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태초에 있었던 술… 막걸리와 탁주, 동동주 뭐가 다르지?

조회 수 1976 추천 수 0 2013.10.21 15:39:51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최고의 스테디셀러이자 베스트셀러인 성경에는 태초에 무엇이 가장 먼저 생겼는지 언급하는 내용이 있다. 즉 천지가 창조된 후에 바로 만들어진 것, 바로 빛이다. 이 빛은 뜬금없긴 하지만 한때 화제가 되었던 마야의 2012년 지구 멸망에 관한 내용에도 언급되어 있는데, 그곳에서도 태초에 빛이 있었다고 한다. 즉 빛은 모든 것은 시작이란 뜻이다. 그렇다면 이렇게 빛과 같은 역할을 하는 태초의 술은 과연 무엇일까? 술의 모태가 됨과 동시에 가장 원초적인 술, 우리의 주변에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막걸리이다. 오늘은 태초에 있었던 술, 막걸리와 탁주 그리고 동동주로 떠나는 막걸리 여행이다.

와인도, 맥주도, 소주도, 위스키도 세상의 모든 술은 탁한 술, 즉 탁주로 시작한다.
타 주류 전문가가 보면 납득하지 않을 수 있지만, 세상의 모든 술은 탁한 술, 즉 탁주로 시작한다.와인도 맥주도 소주도 맑게 거르지 않는 이상 탁할 수 밖에 없고, 그것을 그대로 마신다면 바로 지금의 막걸리와 같은 영양분 그대로를 가진 원초적인 술이 된다. 와인 역시 살균을 하지 않는다면, 탁한 색을 가진 생 와인이 된다. 다만 이렇게 있는 그대로 마시고 만들고 살균하지 않는 곡주를 마시는 문화와 산업을 발전시킨 곳은 대한민국이 유일하다.

탁주와 막걸리의 차이

탁주라는 한자, 흐릴탁(濁)에 술주(酒)만 본다면, 세상에 모든 탁한 술은 탁주의 범주에 속하게 된다. 일본에서도 탁주라는 한자를 쓰는 니고리슈(濁酒)를 보면 탁주라는 말을 꼭 우리나라만 쓰고 있지 않다는 좋은 예가 될 수 있다. 즉 한자만 놓고 보면 좀 더 포괄적인 뜻을 가진 술이 되며, 막걸리는 이러한 탁주의 범주 안에 들어가는 순수한 한글로 ‘이제 막 거른 신선한 음료’라는 어원의 대한민국 고유의 탁주라고 할 수 있겠다.


	남도탁주의 정고집 동동주
남도탁주의 정고집 동동주. 밥알이 떠 있는 모습이 마치 식혜 같다
그렇다면 동동주는 무엇인가?

많은 사람이 동동주는 막걸리 위에 쌀알이 떠 있는 모습으로 이해를 하고 있다. 이 말에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기본적으로 쌀알이 뜨기 위해서는 술 발효(당분에서 알코올로 변화하는 과정)가 아직 끝나지 말아야 한다. 1차적인 알코올 발효가 어느 정도 끝나면 쌀알은 모두 가라앉기 때문이다. 즉 쌀알로 술을 빚는 것은 맞지만, 술 발효가 끝나지 않은 미숙성주라는 표현을 쓸 수 있다. 문헌에는 마치 개미가 떠 있는 모습이라 ‘부의주(浮蟻酒)’라는 표현을 했으며, 이 부의주는 알코올 발효를 1번만 진행하는 단양주(單釀酒)라고 알려져 있다. 동시에 막걸리와 같이 거칠게 걸렀다기보단 보다 청주에 가까운 맑은 모습이 보다 문헌에 가까운 동동주의 모습이다.

주세법상은 막걸리, 동동주란 말은 없이 탁주로 통일 

앞에서 탁주란 보다 포괄적인 탁한 술을 뜻한다고 했지만, 실질적인 법률로 본다면 대한민국만이 유일하게 탁주란 주세법상의 항목을 가지고 있다. ‘니고리슈’ 및 ‘도부로크’라는 탁주를 마시는 일본은 여과도에 따라 청주, 및 잡주로 분류된 것이 사실이다. 특히 살아있는 생주의 경우, 일본에서는 거의 죽어있던 시장이 한국의 생 막걸리 문화가 들어감으로써 다시 부활 했다. 덕분에 한국에서 생 사케란 새로운 주류가 이자까야(일본식 선술집)에서 판매되고 있다.

