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이데일리 맥주도, 막걸리도 비틀···‘낡은 주세법'에 쪼그라드는 주류업계

조회 수 1355 추천 수 0 2018.06.14 17:19:28

7월부터 유럽연합(EU)산 맥주 무관세 수입 
값싼 수입맥주에 업계, 경쟁력 약화 우려 
탁주 제조기법도 법으로 강제, 다양성 훼손 
“종량제로 주세법 바꾸는 등 규제 완화해야”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강신우 기자] “미국에 이어 7월부터는 유럽연합(EU)산 맥주에도 무관세가 적용되면서 국산 맥주는 설 자리가 없게 됐다.” 

“전통주라고 불리는 ‘탁주’를 요즘 트렌드에 맞게 향 첨가라도 하면 막걸리 취급을 받지 못한다.”

주류업계가 ‘낡은 주세법’으로 속앓이를 하고 있다. 업계나 시장의 현실에 뒤떨어진 제도 탓에 사면초가 상황에 직면했다는 이야기다. 무관세 수입 맥주로 국산 맥주는 가격 경쟁력에서 밀렸고, 막걸리 등 전통주는 제조까지 법으로 강제해 젊은 층의 입맛을 사로잡는 제품을 개발, 제조하는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밀려드는 수입맥주…“종량제로 주세법 바꿔야” 

13일 관세청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맥주 수입량은 33만1211톤(t)으로 전년(22만508톤)에 비해 50%가량 늘었다. 연도별로 보면 2013년 9만5210톤, 2014년 11만9500톤, 2015년 17만919톤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다양한 맛과 저렴한 가격으로 혼술·홈술족을 겨냥하며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에서는 이미 수입맥주 판매량이 국산맥주를 넘어섰다. 



스페인의 필스너 계열 유사맥주 버지미스터. 세븐일레븐은 최근 버지미스터 수입맥주 4캔을 5000원에 선보였다. (사진=세븐일레븐)


국산과 수입산 맥주의 가격 차이는 세금을 어디에 붙이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이를테면 국산 맥주는 제조원가와 판매관리비, 이윤 등을 모두 붙인 순매가에 제조원가의 72%와 주세의 30%에 해당하는 교육세를 매긴다. 반면 수입맥주는 이윤 등을 제외한 공장출고가와 운임비 등을 더한 수입 신고가에 같은 세율을 부과한다. 다만 수입 신고가는 말 그대로 해당 업체에서 부르는 게 값이기 때문에 싸게 매길수록 세금도 덜 낼 수 있게 된다. 이 같은 현상은 현행 주세법이 가격에 따라 세금이 부과되는 종가제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  

결국 재료비나 판관비 등이 훤히 드러나는 국산 맥주는 가격경쟁력에서 수입 맥주에 밀릴 수밖에 없다. 이는 국산 수제맥주라고 해서 다르지 않다. 주세법 개정으로 지난 4월부터 양조장만 있으면 수제맥주를 만들어 유통채널에 납품할 수 있도록 제조업 시설 기준이 완화됐지만 수입 맥주에 역 차별당하는 상황이 됐다. 문혁기 제주맥주 대표는 “(주세법과 관련해) 수입맥주에 유리한 주세구조는 굉장히 아쉬운 부분이다. 주세법은 종가제인데 (알코올 도수나 맥주 용량으로 세금을 매기는) 종량제로 바뀌어야 공평하다”고 말했다.  

다만 알코올 도수에 비례해 계산하는 종량세 도입 방안은 서민 술인 소주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 정부로선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향 첨가하면 ‘막걸리’ 아니다?…“다양성 훼손” 

전통주 업체에서도 볼멘소리가 나온다. 제조기법마저 너무 일괄적으로 강제하는 것 아니냐는 것. 이를테면 국순당은 바나나 맛 막걸리를 내놓고도 제품명에 ‘막걸리’를 붙이지 못했다. 바나나 향을 첨가했기 때문인데 주세법상 탁주에는 농산물 원액만을 사용해 막걸리의 맛과 향을 내야 한다. 그러나 업체 측은 과일 맛을 내기 위해서는 농산물 원액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향을 첨가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한다.

