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제조 금지부터 막걸리 팥빙수까지… 막걸리 변천사

조회 수 3004 추천 수 0 2013.06.27 12:43:08

현대사로 보는 막걸리 변천사

우리나라에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음식인 김치가 있다. 김치가 대표적인 이유는 김치가 가지고 있는 상징성, 그리고 국민 통합이라는 미학이 있다. 아무리 유명한 정치가든 기업의 총수든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김치라는 그 자체에 친근감이 있고, 지위에 상관없이 즐기는 식문화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전통주에도 이러한 술이 하나 있으니, 모두가 잘 알고 있는 막걸리다.

막걸리란 순수한 한글이 주는 느낌은 서민적이면서 동시에 대한민국 국민을 아우를 수 있는 친근감을 준다. 이러한 막걸리의 대표적인 원료는 쌀이지만 우리 국민은 언제부터 쌀로 빚은 막걸리를 마셨는지 공감대가 형성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오늘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친근한 술, 막걸리 현대사로 떠나는 여행이다.


	박물관 내 막걸리 배달하는 모습
고양시 원당역에 있는 배다리 술 박물관 내 막걸리 배달하는 모습
1965년부터 금지되었던 쌀 막걸리의 역사

한국전쟁을 거쳐 식량이 부족했던 대한민국은 1965년부터 쌀로 술을 제조하는 것을 금지하게 된다. 즉 1965년 전에는 일부 쌀 막걸리가 존재했으나, 이후부터는 다시 자취를 감추게 되는 것이다. 쌀을 막걸리에 쓰지 못하는 만큼 다양한 곡류가 재료로써 등장했는데, 대표적인 것이 소맥분, 즉 밀이다. 그 외 옥수수전분, 고구마 전분 등도 부재료로 등장하였다.

밀 막걸리의 가장 큰 특징은 쌀 막걸리보다는 좀 더 텁텁한 느낌인데, 이러한 이유는 밀의 성분 중 하나인 글루틴이 서로 잘 뭉치게 하는 습성이 있어서이다. 이러다 보니 밀 막걸리를 잔에 따라보면 덩어리가 나오는 많고, 마시게 되면 소화에 시간이 걸려 쉽게 배불러 막걸리에 대한 고정관념을 만들어 냈다.

1990년대부터 정식적으로 등장한 쌀막걸리

1970년대에 한시적이나마 쌀막걸리에 대한 규제는 풀렸지만, 정식으로 풀린 것은 1990년대의 일이다. 그전까지 아직 대한민국은 쌀에 대한 자급자족이 부족한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이때부터 막걸리는 산업적으로 발전되어가는 모습을 보여간다. 제조기술이 이전보다 다양해지고 냉장유통 시스템 등이 등장한 것도 이시기이다. 특히 1998년도에 막걸리의 지역 독점적 판매제도를 폐지하고, 신규면허를 허용했는데, 이러한 규제완화로 인해 막걸리 양조장은 기존의 독점적인 위치에서 경쟁하는 시장으로 이동함에 따라 보다 양질의 막걸리가 탄생하는 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시기에 식물성 약재 역시 첨가할 수 있는 규정을 마련되었는데, 이러한 규정으로 인하여 단순한 쌀 막걸리 뿐만이 아닌 인삼 막걸리, 한방 막걸리 등, 다양한 막걸리 역시 등장하는 계기를 만들었고, 2000년대 들어서는 기존의 부직포 막걸리 뚜껑에서 막걸리가 숨 쉴 수 있는 캡으로 변경되는 등, 보다 안전하게 유통이 가능한 모습으로 발전되었다.

막걸리에 도수 제한이 있었다고?
1998년까지 막걸리는 6% 이상의 도수 제한이 있었다. 즉 6% 미만이면 주세법상으로 막걸리가 아니었던 것이다. 이렇다 보니 막걸리는 6%로 도수가 맞춰지고, 1998년 이후 3%이상으로 허용, 지금은 도수에 대한 규제가 철폐되다 보니 지금은 1.5%부터 18도까지 다양한 막걸리를 만들어지고 있다.


