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막걸리를 찾는 사람들>약으로 쓰이는 웰빙막걸리

조회 수 3164 추천 수 0 2013.07.30 14:55:02
막걸리가 발효되는 모습<사진: 주류문화칼럼니스트 명욱>

아주경제 김선국 기자=최근 막걸리가 항암, 소염, 비만억제 등에 효과가 좋은 것으로 밝혀졌다.

막걸리에 함유된 미생물에 의한 생리활성물질(항균물질)의 기능과 효능이 과학적으로 증명되고 있는 것이다. 술이라는 개념에서 벗어나 현대 사회에 필수로 떠오른 ‘웰빙’의 대표적 산물인 셈이다.

자연 발효 식품으로 영양성분이 많아 술이면서도 건강식품으로 불리는 막걸리는 물 80%, 알코올 3~9%, 단백질 2%, 탄수화물 0.8%, 지방 0.1% 그리고 나머지 10%는 식이섬유, 비타민 B, C, 유산균, 효모 등이 혼합돼 있다.
누룩방에서 발효되고 있는 전통 누룩의 모습

우리가 가장 많이 즐기는 생막걸리에는 효모와 유산균이 풍부하다.
효모는 단백질과 식이섬유소와 미네랄로 구성돼 있으며 영양 불균형 개선, 영양 공급원, 건강 증진 및 유지, 신진대사 기능 등을 포함한다.

또 생막걸리에는 소주나 와인에는 없는 유산균이 풍부하게 들어있다. 유산균의 숫자는 막걸리 제품마다 상이하지만 생막걸리 100㎖에 유산균이 1억~100억 마리가 존재한다. 막걸리를 마시면 정장작용(대장기능이 정상적으로 작용하는 것)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막걸리는 저 칼로리(kcal)여서 다이어트에도 효과적이라는 평이다.
술 100㎖를 기준으로 막걸리는 40~70kcal, 와인은 70~74kcal, 소주는 141kcal, 위스키 250kcal가 들어있다.

막걸리의 비만예방 효과도 밝혀지고 있다.
우리 몸은 영양공급이 과잉될 때 에너지를 신속히 저장하기 위해 지방세포 수가 증가하고 지방세포 내의 지방 축적이 활발해져 비만을 유도하게 된다.
막걸리에는 비만의 원인인 지방세포의 분화와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항비만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증을 완화시키는 소염효과도 존재한다.
와인에 많이 함유된 폴리페놀은 항염증 활성으로 유명하다. 막걸리에도 염증 매개체의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이 들어 있는 연구결과가 밝혀지고 있다.

특히 막걸리의 가라앉은 ‘하얀 고형분’은 항암효과에 좋은 ‘파네졸’이 다량 함유돼 있다. 이는 ‘비소화성식이섬유’로 포만감은 주지만 칼로리가 매우 낮고 장내 독소성분을 쉽게 배출 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을 한다. 또 피로물질제거 등 피로회복, 피부재생, 시력증진, 항암, 소염, 비만억제 효과 등에 좋은 물질이 다량 함유돼 있다.

◇막걸리 항암물질 와인·맥주의 25배
크리스탈 잔에 담긴 막걸리

막걸리에 항암물질 성분이 맥주나 와인보다 최대 25배나 많다는 연구결과도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식품연구원은 지난 2011년 4월14일 막걸리에서 항암물질인 파네졸(Farnesol) 성분을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고 밝힌 바 있다.

과실주의 중요한 향기성분 가운데 하나인 파네졸은 극 미량으로도 항암과 항종양 효과를 내는 성분이다.

식품연구원이 막걸리와 맥주, 포도주, 소주 등의 파네졸 함량을 비교한 결과, 막걸리의 파네졸 함량은 포도주나 맥주의 10~25배에 달하는 150~500ppb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ppb:10억분의 1)

특히 막걸리를 흔들어 마시면 파네졸 성분을 더 섭취할 수 있다 점도 흥미롭다.

하재호 식품연구원 박사는 “막걸리를 마실때 탁한 부분을 가라앉히고 마시는 경우와 흔들어서 마시는 경우를 비교 실험한 결과 막걸리의 혼탁한 부분에 파네졸이 더 많이 들어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막걸리는 물이 80% 정도이고 알코올이 3~9%로 특수성분의 추출 분석이 매우 까다롭다. 파네졸은 극소량 단위의 성분이라 주류산업이 발달한 일부 선진국만 분석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식품연구원은 나노입자가 도포된 자석을 이용해 파네졸을 추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통해 막걸리의 새로운 수요를 창출함은 물론, 고급막걸리를 생산할 수 있는 기초기술로도 활용할 방침이다.

◇생막걸리 유통기한 100일까지 연장
생막걸리의 유통기한은 10~30일로 다른 술에 비해 짧다.