국순당 쌀 바나나.(사진=국순당)


다른 기법을 쓰면 탁주가 아닌 ‘기타주류’로 분류된다. 이렇게 되면 주세는 기존 5%에서 30%로 뛰고 기존의 거래처인 특정주류도매업자가 이를 받아 팔수도 없다. 종합주류도매업자로 판로가 바뀐다. 세금은 더 내고 기존 유통망마저 잃어버리는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막걸리도 트렌드에 맞게 다양한 맛을 내야 내수시장이 활성화하고 세계화도 할 수 있는데 기존 제조기법만을 법으로 강제하다 보니 생산업체들도 신제품 개발을 꺼리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 주류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라도 현행 주세법 개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강신우기자

원문보기: http://www.edaily.co.kr/news/news_detail.asp?newsId=01302166619241720&mediaCodeNo=257&OutLnkChk=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웰빙식초 ~ 이제 내가 대세 ~!

최근 조미료 시장에서 식초가 소금을 제치고 판매량 2위(2013년 6월 롯데마트 조미료 상품군 매출 기준, 1위는 설탕)에 올랐다. 식초가 소금보다 많이 팔린 것은 이번이 처음. 소금은 다량 섭취할 경우 비만, 고혈압 등 성인병의 원인이 된다고 지목받는 데 비...

  • 누룩
  • 2013-12-11
  • 조회 수 1618

새롭게 나오는 하우스 막걸리, 어떤 술이 나올까

새롭게 나오는 하우스 막걸리, 어떤 술이 나올까 조선닷컴 주류문화 칼럼니스트 명욱 mw0422@chosun.com 입력 : 2016.01.07 09:00 작년 말, 주류업계에서는 특별한 시행령이 발포되었다. 소규모 주류제조 면허대상에...

  • 누룩
  • 2016-01-08
  • 조회 수 1615

[웰빙제품] 국내산 생블루베리 100%로 만든 와인 식초

블루베리는 ‘보랏빛 기적’이라고 불린다. 세계 10대 슈퍼푸드로 선정될 만큼 건강효과가 뛰어나서다. 블루베리에 함유된 안토시아닌 성분은 대표적인 항산화·항암 물질이다. 노화를 방지하고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며, 치매·성인병 예방과 시력보호에 효...

  • 누룩
  • 2013-12-24
  • 조회 수 1615

지금, 초여름에 즐기는 막걸리와 전통주 문화

5월은 무더운 여름이 본격적으로 채비를 갖추는 시기이다. 남쪽 지방은 30도를 웃도는 한여름 날씨를 기록하며, 따뜻한 음료 대신 차갑고 시원한 음료를 찾기 시작하는 때이다. 특히 늦은 봄에서 여름까지는 이러한 날씨 때문에 주류관련 매출이 활발한 때인데...

  • 누룩
  • 2014-05-28
  • 조회 수 1606

막걸리’ 전도사 된 존 프랭클 교수 “와인처럼 막걸리도 몇 년산 ‘막걸리’로 만들어요”

막걸리’ 전도사 된 존 프랭클 교수 “와인처럼 막걸리도 몇 년산 ‘막걸리’로 만들어요” 입력 : 2016-04-11 14:10 | 수정 : 2016-04-11 14:10 “한국 전통주의 가장 큰 매력요? 당연히 맛이죠. 맛이 없으면 제가 여기 있지도 않겠죠.” ...

  • 누룩
  • 2016-04-11
  • 조회 수 1606

국민일보 청년층서 장년층까지 맞춤형 ‘귀농 성공 노하우’ 알려준다

국민일보, 23일부터 3일간 개최 ‘박람회’ 어떻게 진행되나 제2의 인생을 꿈꾸는 장년층과 새 시작을 준비하는 청년층 모두에게 기회가 될 농어촌 박람회가 개최된다. 귀농·귀어 생활을 직·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부스가 마련되고 창업지원 교육 등 다양한 ...

  • 누룩
  • 2018-03-22
  • 조회 수 1603

아시아투데이 신세계百, ‘우리술방’ 혼술족 겨냥 한컵 분량 전통주 출시

5일 신세계백화점 본점 지하 1층 전통주 전문매장 ‘우리술방’에서 모델들이 한잔 용량(187ml)으로 개별 포장한 전통주를 소개하고 있다.혼술족이 늘면서 주류 용량이 점점 작아지고 있다. 급기야 한잔 용량의 전통주도 나왔다. 신세계백화점은 전통주 매장인 ‘...

