가 생기면? 의문점 [2] 민속주 2012-10-22 3467
753 밑술 담은지40시간 사진 임니다 file [1] 강용진 2006-12-27 3471
752 밑술의 맛은 ? 김정옥 2006-11-02 3474
751 안녕하세요! 술에 관심이 많은 사람입니다^ㅡ^ㅋ [3] 한국인 2007-03-25 3477
750 석탄주에대한질문입니다 [1] 0심이 2010-09-30 3477
749 삼양주 만들어보기 루시 2020-07-01 3481
748 술이 너무 빨리 끓은것 같습니다 [1] 문석호 2010-03-25 3484
747 오랜만에 복분자 주를 만들려고 하는데 비율을 잘 모르겠습니다 ㅎ [2] 술도하가 2012-09-13 3484
746 이양주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2-10-29 3489
745 전통주에 쓰이는 재료비율에 대해서 질문좀요 [2] 바나나우유 2010-08-10 3491
744 <b>술을 언제 걸러야 하나요.? </b> 酒人 2006-12-12 3495
743 아랫 술... file [1] 고망고망 2009-09-02 3503
742 술에 넣을 물로... [2] 아침이슬 2007-02-20 3504
741 [re] 답변입니다. [1] 酒人 2010-10-17 3504
740 여러가지 의문 점 [2] 민속주 2012-10-31 3506
739 긴급 질문입니다. [3] 보리콩 2010-09-04 3507
738 막걸리 공장에서 술재조 공정 궁금 [2] 오렌지컴 2014-06-14 3509
737 달콤한 술은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1] 酒人 2006-06-01 3513
736 탁주 만드는데 궁굼한게있어요. [1] 보해미안 2009-11-06 3517
735 청주만들기2 [2] 우리술이좋아 2010-01-22 3520
734 맑은술 [1] 이반 2018-12-24 3520
733 <b>증류주 만들때 꼭 알아야 할 것</b> 酒人 2006-06-08 3533
732 [re] <b>가향하는 방법에 대하여...,</b> 酒人 2006-12-15 3536
731 누룩양좀 봐주세요 [1] 쵸이 2019-02-11 3537
730 용수 사용법 [2] 장돌뱅이 2019-10-31 3542
729 쌀과 누룩 질문 [1] 식초나라 2013-03-06 3544
728 1. 2차 덧술할때 누룩과 항아리 [1] 두영 2010-05-14 3545
727 씨앗술이 왜?? file [2] 제천인어공주 2012-10-09 3547
726 술의 유지 방법. [2] 눈사람 2010-03-22 3551
725 막걸리의 탁도조절 [1] 장셰프 2020-11-15 3558
724 글을 읽다 궁금한점이 있어서 남깁니다 [1] 레오몬 2020-05-03 3559
723 주인님, 아래 제 글 "청주 보관에 대한 문의" 에 대한 답변 좀... 해난 2010-06-08 3560
722 <b>여름에는 술을 어떻게 빚나요.??</b> 酒人 2006-07-10 356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