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백주(三白酒)

조회 수 2938 추천 수 0 2011.01.29 13:25:28
삼백주(三白酒)
남자의 양기를 돕는 데 매우 좋다고 기록된 술로 세가지의 약재 "백출, 백복령, 백하수오"가 들어간다.
 
 
삼백주(三白酒)는 술의 일종(一種)으로 백출(白朮), 백복령(白茯 ), 백하수오(白何首烏)의 세 가지를 같은 분량(分量)으로 술항아리에 담가 두었다가 21일 만에 건져내고 난 술을 말하며, 양기를 돕는 데 매우 좋다고 기록되어 있다.

현재 삼백주는 우쩐의 꿍썽자오팡(公生糟坊)에서 양조한 삼백주가 있습니다.

제조 방법은 발효주를 증류한 40도 이상의 증류주에 약재를 넣어 만든 혼성주 입니다. 사진과 같이 옹기에 오랜 숙성 기간을 거친 술입니다. 제조 방법은 "자유게시판"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친구중에 한명이 이 술을 한 모금 먹고 "불끈불끈" 했다고 합니다.(확인하지 못했습니다.^^) 옛 문헌에 기록된 바에도 삼백주는 양기를 돕는 데 매우 좋다고 기록되어 있으니 헛 말은 아닌 것 같습니다.

위에 있는 사진은 중국의 우쩐은 퉁썅시(棟鄕市)의 북부에 있고 시내와 17km 떨어져 있는 우쩐의 꿍썽자오팡(公生糟坊)에서 양조한 삼백주를 숙성시키는 모습입니다.


삼백주에 들어가는 약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목 : 백출(白朮, 흰삽주)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이 쓰며[苦] 달고[甘] 독이 없다. 비위를 든든하게 하고 설사를 멎게 하고 습을 없앤다. 또한 소화를 시키고 땀을 걷우며 명치 밑이 몹시 그득한 것과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멎지 않은 것을 치료한다. 허리와 배꼽 사이의 혈을 잘 돌게 하며 위(胃)가 허랭(虛冷)하여 생긴 이질을 낫게 한다.

○ 산에서 자라는데 어느 곳에나 다 있다. 그 뿌리의 겉모양이 거칠며 둥근 마디로 되어 있다. 빛은 연한 갈색이다. 맛은 맵고 쓰나[辛苦] 심하지 않다. 일명 걸력가(乞力伽)라고 하는 것이 즉 흰삽주이다[본초].

○ 『신농본초경』에는 삽주와 흰삽주의 이름이 없었는데 근래 와서 흰삽주를 많이 쓴다. 흰삽주는 피부 속에 있는 풍을 없애며 땀을 걷우고 트직한 것을 없애며 위(胃)를 보하고 중초를 고르게 한다. 허리와 배꼽 사

이의 혈을 잘 돌게 하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위[上]로는 피모(皮毛), 중간으로는 심과 위, 아래로는 허리와 배꼽의 병을 치료한다. 기병(氣病)이 있으면 기를 치료하고 혈병(血病)이 있으면 혈을 치료한다[탕액].

○ 수태양과 수소음, 족양명과 족태음의 4경에 들어간다. 비(脾)를 완화시키며[緩] 진액을 생기게 하고 습을 말리며 갈증을 멎게 한다. 쌀 씻은 물에 한나절 담갔다가 노두를 버리고 빛이 희고 기름기가 없는 것을 쓴다[입문].

○ 위화(胃火)를 사하는 데는 생것으로 쓰고 위허를 보할 때에는 누른 흙과 같이 닦아 쓴다[입문].


제목 : 하수오(何首烏) - 백하수오

강원도에서는 은조롱이라고 하고 황해도에서는 새박뿌리라 하는데 성질은 평(平)하고 따뜻하며[溫] 맛은 쓰고 떫고[苦澁](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없다. 나력, 옹종과 5가지 치질을 낫게 하며 여러 해 된 허로로 여윈 것, 담벽, 풍허(風虛)로 몸이 몹시 상한 것을 낫게 한다. 부인이 몸푼 뒤에 생긴 여러 가지 병과 적백대하를 멎게 한다. 혈기를 보하며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고 정수(精髓)를 보충하며 머리털을 검게 한다. 또 얼굴빛을 좋게 하고 늙지 않게 하며 오래 살게 한다.

○ 원래 이름은 야교등(夜交藤)인데 하수오(何首烏)라는 사람이 먹고 큰 효과를 본 데서 하수오라는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 이 사람은 본래 몸이 약하였고 늙어서는 아내도 자식들도 없었다. 하루는 취해서 밭에 누워 있었는데 한 덩굴에 2줄기가 따로 난 풀의 잎과 줄기가 서너번 서로 감겼다 풀렸다 하는 것이 보였다. 마음에 이상하게 생각되어 마침내 그 뿌리를 캐어 햇볕에 말려 짓찧은 다음 가루내어 술에 타서 7일 동안 먹었더니 그리운 사람이 있었고 백일이 지나서는 오랜 병들이 다 나았다. 10년 후에는 여러 명의 아들을 낳았고 130살이나 살았다.

○ 덩굴은 자줏빛이고 꽃은 황백색이며 잎은 마와 비슷한데 광택은 없으며 반드시 맞대서 난다. 뿌리가 주먹만하여 붉은 빛, 흰빛의 2가지 종류가 있는데 붉은 것은 수컷이고 흰 것은 암컷이다. 뿌리의 생김새가 아름다운 산처럼 생긴 것이 아주 좋은 것이다.