막걸리는 발효 후 시중에 유통하는 과정에서 잔당이 존재하면 효모나 젖산균에 의한 후발효(주발효에 이어 이뤄지는 발효 과정)가 일어난다. 이때 효모에 의해 알코올과 탄산가스가 생성돼 품질의 변화가 생긴다. 젖산균에 의한 후발효는 산도를 증가시켜 막걸리를 산패시킨다.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한국식품연구원은 막걸리 유통기한을 최장 100일까지 연장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생막걸리를 제조할 때 발효하는 과정에서 곡물의 당화(효소 또는 산의 작용으로 녹말 등 무미한 다당류를 가수분해하여 감미가 있는 당으로 바꾸는 반응 및 조작)에 의해 생긴 당을 완전히 소진시키는‘완전발효법’으로 후발효를 억제했다. 또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이 뛰어난 천연식물 소재를 활용해 미생물의 활성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막걸리 보존성을 증진, 유통기한을 최장 100일까지 늘리게 됐다.

식품연구원은 산패로 인해 음용이 부적합한 막걸리로부터 분리한 산패 원인균 6종을 분리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공전에서 식용가능으로 분리된 식물약재 중 막걸리 제조에 부재료로 적합한 74종의 천연식물약재를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측정했다. 이를 통해 효과가 우수한 3종(진득찰, 여주, 자몽)의 천연식물소재를 선발, 막걸리 제조에 접목했다. 약처의 식품 유통기한 설정기준 및 유통기한 설정 실험 가이드라인에 따라 가속실험을 한 결과, 식품의 유통기한 산출프로그램을 통해 최장 100일까지 유통기한설정이 가능하다는 결과를 도출했다고 식품연구원은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짧은 유통기한으로 인한 업계의 불편을 일부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안병학 한국식품연구원 박사는 “앞으로 농림축산식품부의 ‘품질관리지원사업’과 연계해 제조업체별 발효공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완전발효조건을 설정하는 등 지원과 분석 기술 지도를 실시하여 막걸리의 보존성을 증진·유지 시킬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농림축산식품부 고부가식품기술개발사업의 ‘막걸리의 품질 표준화 및 유통기한 연장 기술 개발’ 연구과제를 안병학 우리술연구센터 박사 연구팀에서 수행한 결과다.

[©'한·중·영·일 4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법률로 풀어보는 막걸리와 전통주의 세계

최근에 백화점이나 국내 면세점을 다니다 보면, 주류코너에 전통주 판매부스를 자주 볼 수 있다. 때로는 하회탈의 모양을 한 도자기 병이 보이기도 하며, 조선 시대에 쓰였을 법한 아름다운 호리병 모양을 한 경우도 있다. 그런데 이렇게 전통 도자기 병에 들...

  • 누룩
  • 2013-04-05
  • 조회 수 2741

시카고서 미국 최초 막걸리 현지 생산 개시

한인 사업가 오준환씨 "우리의 좋은 음식 적극 알리겠다" (시카고=연합뉴스) 김현 통신원 = 한국의 전통주 막걸리가 미국에서 처음으로 현지 생산되기 시작했다. 시카고 한인 사업가 오준환(58)씨가 막걸리 제조업체 배상면주가와 계약을 맺고 설립한 '느린...

  • 누룩
  • 2013-03-12
  • 조회 수 2740

"전통주 소믈리에 대회 이렇게 대비하세요"

이태원 월향에서 열린 전통주 소믈리에 대회 세미나./안병수 기자 지난 27일 농촌진흥청이 후원하고 한국국제소믈리에협회가 주관하는 전통주 소믈리에 대회를 위한 세미나가 서울 이태원 월향에서 진행됐다. 각계 전통주 전문가와 ...

  • 누룩
  • 2014-07-30
  • 조회 수 2723

식품업계, 홍초+소주...콤비효과 ´톡톡´ [2]

▲ 청정원 홍초ⓒ대상식품업계가 서로 다른 제품이 조화를 이뤄 매출을 올리는 ‘콤비효과’로 회심의 미소를 짓고 있다. 이는 소비자들의 아이디어라는 점에 업계는 주목하고 있다. 대상은 20일 이 같은 콤비효과를 누린 제품을 소개했다. 우선 콤비효과의 ...

  • 누룩
  • 2013-03-21
  • 조회 수 2723

[막걸리의 부활, 新한류 이끈다] 시대별 변천사부터 제주 도구까지 막걸리의 모든 것 한눈에

알싸한 막걸리의 맛에 흠뻑 취했다면, 이제 막걸리 박물관으로 여행을 떠나보는 건 어떨까. 전통 막걸리 제조 방법부터 시대별 막걸리 변천사, 막걸리 도구 등을 한눈에 볼 수 있어 다양한 재미를 느낄 수 있다. 아기자기한 소품들은 눈을 즐겁게 하고, 솔솔 ...

  • 누룩
  • 2014-05-16
  • 조회 수 2699

술 먹은 ‘식객2’ “술이야기 더해 하반기 방영”

허영만 화백의 '식객' 주인공이 류인수 소장님 이라는 애기를 들었는데요. 꽤 유명했나 봅니다. SBS 인기드라마였던 ‘식객’의 시즌2가 만들어진다. 허영만 만화원작으로 지난해 방송된 ‘식객’은 평균시청률 20.3%(TNS미디어 조사)를 기록하며 영화에 이어 드...