막걸리의 가능성을 본 것은 바로 우리 국민, 하지만 가치에 대한 인식은 부족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막걸리 및 탁주라는 산업을 여기까지 이끌어 온 것은 대한민국밖에 없다. 최근에 세계적인 주류 트랜드를 보면 결국은 웰빙에 저도주인데, 이러한 특성이 있는 막걸리 문화를 끌고 온 것을 볼 때 어쩌면 우리는 의도하지 않게 발효주인 막걸리에 대한 가능성을 미리 본 듯 하다. 김치나 된장처럼 가까워 친숙하기에 아직 그 가치에 대한 인식은 부족할지언정 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맥주와 사케 수요 증가 인기 이자카야 브랜드 함박웃음

창업은 아이템 자체 경쟁력도 중요하지만 시기도 잘 맞춰야 한다. 일례로 아이스크림전문점을 겨울에 창업하거나, 뜨거운 국물요리를 내세운 음식점을 여름에 창업하면 좋지 못한 결과를 얻게 된다. 요즘과 같은 여름철에는 시원한 주류를 판매하고, 어울리는...

  • 누룩
  • 2014-06-04
  • 조회 수 1231

막걸리 2ℓ대용량도 판다.

주류수출면허 등 규제완화 국세청이 불합리한 규제 철폐로 주류 수출 지원에 나섰다. 또 그동안 2ℓ 미만으로 제한된 막걸리 용량 규제도 주세 관리를 철저하게 할 수 있는 납세증지 사용을 조건으로 해제하기로 했다. 9일 국세청과 주류업계에 따르면 국세...

  • 누룩
  • 2014-06-10
  • 조회 수 1018

[무더위를 날려酒오] 맥주·양주·소주·와인…당신의 酒종목은?

대목 맞은 주류업계 월드컵·나들이객 증가로 '여름철 장사' 자신감 후끈 소비자 '행복한 고민' 거품 살아있는 맥주, 목넘김 강렬한 양주 독한 술서 '순둥이' 된 소주, 중저가 승부수 띄운 와인 여름철은 주류업계의 최대 대목이다. 여름철 나들이객이 늘...

  • 누룩
  • 2014-06-12
  • 조회 수 2030

이화선 대표 "34만종 전통주 복원, 농촌경제 살릴것"

홍보전문가서 전통주 연구가 변신 이화선 대표 "한국의 전통 가양주(집에서 빚는 술)가 모두 34만 종이 넘는다는 걸 아세요? 변화무쌍한 맛과 숙취 없는 깔끔함이 전통주의 경쟁력이죠." 술과는 어울리지 않는 단아한 분위기의 전통주 연구가 ...

  • 누룩
  • 2014-06-16
  • 조회 수 2285

딸꾹질 때도 한 스푼... 식초 활용법 7가지

옷, 과일 씻을 때도 좋아 식초는 효능이 다양한 식품이다. 또한 값이 싸고 널리 사용된다. 독소가 없으며 오래 보관해도 효능을 그대로 유지한다. 많은 나라에서 사과 식초는 민간 치료요법에 사용되어 오고 있다. 건강 생활 정보 사이트 ‘굿하우스키핑닷컴(g...

  • 누룩
  • 2014-06-18
  • 조회 수 1078

김장훈 서경덕, 막걸리 유랑단 결성…전통주 살리기 나서

▲ 김장훈과 서경덕 교수가 의기투합해 막걸리 홍보에 나섰다. 가수 김장훈과 성신여대 서경덕 교수가 막걸리 홍보에 나섰다. 지난 4월 배우 송일국과 함께 시작한 '막걸리 유랑단' 행사는 유명 전통시장을 방문해 막걸리와 전통안주를 시장 방문객들과 함께 나...

  • 누룩
  • 2014-06-20
  • 조회 수 1123

일주일에 한 번, 와인 마시면 노안 늦출 수 있어

가끔 와인을 마시는 것이 노안이 오는 것을 늦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위스콘신 대학 연구팀은 43~84세 성인 5,000명을 대상으로 26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흡연, 음주, 운동 등 시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를 고려해...