	막걸리와 젤라또
(좌로부터)다양한 지역 특산물과 조합된 막걸리. 가평 잣 막걸리. 출처㈜우리술/한일 정상 건배주 배혜정도가 자색고구마/젤라또
최근에는 유기농, 무첨가, 장기 숙성 막걸리, 칵테일 막걸리 등 환골탈태 해 가는 막걸리
2009년부터 시작된 막걸리 자체에 대한 시장의 재조명은 막걸리를 다양한 시장으로 이끌어 냈다. 단순한 전집에서 팔던 저렴한 막걸리는 10만 원에 가까운 프리미엄 막걸리로 호텔 라운지 바에서 판매되기도 하며, 최근에는 막걸리 아이스크림, 막걸리 팥빙수, 막걸리 에이드 등 다양한 파생상품 역시 생겨나며 대통령 건배주로도 자주 등장하고 있다. 막걸리 붐이 꺼졌다고는 하나 이러한 막걸리 문화 산업은 계속 켜져 나가고 있다는 증거라는 판단이다.

글,사진 제공 / 주류문화 칼럼니스트 명욱 <mw@jurojuro.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시카고서 미국 최초 막걸리 현지 생산 개시

한인 사업가 오준환씨 "우리의 좋은 음식 적극 알리겠다" (시카고=연합뉴스) 김현 통신원 = 한국의 전통주 막걸리가 미국에서 처음으로 현지 생산되기 시작했다. 시카고 한인 사업가 오준환(58)씨가 막걸리 제조업체 배상면주가와 계약을 맺고 설립한 '느린...

  • 누룩
  • 2013-03-12
  • 조회 수 2709

법률로 풀어보는 막걸리와 전통주의 세계

최근에 백화점이나 국내 면세점을 다니다 보면, 주류코너에 전통주 판매부스를 자주 볼 수 있다. 때로는 하회탈의 모양을 한 도자기 병이 보이기도 하며, 조선 시대에 쓰였을 법한 아름다운 호리병 모양을 한 경우도 있다. 그런데 이렇게 전통 도자기 병에 들...

  • 누룩
  • 2013-04-05
  • 조회 수 2708

[막걸리의 부활, 新한류 이끈다] 시대별 변천사부터 제주 도구까지 막걸리의 모든 것 한눈에

알싸한 막걸리의 맛에 흠뻑 취했다면, 이제 막걸리 박물관으로 여행을 떠나보는 건 어떨까. 전통 막걸리 제조 방법부터 시대별 막걸리 변천사, 막걸리 도구 등을 한눈에 볼 수 있어 다양한 재미를 느낄 수 있다. 아기자기한 소품들은 눈을 즐겁게 하고, 솔솔 ...

  • 누룩
  • 2014-05-16
  • 조회 수 2686

"전통주 소믈리에 대회 이렇게 대비하세요"

이태원 월향에서 열린 전통주 소믈리에 대회 세미나./안병수 기자 지난 27일 농촌진흥청이 후원하고 한국국제소믈리에협회가 주관하는 전통주 소믈리에 대회를 위한 세미나가 서울 이태원 월향에서 진행됐다. 각계 전통주 전문가와 ...

  • 누룩
  • 2014-07-30
  • 조회 수 2683

식품업계, 홍초+소주...콤비효과 ´톡톡´ [2]

▲ 청정원 홍초ⓒ대상식품업계가 서로 다른 제품이 조화를 이뤄 매출을 올리는 ‘콤비효과’로 회심의 미소를 짓고 있다. 이는 소비자들의 아이디어라는 점에 업계는 주목하고 있다. 대상은 20일 이 같은 콤비효과를 누린 제품을 소개했다. 우선 콤비효과의 ...

  • 누룩
  • 2013-03-21
  • 조회 수 2677

술 먹은 ‘식객2’ “술이야기 더해 하반기 방영”

허영만 화백의 '식객' 주인공이 류인수 소장님 이라는 애기를 들었는데요. 꽤 유명했나 봅니다. SBS 인기드라마였던 ‘식객’의 시즌2가 만들어진다. 허영만 만화원작으로 지난해 방송된 ‘식객’은 평균시청률 20.3%(TNS미디어 조사)를 기록하며 영화에 이어 드...

  • 약손
  • 2012-09-14
  • 조회 수 2671

주류박람회 가보니…"수입맥주 뜨고 와인 지다"

처음 열린 '전통주페스티벌' 구색 맞추기 불과…보완 필요 25일 오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2013 서울국제와인&주류박람회에서 관람객들이 다양한 와인을 시음하고 있다. © News1 손형주 기자 (서울=뉴스1) 이은지 기자= 경기침체로 와...