  • 약손
  • 2012-09-14
  • 조회 수 2687

[조선일보][2019 주류 트렌드]③ 막걸리, 이제 와인처럼 마신다… ‘프리미엄 막걸리' 시장 쑥쑥

청와대 건배주 ‘이화백주', 저온숙성한 ‘해창막걸리' ‘술취한 원숭이' 등... 완성도 높은 맛, 10배 이상 비싼 가격에도 저항감 없어 요즘은 막걸리도 와인처럼 맛과 향을 따져가며 마신다. 사진은 한 전통주 품평회에 참가한 여성이 막걸리를 시음하는 모습./...

  • 누룩
  • 2019-03-26
  • 조회 수 2663

주류박람회 가보니…"수입맥주 뜨고 와인 지다"

처음 열린 '전통주페스티벌' 구색 맞추기 불과…보완 필요 25일 오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2013 서울국제와인&주류박람회에서 관람객들이 다양한 와인을 시음하고 있다. © News1 손형주 기자 (서울=뉴스1) 이은지 기자= 경기침체로 와...

  • 누룩
  • 2013-04-26
  • 조회 수 2659

[조선일보]혀 꼬인 정부, 취했나

[Close-up] "주세법 바꿉시다"… "아니, 늦춥시다"… 결국 없던 일로 2년 갈팡질팡 주세법… 커지는 백지화 가능성 주세법 개편이 결국 2년 넘게 갈팡질팡하다 좌초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13일 "주종별 입장 차가 첨예해 주세법 개정을 백지화하고...

  • 누룩
  • 2019-05-14
  • 조회 수 2650

사케의 대중화, 색다른 이자까야 브랜드가 이끈다.

사케는 쌀로 빚은 일본식 청주를 말한다. 우리나라에는 정종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정종은 사케 브랜드 중의 하나라고 한다. 쌀로 만들었기 때문에 우리에게도 익숙하다. 일본에서는 술을 만들기 위한 쌀을 별도로 재배하고 있고, 누룩 역시 쌀로 만든다. ...

  • 누룩
  • 2014-02-19
  • 조회 수 2640

조선일보 일본산 막걸리가 이렇게 많았나

순수 민간교류단체 한일술문화교류회 일본 소비자 중심, 한일막걸리 시음세미나 열어 지난 24일 한일술문화교류회 도쿄지부에서는 일본에서 구매할 수 있는 한국산 막걸리와 일본산 막걸리에 대한 세미나를 진행했다. 한일술문화교류회는 2016년 결성된 순수민...

  • 누룩
  • 2018-03-06
  • 조회 수 2635

[동아일보] 비건빵 굽고, 전통술 빚고… 청년 창업가의 꿈이 맛있게 익어간다 file

임재영 기자 입력 2022-01-05 03:00 업데이트 2022-01-05 03:09 '새해를 여는 사람들' <2> 제주 청년 창업가 2人 구미정 씨는 동물성 재료가 들어가지 않은 빵과 과자 등 건강한 제품을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해 베이커리 가게를 창업했다(위쪽 사진). 어릴 ...

  • 누룩
  • 2022-01-13
  • 조회 수 2612

[화제의 인물]막걸리에 취한 한의사, 안병수 '산수' 대표

[화제의 인물]막걸리에 취한 한의사, 안병수 '산수' 대표 입력시간 | 2016.07.19 14:22 | 박경훈 기자 view@ 한의사 겸 전통주 제조 회사 대표 안병수 ‘발효 한약’ 연구하다 누룩·전통주 공부에 빠져 주말 주택 찾아 나선 홍천 땅에 반해 양조장 차려 프리미엄...

  • 누룩
  • 2016-07-20
  • 조회 수 2612

[여행만리]‘술…그놈 참 잘익었구나!’, 꿰매고 붙인 匠人의 술독

당진 心行-3대째 막걸리 빚는 신평양조장, 교황의 흔적 찾아 가는 솔뫼성지… 1933년부터 지금까지 3대에 걸쳐 술피가 흐르는 막걸리 집안이 있다. 바로 '신평 양조장' 꿰매고 붙인 오래된 항아리마다 세월의 흔적이 가득하고(사진 위) 2대 김용세 대표는 전...

  • 누룩
  • 2015-05-21
  • 조회 수 2610

'익산 명물' 호산춘' 명맥 잇는 이연호 명인 선정

익산 전통주의 맥을 이어가는 이연호 명인. © News1 박윤근 기자 (익산=뉴스1) 박윤근 기자 = 익산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와 관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익산 명물' 찾기에 익산 전통주 '호산춘(壺山春)'의 보존회장을 역임하고 있는 이연호(70) 명인이 선정됐다...

  • 누룩
  • 2014-07-16
  • 조회 수 258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