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자(五味子)

조회 수 1922 추천 수 0 2005.12.31 08:49:16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이 시며[酸](약간 쓰다[苦]고도 한다) 독이 없다. 허로(虛勞)로 몹시 여윈 것을 보하며 눈을 밝게 하고 신[水藏]을 덥히며 양기를 세게 한다. 남자의 정을 돕고 음경을 커지게 한다. 소갈증을 멈추고 번열을 없애며 술독을 풀고 기침이 나면서 숨이 찬 것을 치료한다.

○ 깊은 산 속에서 자란다. 줄기는 붉은 빛이고 덩굴로 자라는데 잎은 살구나무잎(杏葉)과 비슷하다. 꽃은 노랗고 흰빛이며 열매는 완두콩만한데 줄기 끝에 무더기로 열린다. 선 것[生]은 푸르고 익으면[熟] 분홍자줏빛이며 맛이 단것이 좋다. 음력 8월에 열매를 따서 볕에 말린다.

○ 껍질과 살은 달고 시며 씨는 맵고 쓰면서 모두 짠 맛이 있다. 그래서 5가지 맛이 다 나기 때문에 오미자라고 한다. 약으로는 생것을 볕에 말려 쓰고 씨를 버리지 않는다[본초].

○ 손진인(孫眞人)이 “여름철에 오미자를 늘 먹어 5장의 기운을 보해야 한다”고 한 것은 위로는[上] 폐를 보하고 아래로는 신을 보하기 때문이다. 수태음, 족소음경에 들어간다[탕액].

○ 우리나라에서는 함경도와 평안도에서 나는 것이 제일 좋다[속방].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227
105 부자(附子) [1] 2005-11-16 2313
104 약을 말리는 방법[乾藥法] [1] 2005-11-19 2133
103 복분자(覆盆子, 나무딸기) 2005-12-31 2255
» 오미자(五味子) 2005-12-31 1922
101 오가피(五加皮, 오갈피) 2005-12-31 2204
100 계피(桂皮) 2005-12-31 1960
99 귤피(橘皮, 귤껍질) 2005-12-31 2386
98 구기자(枸杞子) 2006-01-12 2172
97 저엽(楮葉, 닥나무잎) 2006-01-21 2306
96 마엽(麻葉, 삼잎) 2006-01-21 1836
95 적소두엽(赤小豆葉, 팥잎) [1] 2006-01-21 2228
94 교맥엽(蕎麥葉, 메밀잎) [1] 2006-01-25 2201
93 하엽(荷葉, 연잎) [1] 2006-01-25 2216
92 청귤엽(靑橘葉, 귤잎) 2006-01-25 2320
91 조엽(棗葉, 대추나무잎) 2006-01-25 2863
90 앵도엽(櫻桃葉, 앵두나무잎) 2006-01-25 2205
89 매엽(梅葉, 매화나무잎) 2006-01-25 2337
88 모과지엽(木瓜枝葉, 모과나무의 가지와 잎) 2006-01-25 2170
87 감국화(甘菊花, 단국화) [1] 2006-02-04 2289
86 도엽(桃葉, 복숭아나무잎) 2006-02-11 219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