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더블 클릭] 소주의 변신

조회 수 1349 추천 수 0 2014.02.21 10:55:26

 

 

 

 

우리 민족은 정말 술을 좋아할까.

동이족이 건국했다는 학설에 힘이 실리는 중국 상(商)나라의 망국 원인이 서주(西周)시대 제작된 청동솥에 새겨져 있다.

'상나라는 제후와 백관이 술에 절어 패망하고 말았다.' 굳이 멀리 갈 것도 없다.

기록의 보고인 조선왕조실록에는 소주(燒酒)란 단어가 176번 나온다.

대부분 좋지 않은 내용의 첫 번째가 태조의 장남인 이방우의 사망 기사. '술을 좋아해 날마다 소주를 과음하더니 병이 나 죽었다.'

△소주가 전래된 시기는 13세기 중후반. 수메르인들이 기원전 3,000년께 처음 만든 증류주가 이슬람을 침공했던 몽골군에 의해

고려에 전파됐다. 일본 원정을 위한 몽골군의 주요 병참기지였던 개성과 안동 지역이 전통소주 제조의 명가로 남아 있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개성과 영호남 일부 지역에서 소주를 지칭하는 '아라주'나 '아라기'라는 이름도 증류주를 뜻하는 아랍어 '아락'이 몽골어

'아라키'를 거쳐 현지화한 것이라고 한다.

 

△'물처럼 맑으며 맛은 진하고 강렬한 소주'(본초강목)는 고려인들의 취향을 사로잡아 급속도로 퍼졌다. 고려 말 경상도원수 김진은

소주에 빠져 왜구의 침입에 대응하지 못한 죄로 평민 신분으로 떨어졌다. 한국인의 소주 사랑은 패가망신의 기억과 세월마저 뛰어넘

는다. 술 회사들은 '비교가 잘못됐다'며 반박하지만 며칠 전에는 한국인의 주류소비가 세계 1위라는 기사가 지면을 탔다.

소주로 치면 한 사람이 연간 123병을 마신 셈이다.


△조상들과 달라진 점이 있다면 소주의 알코올도수다. 애초에 45도로 이 땅에 들어온 소주는 쌀절약 차원에서 희석식으로 통일된

1965년부터 23도짜리 '참이슬'이 선보인 1998년까지 25도를 유지했다. 도수는 계속 떨어져 18도짜리가 주력제품으로 나왔다.

과연 어디까지 내려갈까. 개발연대에 소주에 물을 타 판매해 심심치 않게 감옥에 가던 '가짜소주' 범죄자들의 목표도수가 20도였다.

낮아진 도수로 알코올 소비가 더 늘어날지 모르겠다. 가끔 '크아~'의 추억이 어린 예전 소주가 그립다.

 /권홍우 논설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