  • 누룩
  • 2018-09-13
  • 조회 수 1601

[대한금융신문] [응답하라 우리술 211] 공동체 정신 지향하는 신생 양조장 ‘과천도가’ file

김승호 편집위원승인 2021.07.30 17:20 남태령 옛길에 담긴 스토리텔링 담아 지역 술로 승부수 걸어 ‘관악산생막걸리’와 ‘과천미주’ 출시, 창업고객도 활발히 모집 서울 사당에서 과천으로 넘어가는 고개의 이름은 남태령이다. 삼남지방으로 넘어가는 ...

  • 누룩
  • 2021-08-11
  • 조회 수 1598

[경인일보] [술을 빚다, 흥에 취하다: 우리동네 술도가를 찾아서·(2)]'과거와 현대 잇는 술도가' 용인 (주)술샘 file

전통주에 빠진 청춘…'세련되고 힙하게' 새 이미지 빚어내다 박승용·전상천 기자발행일 2021-04-20 제11면 젊은 직원들 손으로 생산하는 제품·디자인 '고루하다' 선입견 지워 대통령상 '미르'·다이어트술 '이화酒' 등 '인기' 매년 매출 2...

  • 누룩
  • 2021-04-20
  • 조회 수 1597

술의 역사는 우리의 역사가 된다, 전북 완주에 있는 대한민국 술 테마박물관

술의 역사는 우리의 역사가 된다, 전북 완주에 있는 대한민국 술 테마박물관 조선닷컴 주류문화 칼럼니스트 명욱 입력 : 2016.08.11 08:00 전주를 품은 완주이야기 서울에서 경부, 논산 천안, 그리고 호남고속도로로 달리기를 약 2시간...

  • 누룩
  • 2016-08-11
  • 조회 수 1594

주류 고시 개정, '경품 한도 폐지' 현행 유지…업계 "아쉬움"

주류 고시 개정, '경품 한도 폐지' 현행 유지…업계 "아쉬움"발행일 : 2017.06.21 <사진은 해당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우체국, 농협 등 공적 성격이 있는 기관 홈페이지에서만 가능했던 전통주 통신판매가 일반 온라인쇼핑몰로 확대되고 대형매장용·가...

  • 누룩
  • 2017-06-22
  • 조회 수 1594

혀끝 휘감는 이 향…내 고향 전통주 아시나요?

혀끝 휘감는 이 향…내 고향 전통주 아시나요? 등록 :2016-09-14 15:17수정 :2016-09-14 18:03 소주, 막걸리가 우리 대표술? 아니 아니~, 외국인도 반한 기품있는 전통주도 있어요 삼해주, 면천두견주, 호산춘, 송화백일주, 오메기술 우리도 잘 모랐던 ...

  • 누룩
  • 2016-09-22
  • 조회 수 1593

[도시와 농촌을 잇는 유쾌한 여행 '해피버스데이'] 함께해서 행복한 백석올미마을

"같이의 가치를 실현하는 백석올미영농조합." 지난 7월 30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6차산업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충남 당진 백석올미영농조합이 대상을 받았을 때 사람들은 한마음 한뜻으로 축하의 박수를 보냈다. 평균연령이 75세인 시골할머니들이 ...

  • 누룩
  • 2014-09-11
  • 조회 수 1585

[중앙일보] 이래도 막걸리가 재활용 적? 곰표 막걸리의 '반전 포장법' file

입력 2021.06.28 11:30 수정 2021.06.28 17:49 한강주조가 만든 표문막걸리와 재활용이 잘되는 소재를 활용한 포장재. 한강주조 ‘MZ세대'(90년대생 밀레니얼 세대+2000년대생 Z세대) 사이에서 '힙'한 막걸리가 있다. 지난 4월 양조장 한강주조가 곰표와 협...

  • 누룩
  • 2021-07-05
  • 조회 수 1584

[CCTV NEWS] 전통주, 언택트 시대에 맞춘 ‘우리술 지원센터’ 오픈 file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서 분야별 전문가의 온라인 컨설팅으로 진행되는 ‘우리술 지원센터’를 지난 2일 오픈했다. 우리술 지원센터는 전통주 양조장 운영 전반의 문의사항을 해결할 수 있으며 올해 말까지 운영될 예정이다. 본 컨설팅...

  • 누룩
  • 2020-07-16
  • 조회 수 158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