○ 늦은 봄, 초가을에 날씨가 맑은 날에 암컷, 수컷을 다 캐어 참대칼이나 구리칼로 겉껍질을 긁어 버리고 얇게 썰어 쪄서 햇볕에 말린다. 일명 교등(交藤), 야합(夜合), 구진등(九眞藤)이라고도 하는데 이 약을 다룰 때는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쇠를 대지 말아야 한다. 파, 마늘, 무, 돼지피, 양의 피, 비늘없는 생선을 먹지 말아야 한다. 법제하여 약을 쓸 때는 반드시 붉은 빛이 나는 것과 흰 빛이 나는 것을 합하여 먹어야 효과가 있다[본초].

○ 쌀 씻은 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조각나게 썰어서 햇볕에 말려 짓찧어 부스러뜨린다. 알약을 지으려면 검정콩(흑두) 달인 물에 버무려 찐 다음 햇볕에 말려서 쓴다[입문].


제목 : 복령(茯 , 솔풍령) - 백복령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달고[甘] 독이 없다. 입맛을 돋구고 구역을 멈추며 마음과 정신을 안정하게 한다. 폐위(肺 )로 담이 막힌 것을 낫게 하며 신(腎)에 있는 사기를 몰아내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수종(水腫)과 임병(淋病)으로 오줌이 막힌 것을 잘 나가게 하며 소갈을 멈추고 건망증[健忘]을 낫게 한다.

○ 『선경(仙經)』에서는 음식 대신 먹어도 좋다고 하였다. 이 약은 정신을 맑게 하고 혼백을 안정시키며 9규를 잘 통하게 하며 살을 찌게 하고 대소장을 좋게 하며 가슴을 시원하게 한다. 또 영기(榮氣)를 고르게 하고 위(胃)를 좋게 하므로[理] 제일 좋은 약이며 곡식을 안 먹어도 배고프지 않다고 하였다.

○ 산 속의 곳곳에 있다. 송진이 땅에 들어가 천년 지나서 솔풍령이 된다. 소나무뿌리를 싸고 있으면서 가볍고 퍼석퍼석한 것은 복신(茯神)이다. 음력 2월과 8월에 캐서 다 그늘에서 말린다. 크기가 3-4되가 되며 껍질이 검고 가는 주름이 있으며 속은 굳고 희며 생김새가 새, 짐승, 거북, 자라 같은 것이 좋다[본초].

○ 흰 것, 벌건 것 등 두 종류가 있는데 흰 것은 수태음경, 족태양경, 족소양경에 들어가고 벌건 것은 족태음경, 수태양경, 소음경에 들어간다. 또한 빛이 흰 것은 신수[壬癸]로 들어가고 빛이 벌건 것은 심화[丙丁]로 들어간다[탕액].

○ 빛이 흰 것은 보하고 빛이 벌건 것은 사한다[본초].

○ 쓸 때에 껍질을 벗기고 가루내서 수비(水飛)하여 물 위에 뜨는 잡질을 버리고 햇볕에 말려 쓴다. 이렇게 해서 써야 눈이 상하지 않는다. 음이 허한 사람은 쓰지 말아야 한다[입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배꽃 막걸리 [1]

막걸리는 만들어진 술에 물을 타서 알코올 도수를 낮춰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한국의 전통건강음료라 할 수 있다. 주세법에는 알코올분 1% 이상이면 "술"로 간주 하지만, 막걸리는 술이라기 보다 엄연히 우리 조상들이 즐겨 마시던 ...

  • 2011-01-29
  • 조회 수 5425

"우리밀 누룩"

"우리밀 누룩" "우리밀을 빻아 디딘 누룩" 배성운(45)님께서 디딘 누룩과 제조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누룩이 잘 되었다는 연락을 받고 의정부에서 냉면집(배가네면옥)을 운영하시는 배성운(45)님을 찾아 뵈었다. 단번에 봐도 ...

  • 2011-01-29
  • 조회 수 5194

옥수수술

"옥수수술 고수 "박승현"님의 술빚기를 공개" 이제 집에서도 손쉽게 옥수수술을 만들어 마신다. 이번주에는 옥수수술 고수 "박승현"님의 옥수수가루를 이용해서 술 빚는 방법을 올립니다.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집에서 천천히...

  • 2011-01-29
  • 조회 수 4668

단호박술 [2]

단호박술 여성들이 아주 좋아하는 '단호박술' "맑은 술"과 "달콤한 막걸리"를 동시에 얻을 수 있습니다. 호박술 드시고 대박 터지세요.~~^^ 본 단호박술은 저희 어머니께서 빚은 술입니다. 제가 꼭 빚어야 할때 못 빚으면 어머...

  • 2011-01-29
  • 조회 수 4612

삼양주 "호산춘" [1]

삼양주 "호산춘" 조선의 명주인 삼양주 "호산춘"을 일반가정에서 쉽게 빚을 수 있도록 양을 줄여 올립니다. 설날에 마실 술,, 지금 시작하세요. 밑술 빚기 1. 멥쌀 1되(800g)를 깨끗이 씻어 물에 3시간 담갔다가 곱게 가루낸다....

  • 2011-01-29
  • 조회 수 429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