  • 누룩
  • 2014-06-23
  • 조회 수 1042

'우리 술 막걸리'

강양수 (경남도농업기술원 기술지원국장) 우리 술 막걸리는 사전적 의미로는 곡류(찹쌀, 멥쌀, 보리, 밀)를 쪄서 누룩과 물을 섞어 발효시킨 한국 고유의 술이라고 표시하고 있지만 역사와 애환이 담긴 문화 상품적 가치가 큰 우리 민족의 자산이다. ‘막’은 ...

  • 누룩
  • 2014-06-25
  • 조회 수 1011

막걸리에 소믈리에가 왜 필요할까?

명욱의 막걸리 칼럼지난 2일 일본 마이니치 신문에 한국인의 입장에서 조금 독특한 기사가 하나 나왔다. 일본의 유명 온천 300곳을 소개하면서, 소개한 사람을 단순히 온천 전문가가 아닌 ‘온천 소믈리에’란 표현을 사용한 것이다. 해당 온천 소믈리에는 대학...

  • 누룩
  • 2014-06-27
  • 조회 수 1873

어머니 밥상과 식초 이야기

2014년 06월 10일 (화) 정효 7618700@kndaily.com ▲ 정효 셀프힐링센터 부산범천 관음사 주지 자연이 인간에게 선물한 숱한 먹거리 중에서도 장수와 건강을 동시에 지킬 수 있는 식품을 말하라고 하면 나는 주저없이 `식초`의 효능을 말하고 싶다.  식초는 ...

  • 누룩
  • 2014-06-30
  • 조회 수 1822

[경제학자의 우리 술 이야기]어떤 술이 우리 술일까?

--> 한국에서 ‘우리 술’이란 말은 조금 모호하다. 우리 농산물로 국내에서 만들어졌으면 우리 술일까? 국내산 포도로 만든 포도주를 우리 술이라고 부르기는 좀 뭐하다. 수입 농산물로 만든 국내산 맥주나 위스키는 더더욱 우리 술이라 부르기...

  • 누룩
  • 2014-07-02
  • 조회 수 1110

피아노와 막걸리가 만났을 때

▲ 윤중호(56.섹소폰)씨와 박애란(52.피아노)내외가 운영하는 막걸리집 안에서 손님들에게 추억의 멜로디를 선사하고 있다. 김얼기자장맛비가 주춤했던 3일 초저녁. 전주시 인후동 한 막걸리집에서 들려오는 아름다운 하모니가 동네를 울리고 있었다. 보슬비 ...

  • 누룩
  • 2014-07-04
  • 조회 수 1361

drink beauty - 술이 피부에 좋은 이유들

피부와 상극이라 여겨지는 술. 그러나 막걸리, 와인, 사케 등의 발효주에는 피부를 윤택하게 하는 비밀들이 숨겨져 있다. 애주가들의 귀를 솔깃하게 만드는, 술이 피부에 좋은 이유들. 연말연시에 구정까지 가족과 친지, 친구들이 모이는 자리에 빠지지 않는 ...

  • 누룩
  • 2014-07-07
  • 조회 수 1354

충남에 가면 사과와인도 있고 막걸리도 있고~

명욱의 막걸리 칼럼 대한민국 팔도 중에서 지형이 가장 낮은 곳이 있다. 해발 고도 1,000m 이상을 넘는 곳이 없으며 도 전체의 평균 고도 역시 100m를 넘지 않는다. 역사적으로는 고대의 마한, 백제의 수도가 있었고 고려 시대에는 경기도, 충북지역과 같이 묶...

  • 누룩
  • 2014-07-10
  • 조회 수 1821

"막걸리에서 맥주 맛을?"

(아시아뉴스통신=김아라 기자) 맥주맛 막걸리.(사진제공=경기도청) 경기도농업기술원(원장 임재욱)이 개발한 ‘맥주맛 막걸리’ 시제품이 나왔다. 맥주맛 막걸리는 농기원에서 건강과 기능면에서 우수성이 입증된 막걸리를 더욱 대중화하고 해외시...

  • 누룩
  • 2014-07-14
  • 조회 수 104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