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의 품질에 대하여[論水品]

조회 수 2380 추천 수 0 2006.10.24 21:39:23
제목 : 물의 품질에 대하여[論水品]  



물은 일상적으로 쓰는 것이라고 하여 사람들이 흔히 홀시하는데 그것은 물이 하늘에서 생겼다는 것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사람은 물과 음식에 의해서 영양된다. 그러니 물이 사람에게 중요한 것이 아니겠는가. 사람은 살찐 사람도 있고 여윈 사람도 있으며 오래 사는 사람도 있고 오래 살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 이런 차이가 생기는 원인은 흔히 수토(水土)가 같지 않기 때문이다. 그것은 남쪽지방과 북쪽지방을 비교해보면 알 수 있다[식물].

○ 대체로 우물물(井水)은 땅속 깊이 있는 물줄기에서 나오는 것이라야 제일 좋다. 얕은 곳에서 나오는 것은 강물이 스며들어간 것이기 때문에 좋지 않다. 그리고 사람이 많이 사는 도시의 우물물은 개울의 더러운 물이 스며들어간 것이기 때문에 맛이 쩝절하다. 그러므로 끓여서 한참동안 놓아두어 가라앉혀서 쩝절한 맛이 없어진 다음 그 윗물을 써야 한다. 이와 같이 하지 않으면 냄새와 맛이 다 좋지 않다. 그러니 차를 달이거나 술을 빚거나 두부를 만드는 데는 더욱 쓸 수 없다. 비가 온 뒤의 흐려진 우물물은 반드시 살구씨나 복숭아씨를 짓찧어 즙을 내서 넣고 휘저어서 잠깐동안 놓아두었다가 흐려진 것이 가라앉은 다음에 써야 한다[식물].

○ 병을 치료하는데 쓰는 물은 다 맑은 샘물(淸泉)을 새로 길어다가 써야 한다. 한 곳에 고여 있어서 더러워지고 흐리며 미지근한 물을 쓰면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사람에게 해롭다. 그러므로 쓰지 않는 것이 좋다[본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326
44 백출(白朮, 흰삽주) 2006-05-13 2082
43 통초(通草) [2] 2006-05-15 2342
42 대조(大棗, 대추) 2006-07-03 2318
41 산조인(酸棗仁, 메대추씨) 2006-07-03 2644
40 초호(草蒿, 제비쑥) 2006-07-03 2312
39 목두채(木頭菜, 두릅나물) 2006-07-19 2402
38 낭아(狼牙, 집신나물) 2006-07-19 2777
37 매실(梅實, 매화열매) 2006-07-19 2400
36 사이실( 耳實, 도꼬마리열매) [1] 2006-07-29 2566
35 부평(浮萍, 개구리밥) 2006-08-05 2260
» 물의 품질에 대하여[論水品] 2006-10-24 2380
33 상실(橡實, 도토리) 2006-10-24 2027
32 상각(橡殼, 도토리껍질) 2006-10-24 2454
31 풍으로 머리가 흔들리는 것[風頭旋] 2006-11-14 2721
30 뇌풍증(腦風證) 2006-11-14 2544
29 대두(大豆, 콩) 2006-11-22 1940
28 금설(金屑, 금가루) 2006-11-22 2018
27 납설수(臘雪水, 섣달 납향에 온 눈 녹은 물) 2006-12-03 2086
26 모옥누수(茅屋漏水, 새미엉에서 흘러 내린 물) 2007-02-11 2346
XE Login