  • 누룩
  • 2013-04-26
  • 조회 수 2646

[조선일보]혀 꼬인 정부, 취했나

[Close-up] "주세법 바꿉시다"… "아니, 늦춥시다"… 결국 없던 일로 2년 갈팡질팡 주세법… 커지는 백지화 가능성 주세법 개편이 결국 2년 넘게 갈팡질팡하다 좌초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13일 "주종별 입장 차가 첨예해 주세법 개정을 백지화하고...

  • 누룩
  • 2019-05-14
  • 조회 수 2617

[조선일보][2019 주류 트렌드]③ 막걸리, 이제 와인처럼 마신다… ‘프리미엄 막걸리' 시장 쑥쑥

청와대 건배주 ‘이화백주', 저온숙성한 ‘해창막걸리' ‘술취한 원숭이' 등... 완성도 높은 맛, 10배 이상 비싼 가격에도 저항감 없어 요즘은 막걸리도 와인처럼 맛과 향을 따져가며 마신다. 사진은 한 전통주 품평회에 참가한 여성이 막걸리를 시음하는 모습./...

  • 누룩
  • 2019-03-26
  • 조회 수 2616

사케의 대중화, 색다른 이자까야 브랜드가 이끈다.

사케는 쌀로 빚은 일본식 청주를 말한다. 우리나라에는 정종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정종은 사케 브랜드 중의 하나라고 한다. 쌀로 만들었기 때문에 우리에게도 익숙하다. 일본에서는 술을 만들기 위한 쌀을 별도로 재배하고 있고, 누룩 역시 쌀로 만든다. ...

  • 누룩
  • 2014-02-19
  • 조회 수 2616

조선일보 일본산 막걸리가 이렇게 많았나

순수 민간교류단체 한일술문화교류회 일본 소비자 중심, 한일막걸리 시음세미나 열어 지난 24일 한일술문화교류회 도쿄지부에서는 일본에서 구매할 수 있는 한국산 막걸리와 일본산 막걸리에 대한 세미나를 진행했다. 한일술문화교류회는 2016년 결성된 순수민...

  • 누룩
  • 2018-03-06
  • 조회 수 2597

[동아일보] 비건빵 굽고, 전통술 빚고… 청년 창업가의 꿈이 맛있게 익어간다 file

임재영 기자 입력 2022-01-05 03:00 업데이트 2022-01-05 03:09 '새해를 여는 사람들' <2> 제주 청년 창업가 2人 구미정 씨는 동물성 재료가 들어가지 않은 빵과 과자 등 건강한 제품을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해 베이커리 가게를 창업했다(위쪽 사진). 어릴 ...

  • 누룩
  • 2022-01-13
  • 조회 수 2592

[여행만리]‘술…그놈 참 잘익었구나!’, 꿰매고 붙인 匠人의 술독

당진 心行-3대째 막걸리 빚는 신평양조장, 교황의 흔적 찾아 가는 솔뫼성지… 1933년부터 지금까지 3대에 걸쳐 술피가 흐르는 막걸리 집안이 있다. 바로 '신평 양조장' 꿰매고 붙인 오래된 항아리마다 세월의 흔적이 가득하고(사진 위) 2대 김용세 대표는 전...

  • 누룩
  • 2015-05-21
  • 조회 수 2575

'익산 명물' 호산춘' 명맥 잇는 이연호 명인 선정

익산 전통주의 맥을 이어가는 이연호 명인. © News1 박윤근 기자 (익산=뉴스1) 박윤근 기자 = 익산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와 관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익산 명물' 찾기에 익산 전통주 '호산춘(壺山春)'의 보존회장을 역임하고 있는 이연호(70) 명인이 선정됐다...

  • 누룩
  • 2014-07-16
  • 조회 수 2572

[화제의 인물]막걸리에 취한 한의사, 안병수 '산수' 대표

[화제의 인물]막걸리에 취한 한의사, 안병수 '산수' 대표 입력시간 | 2016.07.19 14:22 | 박경훈 기자 view@ 한의사 겸 전통주 제조 회사 대표 안병수 ‘발효 한약’ 연구하다 누룩·전통주 공부에 빠져 주말 주택 찾아 나선 홍천 땅에 반해 양조장 차려 프리미엄...

  • 누룩
  • 2016-07-20
  • 조회 수 257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