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석탄주는 어떤 맛일까?</b>

조회 수 4578 추천 수 54 2006.09.07 19:09:35
여러분들이 가장 많이 알고 계신 술 중에 하나가 석탄주입니다. "입에 머금고 삼키기 아깝다"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술의 이름도 독특하고 맛 또한 좋다고 하니 술을 빚는 사람들은 대부분 석탄주를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럼 석탄주는 어떤 맛을 가졌기에 애주가들의 입에 자주 오르내리는 것일까요.

석탄주의 제조법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백미 2되를 백세하여 가루내고, 물 1말로 죽 써서 차게 식으면 누룩 1되와 섞어 술독에 담아 봄,가을에는 5일, 여름에는 3일, 겨울에는 7일만에 덧술을 하는데 찹쌀 1말을 쪄서 식으면 밑술과 혼합하여 술독에 담고 7일 후에 사용한다.]

이러한 제조법을 보면서 여러분들이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이 쌀과 물의 비율입니다. 석탄주를 보면 총 쌀의 양에 물이 150% 들어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쌀 12리터, 물 18리터가 들어가니까 쌀과 물의 비가 1 : 1.5가 되는 것입니다.

쌀로 빚은 술에 물 150%를 넣어 빚으면 술맛은 다음과 같습니다.

알코올 도수 : 16-17% 맛 : 단맛은 거의 없고 산미와 감칠맛이 우수합니다.
색깔 : 석탄주의 뿌리가 황금주에 있는데 황금주가 술의 색이 황금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석탄주도 황금빛을 냅니다.


현대인이 만약 위 제조법으로 빚은 술을 마신다면 분명 기대가 컷던 만큼 허탈해 할 수도 있다고 봅니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현대인의 입맛을 기준으로 석탄주를 바라보았기 때문입니다.

석탄주가 입에 머금고 삼키기 아까울 정도로 맛있다고 하지만 현대인의 입맛에는 잘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물론 사람의 입맛이 다 달라서 저의 생각이 주관적일 수 있지만 현대인이 맛있다고 하는 술맛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석탄주는 밑술을 죽으로 하는데 이렇게 죽으로 빚는 방법은 조선 초 이전의 제조법의 특징입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범벅으로 바뀌어 갔지만 석탄주처럼 밑술에 물이 많이 들어가는 술은 범벅 보다는 죽이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석탄주를 아주 맛있게 빚고 싶으면 사용하는 물의 양을 줄이면 되는데, 이렇게 되면 석탄주 본래의 맛이 아닌 다른 술맛을 얻는 것입니다. 보통 인터넷 카페 등에서 사용하는 제조법은 물 10리터를 사용하는데 이렇게 빚으면 당연히 맛은 더 좋아집니다. 그러나 더 좋아진다는 것은 현대인들의 입맛에 맞아진다는 것이지 술이 더 좋다고 말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석탄주를 빚어 마시면서 옛 조상들을 상상해 보았습니다. 그들의 입맛은 지금 현대인의 입맛과 다른 맛을 즐기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단맛보다는 산미가 있는 감칠맛을 즐겼으며 특히 알코올 도수가 높은 술을 즐겨 마셨던 것 같습니다. 현대인의 입맛에는 잘 맞지 않는 술을요. 또한, 7일만에 용수를 박는다고 하였으니 석탄주는 맑은 청주로 마시는 술임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술사랑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563 밑에쓴 질문이요 반애주가 2013-05-20 4544
562 덧술시기... [1] 2008-08-09 4546
561 술거를때 용수를 꼭 써야하나요? [1] 곰티 2020-03-11 4547
560 봉밀주도 빚어보았습니다 file [1] 석탄 2009-03-07 4549
559 조하주에대해서 질문 [1] 반애주가 2013-09-30 4549
558 누룩이.. [1] 2008-09-30 4550
557 술 거를때 받침대 문의 file [1] 잠자는뮤 2019-04-01 4556
556 이곳에는 방앗간이 없습니다. [6] 갈매기 2009-12-03 4563
555 석탄주 덧술한 다음 현재 상태입니다. file [1] 원삼규 2006-11-26 4565
554 동방주 빚기에 대하여 [2] 강현윤 2008-01-14 4574
553 꽃술 빚을 때, 꽃의 이용에 대하여.. 궁금한 점 [2] [1] 민속주 2012-07-14 4574
552 초보자 따라하기 덧술 만들때 물은 더이상 않넣고 밑술과 고드밥을 버무리나요? [2] 머스마 2010-05-19 4576
» <b>석탄주는 어떤 맛일까?</b> 酒人 2006-09-07 4578
550 안녕하세요. [1] sul4u 2013-08-27 4588
549 두강주 만들때요~ [1] 초히 2009-05-11 4591
548 이제 화살은 시위를 떠났습니다. [2] 비설 2008-12-15 4593
547 황금주 만들때...*^^* [1] 왈순아지매 2009-12-04 4600
546 술 색깔을 맑고 투명하게 만들려면요.. [2] 봄날은간다 2007-03-23 4603
545 술이 걸쭉하게 된거같아요... [1] 공대생 2014-10-15 4604
544 <b>전통주 중급강의 2. 야생효모와 배양효모</b> 酒人 2006-05-08 4608
543 <b>여름 술 빚기, 어떻게 해야 하나..</b> [3] 酒人 2007-08-17 4612
542 예쁘게 끓는술 3탄 file [1] [2] 제천인어공주 2012-12-10 4624
541 술빚기 기초강의 3. 쌀씻어 물에 담그기 酒人 2006-04-08 4630
540 완성된 술에 단맛 가미하는 방법 있을까요? [1] 랄랄 2012-06-11 4636
539 오양주를 빚고있는데 요즘 날씨가 너무 더워서.. [2] 술빚는요리사 2020-06-09 4640
538 질문 드립니다. [2] 김강훈 2006-04-24 4643
537 담금주에 대해 여쭤봐도 될까요? [1] 봉슈 2017-08-05 4643
536 청주를 거르고 난 후 2 [1] 우리술이좋아 2010-05-14 4644
535 덧술에 물이 들어가는 경우, [1] 민속주 2012-07-06 4661
534 밑술에 거품이 많이 올라 와 있네요. 망한건가요? ㅠㅠ [2] 할렘 2020-06-04 4663
533 [re] 고구마술 복드림 2009-01-16 4673
532 주정계 와인 2010-11-24 4680
531 씨앗술입니다 file [1] 제천인어공주 2012-05-20 4681
530 동정춘 밑술사진입니다~ file [1] 엄대장 2012-04-22 4682
529 소주내리기 [1] 상갑 2008-12-10 4685
528 따라하기로 동동주만들기에 대해서 여쭙니다, 단술 2010-12-07 4697
527 식초와 막걸리 걸음후 관리에 대해서 문의좀 드립니다. [1] 푸른별 2014-04-15 4699
526 두가지 질문 입니다. [1] 이선화 2006-08-03 4700
525 잡내 제거는 어렵나요? [2] 보리콩 2011-01-05 4714
524 흑미 육양주 발효 질문있습니다. file [4] 술빚는요리사 2020-05-26 471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