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천물[溫泉]

조회 수 1908 추천 수 0 2007.02.11 02:31:47
온천물[溫泉]  



여러 가지 풍증으로 힘줄과 뼈마디가 가드라드는 것[筋骨攣縮]과 피부의 감각이 벗어지고[皮膚頑痺] 손발을 잘 쓰지 못하는 증, 문둥병, 옴, 버짐이 있을 때 이 물에 목욕한다. 목욕하고 나면 허해지고 피곤하므로 약이나 음식으로 보해야 한다[본초].

○ 온천물은 성질이 열(熱)하고 독이 있기 때문에 마시지 말아야 한다. 옴이나 문둥병이나 양매창(陽梅瘡) 때에는 음식을 배불리 먹은 다음 들어가서 오랫동안 목욕해야 하는데 땀이 푹 나면 그만두어야 한다. 이렇게 10일 정도 하면 모든 창병이 다 치료된다[식물].

○ 온천 밑에는 유황(硫黃)이 있기 때문에 물이 덥다. 유황으로는 여러 가지 헌데를 치료할 수 있으므로 유황이 들어 있는 온천물도 마찬가지이다. 온천물에서 유황냄새가 나기 때문에 풍증이나 냉증을 치료하는데 아주 좋다[본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216
165 동행근(東行根, 동쪽으로 뻗은 능금나무뿌리) 2005-09-16 2220
164 동규근(冬葵根, 돌아욱뿌리) 2005-09-16 1936
163 호과근(胡瓜根, 오이뿌리) [1] 2005-09-16 2196
162 고거근(苦 根, 고거뿌리) 2005-09-16 2051
161 제채근(薺菜根, 냉이뿌리) 2005-09-16 2016
160 총근( 根, 파뿌리) 2005-09-16 2247
159 영실근(營實根, 찔레나무뿌리) 2005-09-16 2958
158 속미(粟米, 좁쌀) 2005-09-27 2542
157 진속미(陳粟米, 묵은 좁쌀) 2005-09-27 1964
156 속미분(粟米粉, 좁쌀가루) 2005-09-27 2118
155 속미분구(粟米粉 , 좁쌀미싯가루) 2005-09-27 2924
154 속미감즙(粟米 汁, 좁쌀 씻은 물) 2005-09-27 2018
153 갱미(粳米, 멥쌀) 2005-09-27 2137
152 진름미(陳 米, 묵은 쌀) [1] 2005-09-27 2016
151 나미( 米, 찹쌀) 2005-09-27 1944
150 청량미(靑梁米, 생동쌀) 2005-09-27 2379
149 서미(黍米, 기장쌀) 2005-09-27 2727
148 단서미(丹黍米, 붉은 기장쌀) 2005-09-27 2347
147 출미( 米, 찰기장쌀) [1] 2005-09-27 2272
146 청과맥(靑顆麥, 쌀보리) 2005-09-27 193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