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질려(白 藜, 남가새열매)

조회 수 3966 추천 수 0 2007.03.17 08:48:20
백질려(白 藜, 남가새열매)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이 쓰고[苦] 매우며[辛] 독이 없다. 여러 가지 풍증, 몸이 풍으로 가려운 것, 두통, 폐위로 고름을 뱉는 것, 신[水藏]이 차서 오줌을 많이 누는 분돈(奔豚), 신기(腎氣)와 퇴산[陰 ] 등을 치료한다.

○ 벌판과 들에서 자라는데 땅에 덩굴이 뻗으며 잎은 가늘고 씨에는 삼각으로 된 가시가 있어 찌르며 모양이 마름[菱] 비슷한데 작다. 음력 7월, 8월, 9월에 씨를 받아 볕에 말린다.

○ 질려에는 2가지 종류가 있다. 두질려(杜 藜)는 씨에 가시가 있으며 풍증에 많이 쓰고 백질려는 동주 사원(同州沙苑)에서 나는데 씨가 양의 콩팥 비슷하며 신(腎)을 보하는 약에 쓴다.

○ 지금 많이 쓰는 것은 가시가 있는 것인데 닦아서[炒] 가시를 없애고 짓찧어 쓴다[본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407

대두(大豆, 콩)

  • 2008-02-12
  • 조회 수 3911

서리태

  • 2008-02-12
  • 조회 수 3894

자아목정즙(慈鴉目睛汁)

  • 2007-04-27
  • 조회 수 3598

지황술(地黃酒)

  • 2006-03-31
  • 조회 수 3174

창포(菖蒲, 석창포)- 석창포주

  • 2006-04-22
  • 조회 수 3129

백세주에 들어가는 약재들

  • 2006-04-12
  • 조회 수 3070

영실근(營實根, 찔레나무뿌리)

  • 2005-09-16
  • 조회 수 2990

오배자(五倍子, 붉나무열매집)

  • 2005-08-29
  • 조회 수 2979

약누룩을 만드는 방법[造神麴法]

  • 2005-09-27
  • 조회 수 2975

속미분구(粟米粉 , 좁쌀미싯가루)

  • 2005-09-27
  • 조회 수 2955

도화(桃花, 복숭아꽃)

  • 2005-10-31
  • 조회 수 2935

신국(神麴, 약누룩)

  • 2005-09-27
  • 조회 수 2927

조엽(棗葉, 대추나무잎)

  • 2006-01-25
  • 조회 수 2877

조협( 莢, 주염열매)

  • 2005-08-29
  • 조회 수 2875

인진호(茵陳蒿, 생당쑥) [1]

  • 2005-09-27
  • 조회 수 2861

백두옹(白頭翁, 할미꽃뿌리)

  • 2005-10-31
  • 조회 수 2824

천남성(天南星) [2]

  • 2006-02-27
  • 조회 수 2812

낭아(狼牙, 집신나물)

  • 2006-07-19
  • 조회 수 2789

서미(黍米, 기장쌀)

  • 2005-09-27
  • 조회 수 2753

풍으로 머리가 흔들리는 것[風頭旋]

  • 2006-11-14
  • 조회 수 273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