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술이 약간 매운듯 한데....중화시킬 방법이 없을지...

조회 수 4109 추천 수 66 2006.06.12 13:12:33
총 3개월 동안 10도 이하의 저온으로 세번의 걸쳐 덧술을 한 삼양주를 걸러

한달째 숙성중입니다.

총 두번의 렉킹을 거쳐 많이 맑아진 술을 병입하였습니다.

그때 맛을 잠깐 보았는데..대체적으로 잘 어우러진 맛을 내긴 했지만..

시장에서 파는 정체불명의 누룩으로 작업한거라서 그런지 알콜끼가 약간 톡 쏘

면서 매운맛을 내는군요...

경험상 알콜이 쏘는건 아무래도 숙성을 거치면서 없어지는것 같은데...

이번에 끝에나는 매운맛은....영...

이걸 어떻게 매운잡을 잡아야 할지....많은 고민이 되는군요....

약간의 매운맛은 술맛을 돋우지만 이번처럼 강한 매운맛은 첨 격는 경우라...

많이 당황스럽군요....에효...누룩이 없으면 작업하질 말것을....쩝.

급한맘에 시장표 누룩을 사용하였더니....5개월 작업이 허사로 돌아갈까

조바심이 나는군요...

실패한다면...... 내 찹쌀 20키로 돌리도.......앙~~~~앙~~~~

酒人

2006.06.12 15:50:50
*.61.225.79

박상진님 안녕하세요.~ 그런데 쌀 아까워서 어떻게 해요 ^^

보통 매운맛이라 하면 불닭이나 안주로 많이 쓰이는 골뱅이무침 같은 것들을 생각하게 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술 맛을 표현하는 ‘매운맛’은 이러한 음식에서 나는 매운맛과는 다른 것입니다. 그러나 연관이 없는 것도 아닙니다.

보통 음식이 너무 매우면 설탕 등 단맛이 나는 것을 넣어 매운맛을 죽여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단맛이 없기 때문에 매운맛이 더욱 매운 것입니다.

김상진님께서 5개월간 삼양주를 빚으면서 술 속에 있는 당분이 모두 발효되어 잔당이 남아있지 않은 상태인 것 같습니다. 술의 알코올 도수가 높더라도 소량의 당분이 남아있으면 매운맛은 많이 사라지게 될 것입니다. 소량의 당분이 남았더라도 단맛이 알코올에 묻혀 단맛은 그리 많이 나지는 않겠지만 좋은 향기는 갖게 되어 매운맛을 많이 죽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현재 술이 완성된 상태라 잔당을 남길 수는 없는 일입니다.^^ 그렇다고 여기에 설탕을 첨가해서 매운맛을 죽일 수도 없는 일이구요. 꿀이 있으시면 꿀을 술에 넣고 40-50도로 술을 중탕하였다가 차게 해서 마시면 많이 좋아질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5개월 동안 정성껏 빚으셨으니 못 먹을 정도만 아니면 그냥 드시는 것이 어떨까요. 병입까지 하셨고, 요즘 날씨도 더운데 여러 가지 혼합하는 과정에서 술의 변질이 더 심해질 수 있으니까요.

먹을 정도가 아니면 술을 고치기보다는 알코올 도수가 높으니까 증류를 해서 증류주나 과하주를 만드는 방법도 좋을 듯 합니다. 술 제조법과 맛을 보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한 답을 드릴 수 없네요.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


박상진

2006.06.12 17:03:05
*.33.198.251

흐..답변감사합니다.....못먹을 정도는 아니고..생각보다 맛이 없었다 이런표현이 맞겠지요....여지껏 작업중에 젤 맛없는 술이 나온듯하여.....

매운맛만 조금 중화되면 더 맛있을거 같아서....흐....

아무튼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443 술빚기 기초강의 1. 술의 선택 酒人 2006-04-04 4942
442 쌀 죽으로 밑술 담글때 죽 아래가 약간 타게 되면? [2] 원삼규 2007-01-10 4942
441 덧술을 하면서 물추가... [2] 애주가 2008-08-08 4946
440 [re] 고두밥과 술 발효와의 관계는? 酒人 2006-12-21 4952
439 씨앗술 질문이요. [1] 산에살다 2015-06-16 4954
438 침전물은 어떻게 이용하나요? [1] 미루 2008-04-11 4955
437 술빚기 관련 질문은 아닌데 꼭좀 읽어주세요 [1] 곰술 2014-01-18 4958
436 석임의 활용에 대하여.. [1] 백수환동 2013-06-01 4960
435 삼양주 1차 덧술 후 신맛 [2] 꺄초쇌두 2024-03-06 4966
434 청주 보관에 대한 문의 [1] 해난 2010-05-25 4969
433 밑술의 오염에 대한 대책은? file [2] 아침에술한잔 2007-03-07 4990
432 [re] 하수오주? [2] 酒人 2006-12-22 4993
431 5월25일 빚은 쑥술 입니다...^^ file [1] 봇뜰 2008-06-28 4999
430 통쌀죽 쑤는 방법에 대해 다시 여쭙겠습니다 [1] dnekaqkfk 2019-11-09 5003
429 엿술을 빗었는데 정확한 도수를 모르겠습니다. [6] 농부의 아내 2009-10-28 5005
428 하얗게 피어난 것이 무엇인지 궁금 합니다. [2] 하늘지기 2012-02-09 5008
427 용수박을 시기 문의 file [3] 투덜이 2012-05-30 5008
426 자주하는질문<<<>>> 미생물 굶겨 술빚기.... [1] 창힐 2013-05-24 5010
425 고구마술 담그는법 부탁드립니다. [1] 도사 2008-10-18 5012
424 잘못 빚은 술 복구방법은요? [2] 쿡쿡 2013-04-30 5015
423 쌀누룩을 띄우는데 처음하는거라 ... 선배님들께 묻고싶습니다. file [2] 동강파 2019-03-07 5015
422 막걸리의 걸쮹함 [2] ilovetapuy 2018-11-06 5022
421 향온주 좀더 두어야 할까요? [2] 보리콩 2011-02-07 5024
420 곰팡이가 맞나요? file [1] 고래고래솨악 2024-02-23 5028
419 검은색 나는 곰팡이 때문에 꺼림직합니다. 도와주세요 [2] cycyoo99 2014-08-25 5032
418 멥쌀주 담그는 법 [1] 행유 2010-08-18 5035
417 온도가 높아도 막걸리가 빚어지나요? [1] 랜스 2013-05-03 5035
416 과하주에 관한 문의 [1] 케이원 2014-08-01 5037
415 인사동 축제에 사용할 유리병 file [5] 酒人 2006-04-29 5040
414 가양주 레시피 해석 문의 [2] 시작은 천천히 2012-04-17 5044
413 <b>[re] 답변입니다. </b> 酒人 2007-01-07 5046
412 쌀에 호박을 넣어 막걸리를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3] 농월 2012-03-22 5048
411 발효 및 숙성 기간에 대하여.. [2] 김군 2009-12-20 5050
410 전통주에 있는 효소와 효모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1] 민속주 2013-04-11 5051
409 석탄주 덧술 시기좀 알려주세요 [1] 호박654 2020-04-18 5051
408 고두밥나눠넣기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3-07-31 5061
407 곡물과 물의 비율 [1] 우리술이좋아 2009-10-30 5062
406 항아리 안에서 술이 익어갈때...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도수 차이가 나나요? [4] 선선 2020-10-02 5064
405 술향기가 진동을 하네요~~ [4] 나이스박 2014-10-17 5066
404 술을 사먹지 왜 만들어 먹어요?? 酒人 2006-01-13 507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