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리태

조회 수 3896 추천 수 0 2008.02.12 23:32:13

껍질은 검은색이지만 속이 파랗다고 하여 속청이라고도 부른다. 작물의 생육 기간이 길어서 10월경에 서리를 맞은 뒤에나 수확할 수 있으며, 서리를 맞아가며 자란다고 하여 서리태라는 명칭이 붙여졌다. 물에 담갔으때 잘 무르고 당도가 높아 다른 잡곡과 함께 밥에 넣어서 먹거나 떡을 만들 때 함께 넣는 등 주로 식용으로 쓰인다. 서리태를 발효시켜 만든 청국장은 건강 효과가 좋을 뿐 아니라 맛도 메주로 만든 청국장보다 뛰어나다.

한방(韓方)에서는 오래 전부터 검은콩의 효과에 주목해 왔는데, 이는 노화 예방과 관계가 깊다. 검은콩은 흰콩보다 인체 내의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효과가 높으며, 색이 짙을수록 항산화 효과가 높다. 서리태와 비슷한 이름의 서목태(여두 또는 쥐눈이콩)는 약용으로 쓰인다. 서리태는 안토시아닌 색소가 많아서 검은콩의 대명사로 꼽히는데, 안토시아닌 성분은 꾸준히 장기 복용하면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서리태는 비타민 함량은 그다지 높지 않지만 단백질과 식물성 지방질이 매우 풍부하고, 신체의 각종 대사에 반드시 필요한 비타민 B군, 특히 B₁· B₂와 나이아신 성분이 풍부하다. 또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을 하는 이소플라본이라는 콩단백질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출처 : 네이버 지식사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413
165 사상자(蛇床子, 뱀도랏열매) 2005-08-29 2045
164 제채근(薺菜根, 냉이뿌리) 2005-09-16 2047
163 노화(蘆花, 갈대꽃) 2005-10-31 2053
162 모화(茅花, 띠꽃) 2005-10-31 2075
161 고거근(苦 根, 고거뿌리) 2005-09-16 2080
160 옥유수(屋 水, 볏짚 지붕에서 흘러 내린 물) [1] 2006-02-27 2084
159 정화수(井華水, 새벽에 처음 길은 우물물) 2006-02-17 2085
158 납설수(臘雪水, 섣달 납향에 온 눈 녹은 물) 2006-12-03 2089
157 백출(白朮, 흰삽주) 2006-05-13 2093
156 국화수(菊花水, 국화 밑에서 나는 물) 2006-02-17 2101
155 선화(旋花, 메꽃) 2005-10-31 2106
154 호초(胡椒, 후추) 2006-03-13 2109
153 애실(艾實, 약쑥씨) 2005-09-27 2118
152 이엽(梨葉, 배나무잎) [1] 2006-02-11 2120
151 납설수(臘雪水, 섣달 납향에 온 눈 녹은 물) 2006-02-20 2120
150 정력자( 子, 꽃다지씨) 2005-10-31 2121
149 속미분(粟米粉, 좁쌀가루) 2005-09-27 2134
148 대황(大黃) 2006-03-12 2135
147 양척촉(羊 , 철쭉꽃) [1] 2005-10-31 2138
146 백호(白蒿, 다북떡쑥) 2005-09-27 214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